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통시가 사설시조(辭說時調)
본 자료는 7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해당 자료는 7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7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전통시가 사설시조(辭說時調)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들어가는 말

Ⅱ. 사설시조
1. 명칭
2. 사설시조의 연원과 발생
(1) 사설시조의 연원
(2) 사설시조의 발생
1) 고려시대설
2) 조선 전기설
3) 조선후기설
3. 사설시조의 작자층 정병욱,『한국고전시가론』, 신구출판사, 1984.
4. 작품 개관
(1) 志向性과 情意
1) 悲劇的 情調
2) 意志와 諷刺
3) 윤리사상
(2) 허무주의
5. 특징
(1) 형식
1) 4음보격의 의식적 파괴
2) 5음절 2음보의 활용
3) 章의 擴張
4) 다양한 율조의 활용
5) 삼장법과 종장 제1구의 구속
(2) 소재, 표현
(3) 문체
1) 국어체 시조
2) 국한문 혼용체
3) 한문 현토체
4) 이두 혼용체
6. 미의식
(1) 醜美
(2) 滑稽美

Ⅲ. 나가는 말

본문내용

말이 이셔이다 님아 님아
온 놈이 말을 힝여도 님이 짐쟉힝쇼셔
둑거비 뎌 둑거비 한눈 멸고 다리져다 저 둑거비
한나래 업슨 파리를 물고 날낸쳬 힝야 두험 아한 우흘 속꼬다가 발딱 나뒤쳐 지거고나
모쳐로 몸이 날낼셰만정 衆人險視에 남 우릴번 힝거다
위에서 제시된 작품들은 모두 그로테스크한 측면을 내장하고 있다. 잔등이 부러진 개미나 종기가 나서 고름에 젖은 개미, 혹은 흉하게 생긴 두꺼비 등 관습에서 벗어난 모습을 제시함으로써 시세계를 부조화스럽고 비정상적인 성향으로 몰고간다. 그러나 그 속에는 공격적인 풍자성이 강하게 내포되어 있으며, 비꼼과 과장의 광경에서 웃지 않을 수 없다. 즉 위 작품들은 표면적인 희화적 장치와 심층적 풍자성이 이중적이 의미망을 형성하고 있는데, 이러한 중첩성은 주의를 요청하게 된다.
첫 시의 경우 상황적 아이러니를 보이는 경우라면 다양한 의미로 치환가능한데, 일반적으로 참언에 대한 경계로 해석된다. 즉 여러 간신들이 술수를 부리면서 참언을 하여 중간에서 이간질하는 것을 왕 혹은 세상 사람들이 혹 믿을까 하는 것을 염려하는 것으로 본다. 초장과 중장의 역설적 상황은 종장의 믿음을 강화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이다. 둘째 시의 경우에도 거만하거나 자신의 처지나 위치 이상으로 자신의 입장을 남용하는 대상이라면 그 누구에게도 빗대어서 풍자할 수 있는 작품에 해당한다.
이를 조선후기의 사회상을 반영하여 더 적극적으로 해석하면 음흉한 성격으로 묘사된 '둑거비'는 조소와 야유로서 汚吏에 비견되어 풍자의 대상이 된다. 즉, 둑거비는 못된 주제에 권력을 가지고 있어 파리 목숨 같은 백성의 고혈을 착취한다. 이렇듯 약한 자에 대하여는 허세를 부리면서 강한 자에 대하여는 그 당당한 위세가 꺾이며 오히려 비굴해지면서도 그 비굴을 합리화시키는 탐관오리들의 꼴을 희화적으로 그린 작품으로 해석되는 것이다. 이처럼 억눌림 속에서 숨도 제대로 쉬지 못하고 분노와 고통으로 일그러진 백성들은 사회 고발의 형식으로 사설시조를 가져왔으며, 그 조소를 다리져다 둑거비로 표현하여 조롱과 냉소, 풍자 등의 성격을 이면에 제시한다. 이에 수용자들은 대리충족을 경험하게 하여 심적인 이완과 유쾌감을 불러일으키는데, 골계미가 탄생하는 순간인 것이다.
