만횡청류蔓橫淸類에 관하여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만횡청류蔓橫淸類에 관하여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ⅰ. 만횡청류의 의미와 등장배경
ⅱ. 만횡청류의 내용상 특징
ⅲ. 만횡청류의 형식상 특징
ⅳ. 만횡청류의 문학사적 의의

Ⅲ. 결론

본문내용

농촌의 분해가 가속화되고 도시의 발전이 촉진됨에 따라 시정인들의 유흥 공간이 광범위하게 생겨난다. 조선 후기의 문학은 이러한 도시 유흥 공간을 중심으로 비약적으로 발전하게 되는데, 개성적이고 자발적인 시정 문화의 대표적인 것이 사설시조이다. 사설시조의 형식의 파괴성과 내용의 다채로움은 봉건해체기를 살아가는 시정인들의 자유분방한 정서와 체험을 담아 낸 결과이다.
사설시조의 새로운 담당층이 등장하는데, 이들이 바로 전문가객이다. 전문가객의 신분은 중간층에 속하는데, 이들은 기술직 중인들을 비롯하여 도시 상인이나 부민 등 중세 해체를 기반으로 부를 축적한 경제적인 실력자들이다. 이들이 사설시조의 새로운 담당층으로 등장하면서, 사설시조는 가사면에서나 악곡면에서나 비약적인 발전을 이루게 된다. 이러한 특색은 가집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가집은 편찬의 동기 · 과정, 편찬자의 사회적 위상 등에서 조선 후기의 새로운 움직임을 반영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편찬 당대 작가의 작품 및 이전의 작품들은 담당층의 특정한 의식과 태도를 반영하고 있다.
김천택이 ‘만횡청류’라는 이름으로 모아 놓은 116수의 시조는 평시조의 형식과 뚜렷하게 구분되고 있기 때문이다. 곧 기본적으로 3장 형식을 이어받고 있지만 각 장이 자유롭게 음보가 확장되었고, 특히 중장은 크게 장형화되었기 때문이다. 이는 4음보의 규칙성을 지닌 평시조의 안정성을 파괴하고 자유로운 내용의 표출을 가능하게 했던 것이다.
청구영언은 영조 4년(1728)에 김천택(金天澤)이 편찬한 가집이다. 청구영언 진본은 이전까지 단편적으로 전해오던 시조들을 가곡창의 곡조에 따라 일관되게 배열하고 있다. 작품 수록부 말미의 ‘만횡청류’ 항목에는 116수의 사설시조 작품을 수록하고 있어, 이들 사설시조가 비로소 우리 문학사의 지평에 등장할 수 있게 하였다. 수록된 작품의 수는 모두 580수나 되어 그 규모도 적지 않고, 가집의 전후에 서(序)와 발문(跋文) 및 각 작가의 작품과 그에 관련된 각종 기록을 함께 수록하여 작가의 신뢰성을 높여주고 있다. 또, 당대 작가들의 작품을 수록하여 18세기 초반까지 주로 활동했던 시조 작가들의 면모와 그들의 작품 경향을 한눈에 볼 수 있게 한 것도 특징이다.
ⅱ. 만횡청류의 내용상 특징
만횡청류(蔓橫淸類)에서 가장 많이 나타나는 것은 사랑에 대한 노래이고 특히 성을 소재로한 작품이 많은데 이는 성이라는 소재가 인간에게 가장 흥미를 끄는 요소라는 점에서 유흥성을 지향하는 만횡청류(蔓橫淸類)에 성의 소재가 많이 나타난다고 했다. 어진호, 앞의 논문.
정호완 정호완, 앞의 논문.
은 이별, 성, 주색, 연애, 유락, 충효, 수신, 선교, 탄로, 염세, 거래, 내방규소, 패륜, 생활, 풍자, 파계 등 16가지로 나누었다. 김복영 김복영, 「蔓橫淸類 연구」, 서울대 석사학위논문, 2001, p.1.
은 남녀간의 애정, 유교적· 교훈적, 역사적 사실, 풍류· 강호한정, 주연· 연희· 놀이, 불교의 희화화, 서민 생활상, 인생허무와 쾌락, 기타 등으로 분류하였다. 본고에서는 주제에 의해 4가지로 분류하여 내용상의 특징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주제에 의한 분류
만횡청류(蔓橫淸類)는 남 녀의 노골적인 사랑만을 노래한 것으로 인식되고 있다. 따라서 만횡청류(蔓橫淸類)를 크게 4가지로 분류하여 주제에 대한 논의를 하고자 한다. 남 녀 성애(性愛)의 노래, 남 녀 애정(愛情)의 노래, 개인적 삶의 노래, 사회 집단의 노래로 분류하였다.
<표>주제에 의한 분류 변승구, 앞의 논문.
큰갈래
작은갈래
작품번호
빈도수
남녀성애의 노래
육담/불륜
480,492,492,503,507,508,517,518,519,532,533,545,546,547,550,559,562,565,569,574,465,476,478,479,506,537,552,576
31
파계
481,514,577
남녀애정의 노래
공규
475,493,498,515,548,553,563,568
32
연모
477,495,496,499,502,511,542,543,549,555,572,579,580
이별
466,468,471,472,489
술회
484,501,540,541,551,573
개인적 삶의 노래
허무/탄로
467,488,490,534,538,575
35
향락/주색
469,470,473,483,486,491,505,509,516,525,526,527,528,529,536,554,557,558,560,561,571
강호한정
521,530,566
수신
474,570
생활
535,564,567
사회집단의 노래
세태풍자
512,520,531
18
충효/우국
482,485,487,497,500,504,510,513,522,523,524,539,544,556,578
합계
116
<표>에서 남 녀 성애의 노래가 31수, 남 녀 애정의 노래가 32수, 개인적 삶의 노래가 35수, 사회 집단의 노래가 18수이다. 특히 남 녀의 성애와 애정을 노래한 것이 63수로 절반에 가깝다. 이중 남 녀의 애정을 노래한 것은 시조에서도 볼 수 있는 주제이므로 만횡청류(蔓橫淸類)의 특성이라고 할 수는 없다. 그러나 남 녀의 성애를 노래한 것은 시조에서는 좀처럼 볼 수 없는 만횡청류(蔓橫淸類)만의 특징이다. 이 <표>를 준거(準據)로 만횡청류(蔓橫淸類)의 주제적인 측면에서 내용상의 특징을 살펴보고자 한다.
1) 남 녀 성애의 노래
남 녀의 사랑은 관점에 따라 개념이나 성격, 가치가 달라질 수 있다. 정신적인 사랑, 육체적인 사랑, 동물적인 사랑 등 그 범위나 대상도 다양하다. 여기서 말하는 남 녀 성애의 노래는 주로 육체적인 사랑과 동물적인 사랑을 노래한 것으로 이러한 노래들은 본능에 의한 남녀의 성애이다. 그렇다보니 대상이나 범위에 있어서도 도덕적 관념을 벗어난 것들이 많다. 마악노초가 말한 ‘창광(猖狂)’은 이러한 노래들을 지칭한 듯하다. 또한 도덕적 관념을 벗어나지 않았다 하더라도 노골적인 성행위 묘사나 육담적인 내용을 담고 있는 노래들이다.
① 半여든에 첫 계집을 니 어렷두렷 우벅주벅
주글번 살번 다가 와당탕 드리라 이리져리 니 老都令의 음 흥글흥글
眞實로 이 자미 아돗던들
  • 가격1,800
  • 페이지수13페이지
  • 등록일2018.11.25
  • 저작시기2018.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7165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