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보현십원가란?
2. 내용과 해석
3. 보현십원가의 의의
4. 협동학습을 적용한 <보현십원가> 지도 방안
2. 내용과 해석
3. 보현십원가의 의의
4. 협동학습을 적용한 <보현십원가> 지도 방안
본문내용
총결무진가는 보현보살의 십대행원을 노래한 10수의 노래를 총결하는 마지막 노래이다. 앞의 10수가 특정한 행원의 하나를 주제화한데 비하여 이 노래는 보현의 대원 공덕으로 모든 중생을 제도하리라 서원하며 중생계가 끝날 때까지 그 원을 한결같이 닦을 것을 다짐하고 있다. 보현보살은 ‘덕행 실천의 상징’을 나타내는 보살이기에 중생의 업과 중생의 번뇌가 끝나지 않는 한 그 서원이 끝날 수 없음을 시사하는 것이라 하겠다.
초장에서 서정적 자아는 중생계가 다할 때까지 나의 소원이 끝이 없음을 분명히 밝히고 있다. 또한 이어지는 중장에서 이러한 주체인식이 지속적인 지향으로 선업을 닦을 것을 다짐하고 있으며 이 행위가 부처의 중생에 대한 일로 확신하고 있다. 마지막 종장에서는 보현보살의 덕행 실천을 위해 이 밖의 모든 일을 버리고 오로지 이 길로 정진할 것을 다짐하며 끝맺고 있다.
3. 보현십원가의 의의
普賢十願歌는 국문학사적으로는 당시의 우리말 표기법의 생생한 모습을 전하는 동시에 서민을 대상으로 한 포교가 목적인 불교가요이다. 사람들 사이에 퍼져 많은 서민들이 이를 부르며 부처의 가르침(화엄사상)을 익혀, 굳이 성불은 못 할지라도 자연스레 가르침을 받아들여 생활하게 되었을 것이다.
균여는 시종 일반 서민들을 대상으로 삼아 일상적 언어로 노래를 지었는데, 자칫 생경하고 관념적으로 되기 쉬운 교리를 친근하고도 적절한 비유와 결코 어렵지 않은 구어적 수사를 이용해 나타내었다.
노래 끝 기사에 <균여가 가서 환자를 보시고 그 괴로움을 가엾게 여겨 이 노래를 직접 구술하여 주시고 항시 읽도록 권하였다. 그 후 공중에서 소리가 있어서 “큰 성인의 노래에 힘입어 병이 나을 것이다.”라 하더니 그 뒤 곧 나았다.> 崔來沃,「<普賢十願歌>의 文學性과 現在性」, 『한국고전시가작품론 1』, 집문당, 1992
라는 내용이 있다. 이처럼 이 노래는 문학성과 더불어 종교적 사상성, 효능을 갖춘 성공한 종교시라 할 수 있다.
4. 협동학습을 적용한 <보현십원가> 지도 방안
① <보현십원가> 교육에 있어 협동학습의 필요성
고전은 민족 문화를 가장 뚜렷하게 담아내고 있는 것으로, 우리는 고전문학을 통해 참다운 민족 문화의 이상을 체득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교육적 의의에도 불구하고 학교 현장에서는 고전문학이 속해 있는 단원은 어렵고 지루한 단원으로 인식된다. 그 까닭은 학습자들의 과거의 삶에 대한 이해 부족과 고어 해석에 대한 어려움과 교수자들의 암기식, 원전 해석식 수업 방식에 있다고 추측해 볼 수 있는데,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많은 시사점을 협동학습에서 얻을 수 있다.
