목차
Ⅰ. 서 론
- 도산십이곡의 창작 의도
Ⅱ. 본 론
1. 도산십이곡에 나타나는 학문관
2. 도산십이곡에 나타나는 자연관
3. 도산십이곡에 나타나는 인간관
Ⅲ. 결 론
- 도산십이곡을 돌아보며
- 도산십이곡의 창작 의도
Ⅱ. 본 론
1. 도산십이곡에 나타나는 학문관
2. 도산십이곡에 나타나는 자연관
3. 도산십이곡에 나타나는 인간관
Ⅲ. 결 론
- 도산십이곡을 돌아보며
본문내용
었다. 당시 도산십이곡 전문이 아닌 발문을 배웠다. 이전 수업에서 경기체가 작품들을 보면서 배웠다는 이들이 어쩌면 이렇게 대놓고 자기 자랑을 쓸 수 있는가 생각했다. 그 어떠한 시적 감흥도 불러일으키지 않는 이것이 과연 문학인가 싶을 정도였다. 물론 그만큼 자신에 차있다는 것일 테지만 벼는 익을수록 고개를 숙인다는 조상들의 가르침이 무색해지는 순간이었다. 그때, 이황이 그것을 비판하고 나선 것이다. 그는 당시의 주류 작품에 대한 비판에서 머문 것이 아니라 그것에 대항할 작품을 창작함으로써 보다 직접적인 태도를 취한다. 그 의도를 「발문」을 통해 분명케 하고 이것이 단순히 불러지기 위한 노래가 아님을 밝힌다. 이황은 도학의 내용을 바로 전달하는 노래를 지으려고 하지 않고 감동을 받아 정화되는 것이 도학 실현의 길 조동일, 위의 책. p. 338.
이라고 했다. 때문에 그는 “이 노래를 아이들부터 유행시켜 나가다 보면, 마음속의 비린내와 인색함을 씻어내는데 도움이 될 것이라 생각” 한형조 외, 「이황의 陶山十二曲」,『한국의 고전을 읽는다 2』.휴머니스트, 2006, p. 207.
하며 바랐다. 다음에서는 이황이『도산십이곡(陶山十二曲)』을 학문관, 자연관, 인간관으로 구분해 그가 나타내고자 했던 바를 살펴보고자 한다. 각각의 시조들이 무엇을 노래하고 성리학의 어떤 모습을 담고 있는지에 대한 이해가 주된 내용이다.
Ⅱ. 본 론
1. 도산십이곡에 나타나는 학문관
이황은 몇 번의 과거에서 낙방을 거쳐 34세 대과에 급제했지만 원리원칙주의자라 벼슬길이 순탄하지 않았다. 게다가 을사사화가 일어나자 더욱 정계를 떠나고 싶어했다. 49세 대 풍기군수 자리를 내놓고 귀향했는데 사직 처리가 되지도 않은 상태에서 임지를 떠났다고 해서 강등과 비난을 한꺼번에 받았다고 한다. 그리고 50세 이후 학문과 교육에 나머지 삶을 바치기로 한다. 그는 젊은 날에 벼슬길에 잘못 들어 아까운 시간을 낭비했기 때문에 진정한 학문의 길에 들어 정진할 것을 다짐한다. 이황이 그토록 하고 싶어 한 학문은 우주의 과정을 성찰하고 삶의 의미를 습득해 나가는 훈련이라고 할 수 있다. 이는 당시 사회에서도 매우 드문 일이었으며 과거 시험의 합격과 관료 출세의 노하우를 바라고 온 학생들은 그의 강의를 탐탁지 않게 여겼다고 한다. 그만큼 함께 학문을 논할 사람이 없어 이황은 외로웠고 때문에 옛 사람을 연모했다. 그 내용을 담은 작품을 다음에서 살펴보자.
고인도 날
이라고 했다. 때문에 그는 “이 노래를 아이들부터 유행시켜 나가다 보면, 마음속의 비린내와 인색함을 씻어내는데 도움이 될 것이라 생각” 한형조 외, 「이황의 陶山十二曲」,『한국의 고전을 읽는다 2』.휴머니스트, 2006, p. 207.
하며 바랐다. 다음에서는 이황이『도산십이곡(陶山十二曲)』을 학문관, 자연관, 인간관으로 구분해 그가 나타내고자 했던 바를 살펴보고자 한다. 각각의 시조들이 무엇을 노래하고 성리학의 어떤 모습을 담고 있는지에 대한 이해가 주된 내용이다.
Ⅱ. 본 론
1. 도산십이곡에 나타나는 학문관
이황은 몇 번의 과거에서 낙방을 거쳐 34세 대과에 급제했지만 원리원칙주의자라 벼슬길이 순탄하지 않았다. 게다가 을사사화가 일어나자 더욱 정계를 떠나고 싶어했다. 49세 대 풍기군수 자리를 내놓고 귀향했는데 사직 처리가 되지도 않은 상태에서 임지를 떠났다고 해서 강등과 비난을 한꺼번에 받았다고 한다. 그리고 50세 이후 학문과 교육에 나머지 삶을 바치기로 한다. 그는 젊은 날에 벼슬길에 잘못 들어 아까운 시간을 낭비했기 때문에 진정한 학문의 길에 들어 정진할 것을 다짐한다. 이황이 그토록 하고 싶어 한 학문은 우주의 과정을 성찰하고 삶의 의미를 습득해 나가는 훈련이라고 할 수 있다. 이는 당시 사회에서도 매우 드문 일이었으며 과거 시험의 합격과 관료 출세의 노하우를 바라고 온 학생들은 그의 강의를 탐탁지 않게 여겼다고 한다. 그만큼 함께 학문을 논할 사람이 없어 이황은 외로웠고 때문에 옛 사람을 연모했다. 그 내용을 담은 작품을 다음에서 살펴보자.
고인도 날
추천자료
조선시대의 당맥 단가
도산십이곡 발 (陶山十二曲跋)
(한국문학과 남성) 한국문학에 나타난 다양한 모습의 남성상에 관한 보고서
조선시대의 시조 문학 - 도산십이곡, 고산구곡가, 훈민가, 가노라
퇴계 이황의 '도산십이곡'
[색채][색][색깔][색상][색채심리][색채의식][색채조화론][색채연출][색채 배경효과][색채체...
[퇴계 이황][철학 사상][사단칠정][이기호발설][도산십이곡][퇴계][이황]퇴계 이황의 철학 사...
[한국 고전문학]한국 고전문학의 의의, 한국 고전문학 시가, 한국 고전문학 향가, 한국 고전...
박태원의 새로운 시도와 기법-한국근대문학사 속 모더니즘,몽타주기법,리얼리즘의 관점,이기...
도산십이곡과 고산구곡가 비교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