먼저 협동학습은 교수 학습 과정에서 자연스럽게 학습자들의 비중이 높아져 주체적인 텍스트 수용을 가능하게 한다는 특성이 있으며, 둘째로 텍스트에 대한 학습자 개개인의 다양한 반응이 드러나게 한다. 셋째로 구성원 간의 토론을 통하여 해석공동체의 가치 기준을 확인하고 자신의 반응을 조정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② 협동학습의 개념
협동학습은 전통적인 소집단 학습과는 달리 학습자간의 협력과 상호작용을 촉진하기 위해 다양한 협동기술과 보상을 추가한 학습 방법이다(고재희, 2008). 협동학습이론의 원리는 ‘긍정적 상호의존성’, ‘대면적 상호작용’, ‘개별적 책무성’, ‘사회적 기술’, ‘집단과정’이다.
‘긍정적 상호의존성’으로서 협동학습의 핵심 원리이다. 이는 공동의 목표를 갖게 된 학생들이 집단의 성공을 위하여 서로 돕게 되고 자료를 공유하게 되는 것을 의미한다.
‘대면적 상호작용’은 4~6명으로 구성된 소집단 내에서 학생들이 서로 가깝게 대면하면서 학습을 위한 상호 작용을 할 때 일어나는 것인데 이러한 활동을 통해 많은 학생들이 동시에 상호작용을 할 수 있으므로 수업의 효율성을 높여줄 수 있다.
‘개별 책무성’은 모든 학생들은 소집단의 구성원으로서 각자 임무를 맡아 수행할 책임이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협동학습에서 각자에게 책임을 부과함으로서 능동적인 참여 없이 다른 학생들의 성취를 거저 얻는 학생이 생기지 않도록 방지한다.
‘사회적 기술’은 협동학습이 성공하기 위해서는 학생들이 모둠 내에서의 갈등 관리, 리더쉽 등 사회적 기술을 연마해야함을 의미한다.
‘집단 과정’은 집단 구성원이 자신들의 활동을 반성하는 과정을 의미하며 공동의 목표를 성취하기 위해 각자 얼마나 노력하였는지에 대한 평가과정이다.
이러한 협동학습에는 수많은 모형들이 있으나 대표적인 것들을 집단 간 협동을 중시하는 ‘협동적 프로젝트 유형’과 집단 간 경쟁을 중시하는 ‘학습자 팀 학습 유형’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변영계 외, 2007)
협동적 프로젝트 유형
학습자 팀 학습 유형
과제 분담 학습 Ⅰ(Jigsaw Ⅰ)
과제 분담 학습 Ⅱ(Jigsaw Ⅱ)
2. 자율적 협동학습(Co-op Co-op)
2. 성취-과제분담(Student Teams Achievement Division: STAD)
3. 집단 조사(Group Investigation)
3. 팀 경쟁 학습(Teams Games Tournament: TGT)
4. 함께 학습하기(Learning Together)
4. 팀 보조 개별학습(Team Assisted Individualization: TAI)
제시된 8개의 유형 중에서, 본고에서는 텍스트 및 학습자의 특성을 고려하여 Jigsaw Ⅰ 모형에 STAD 모형을 결합시킨 직소Ⅲ (Jigsaw Ⅲ) 모형을 바탕으로 한 수업 모형을 구안해 보고자 한다.
③ 직소(Jigsaw) 모형
직소Ⅰ 모형은 1978년 애론슨(Aronson)과 그의 동료들에 의해 개발되었다. Jigsaw란 이름은 모둠이 전문가 그룹으로 나뉘었다가 다시 원 그룹으로 돌아오는 모형이기 때문에 붙여졌다. 직소모형은 교육 내용을 한 영역씩 나누어 맡아 팀별로 학습한 후에 해당 내용에 대해 다른 팀의 학습을 책임지는 협동학습모형으로 협동이 필연적으로 일어나도록 구조화하는 것이 특징이다. Jigsaw Ⅰ모형에서 학생의 평가는 팀별로 하지 않고 개별적으로 한다. 따라서 전체 과제를 잘 해결하기 위해서는 팀별 발표가 좋아야 하기 때문에 상호의존성이 높다. 하지만 집단으로 보상을 받지 않기
초장에서 서정적 자아는 중생계가 다할 때까지 나의 소원이 끝이 없음을 분명히 밝히고 있다. 또한 이어지는 중장에서 이러한 주체인식이 지속적인 지향으로 선업을 닦을 것을 다짐하고 있으며 이 행위가 부처의 중생에 대한 일로 확신하고 있다. 마지막 종장에서는 보현보살의 덕행 실천을 위해 이 밖의 모든 일을 버리고 오로지 이 길로 정진할 것을 다짐하며 끝맺고 있다.
3. 보현십원가의 의의
普賢十願歌는 국문학사적으로는 당시의 우리말 표기법의 생생한 모습을 전하는 동시에 서민을 대상으로 한 포교가 목적인 불교가요이다. 사람들 사이에 퍼져 많은 서민들이 이를 부르며 부처의 가르침(화엄사상)을 익혀, 굳이 성불은 못 할지라도 자연스레 가르침을 받아들여 생활하게 되었을 것이다.
균여는 시종 일반 서민들을 대상으로 삼아 일상적 언어로 노래를 지었는데, 자칫 생경하고 관념적으로 되기 쉬운 교리를 친근하고도 적절한 비유와 결코 어렵지 않은 구어적 수사를 이용해 나타내었다.
노래 끝 기사에 <균여가 가서 환자를 보시고 그 괴로움을 가엾게 여겨 이 노래를 직접 구술하여 주시고 항시 읽도록 권하였다. 그 후 공중에서 소리가 있어서 “큰 성인의 노래에 힘입어 병이 나을 것이다.”라 하더니 그 뒤 곧 나았다.> 崔來沃,「<普賢十願歌>의 文學性과 現在性」, 『한국고전시가작품론 1』, 집문당, 1992
라는 내용이 있다. 이처럼 이 노래는 문학성과 더불어 종교적 사상성, 효능을 갖춘 성공한 종교시라 할 수 있다.
4. 협동학습을 적용한 <보현십원가> 지도 방안
① <보현십원가> 교육에 있어 협동학습의 필요성
고전은 민족 문화를 가장 뚜렷하게 담아내고 있는 것으로, 우리는 고전문학을 통해 참다운 민족 문화의 이상을 체득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교육적 의의에도 불구하고 학교 현장에서는 고전문학이 속해 있는 단원은 어렵고 지루한 단원으로 인식된다. 그 까닭은 학습자들의 과거의 삶에 대한 이해 부족과 고어 해석에 대한 어려움과 교수자들의 암기식, 원전 해석식 수업 방식에 있다고 추측해 볼 수 있는데,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많은 시사점을 협동학습에서 얻을 수 있다.
먼저 협동학습은 교수 학습 과정에서 자연스럽게 학습자들의 비중이 높아져 주체적인 텍스트 수용을 가능하게 한다는 특성이 있으며, 둘째로 텍스트에 대한 학습자 개개인의 다양한 반응이 드러나게 한다. 셋째로 구성원 간의 토론을 통하여 해석공동체의 가치 기준을 확인하고 자신의 반응을 조정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② 협동학습의 개념
협동학습은 전통적인 소집단 학습과는 달리 학습자간의 협력과 상호작용을 촉진하기 위해 다양한 협동기술과 보상을 추가한 학습 방법이다(고재희, 2008). 협동학습이론의 원리는 ‘긍정적 상호의존성’, ‘대면적 상호작용’, ‘개별적 책무성’, ‘사회적 기술’, ‘집단과정’이다.
‘긍정적 상호의존성’으로서 협동학습의 핵심 원리이다. 이는 공동의 목표를 갖게 된 학생들이 집단의 성공을 위하여 서로 돕게 되고 자료를 공유하게 되는 것을 의미한다.
‘대면적 상호작용’은 4~6명으로 구성된 소집단 내에서 학생들이 서로 가깝게 대면하면서 학습을 위한 상호 작용을 할 때 일어나는 것인데 이러한 활동을 통해 많은 학생들이 동시에 상호작용을 할 수 있으므로 수업의 효율성을 높여줄 수 있다.
‘개별 책무성’은 모든 학생들은 소집단의 구성원으로서 각자 임무를 맡아 수행할 책임이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협동학습에서 각자에게 책임을 부과함으로서 능동적인 참여 없이 다른 학생들의 성취를 거저 얻는 학생이 생기지 않도록 방지한다.
‘사회적 기술’은 협동학습이 성공하기 위해서는 학생들이 모둠 내에서의 갈등 관리, 리더쉽 등 사회적 기술을 연마해야함을 의미한다.
‘집단 과정’은 집단 구성원이 자신들의 활동을 반성하는 과정을 의미하며 공동의 목표를 성취하기 위해 각자 얼마나 노력하였는지에 대한 평가과정이다.
이러한 협동학습에는 수많은 모형들이 있으나 대표적인 것들을 집단 간 협동을 중시하는 ‘협동적 프로젝트 유형’과 집단 간 경쟁을 중시하는 ‘학습자 팀 학습 유형’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변영계 외, 2007)
협동적 프로젝트 유형
학습자 팀 학습 유형
과제 분담 학습 Ⅰ(Jigsaw Ⅰ)
과제 분담 학습 Ⅱ(Jigsaw Ⅱ)
2. 자율적 협동학습(Co-op Co-op)
2. 성취-과제분담(Student Teams Achievement Division: STAD)
3. 집단 조사(Group Investigation)
3. 팀 경쟁 학습(Teams Games Tournament: TGT)
4. 함께 학습하기(Learning Together)
4. 팀 보조 개별학습(Team Assisted Individualization: TAI)
제시된 8개의 유형 중에서, 본고에서는 텍스트 및 학습자의 특성을 고려하여 Jigsaw Ⅰ 모형에 STAD 모형을 결합시킨 직소Ⅲ (Jigsaw Ⅲ) 모형을 바탕으로 한 수업 모형을 구안해 보고자 한다.
③ 직소(Jigsaw) 모형
직소Ⅰ 모형은 1978년 애론슨(Aronson)과 그의 동료들에 의해 개발되었다. Jigsaw란 이름은 모둠이 전문가 그룹으로 나뉘었다가 다시 원 그룹으로 돌아오는 모형이기 때문에 붙여졌다. 직소모형은 교육 내용을 한 영역씩 나누어 맡아 팀별로 학습한 후에 해당 내용에 대해 다른 팀의 학습을 책임지는 협동학습모형으로 협동이 필연적으로 일어나도록 구조화하는 것이 특징이다. Jigsaw Ⅰ모형에서 학생의 평가는 팀별로 하지 않고 개별적으로 한다. 따라서 전체 과제를 잘 해결하기 위해서는 팀별 발표가 좋아야 하기 때문에 상호의존성이 높다. 하지만 집단으로 보상을 받지 않기
추천자료
초등학교 높임말에 관한 교과서 분석과 높임말 지도방안
행동장애의 유형분석과 지도방안
[도형학습][도형학습지도][사고력신장][수학교육]도형학습의 지도, 도형학습의 과정, 도형학...
[학교폭력]학교폭력(청소년폭력)의 개념, 학교폭력(청소년폭력)의 원인, 학교폭력(청소년폭력...
청소년학습이론 및 지도3A) 청소년을 직접 면접, 학습고민을 정리분석, 지도방안을 제시
청소년학습이론및지도3B) 청소년을 직접 면접하여 학습시간을 어떻게 관리하는지를 정리, 분...
2013년 1학기 청소년학습이론및지도 중간시험과제물 A형(청소년 학습고민분석 및 지도방안)
청소년들의 집단따돌림(왕따)의 정의, 유형, 원인, 집단따돌림(왕따)현상의 실태분석, 예방과...
청소년 면접을 통한 학습고민에 대한 분석과 지도방안 (청소년 학습고민, 지도방안)
영유아의 놀이행동을 관찰하여 일화기록하고 놀이관찰척도를 사용하여 기록한 후 분석하여 놀...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