요컨대 사설시조의 미적 특질로서 추미와 골계미를 살펴보았는데, 이러한 미들은 단순히 작품의 표현기법을 이루는 것으로만 작용하는 것이 아니라, 기존 관습적 상황에 대한 공격적 의미를 적극적으로 달성하는 미적 도구로써 기능한다는 것을 고려해야 할 것이다.
Ⅲ. 나가는 말
) 김제현,『사설시조전집』, 영언문화사, 1985.
나가는 말은 사설시조의 문학사적 의의로 대신하고자 한다.
고려말경에 발생한 것으로 추정되는 사설시조는 시대적 배경과 불교 사상의 영향 아래 그 시대상과 서민의 애환을 노래한 풍자시로 출발하여 조선조에 이르러서는 유교적 영향을 받으며 발전하였고, 영·정조 기에는 실학사상의 영향으로 그 전성기를 이루었다. 그 후 쇠퇴한 사설시조는 갑오경장 이후 자유시에 그 패턴을 넘긴 것이다.
평민문학으로서 서민들의 사상과 감정을 진솔하게 표출하고 있는 이 시가는 그 시대(현실)를 반영(고발)하고 있는 참여문학으로서의 특성도 지님과 동시에 형태상으로는 한국 자유시의 연원을 이루는 문학사적 의의를 지니고 있다.
한국문학에 있어서 산문시의 형태를 최초로 보인 시가는 사설시조였으며 이는 곧 현대 자유시의 연원이었고 그 이론적 배경을 이룬 것은 주요한의「불노리」였다. 이는 진정한 의미에서 근대시의 출발을 의미한다. 즉 사설시조가 서구의 사조와 문학적 방법의 영향 아래 변형·발전된 모습으로 나타난 것이 근대 자유시를 대표하는「불노리」였으며, 주요한을 비롯한 한용운·정지용·이상화·박두진 등의 시에서 현대 자유시의 일맥이 사설시조의 자연스러운 전승 위의 창작임을 알 수 있다.
요컨대 사설시조는 국문학상 최초로 보여지는 저항문학이며 형태상의 산문성 역시 자유시의 연원을 이루는 것으로 중요한 문학사적 의의를 가짐과 동시에 그 사실성 및 해학과 풍자적 수법은 한국시가문학에 있어 독자적인 것이라 할 수 있겠다. 또한 종래의 관습화된 미의식과 규범적 세계상으로부터 벗어난 인간의 모습, 욕망, 갈등을 시의 세계 안에 이끌어들이고 갖가지 비천한 것들까지도 적극적으로 다룸으로써 조선 후기 문학의 새로운 지평을 확대했다는 점도 주목되어야 할 것이다.
참고문헌
강명혜, 「사설시조의 미적 특성」(시조학논총 제 11집, 1997, 서울)
구자균,『조선평민문학사』, 대광문화사, 1955.
국어국문학회,『고시조연구』, 태학사, 1997
고정옥,『국어국문학요강』, 대학출판사, 1949.
김문기,『고전시가론』, 새문사, 1984
김수업,「시조의 발생 시기에 대하여」,『시조론(박철희편)』, 일조각, 1978.
김영수, 「사설시조에 나타난 성애와 평등의식의 고찰」(국문학논집 제18집, 2002, 서울)
김제현,『사설시조전집』, 영언문화사, 1985.
김제현, 「사설시조 연구」(경희대 박사학위 논문), 1990.
김제현,『시조문학론』, 예전사, 1992.
김제현, 「사설시조 내용에 관한 고찰: 시정신의 지향성을 중심으로」(한국문학연구 제3호, 1993, 서울)
김제현,『사설시조문학론』, 새문사, 1997
김학성,「사설시조의 장르 형성 재론」,『국문학의 탐구』, 성균관대학교 출판부, 1987.
김흥규 역,『한국고전문학전집 2 : 사설시조』, 고대민족문화연구소, 1993.
신연우,「사설시조의 발생과 평시조의 변이」,『한국고전시가사』, 집문당, 1997.
이병기,『국문학개론』, 일지사, 1961.
정병욱,『시조문학사전』, 신병문화사, 1966
정병욱,『한국고전시가론』, 신구출판사, 1984.
정재호,『한국시조문학론』, 태학사, 1999.
조규익,『만횡청류』, 박이정, 1996.
조동일,『한국문학통사3』, 지식산업사, 1994
진동혁,『고시조문학론』, 형설출판사, 1982
차주원, 「임·병란 이후 사설시조에 나타난 여성의식」, 『한국문학과 여성』, 박이정, 1997.
최동원,「장시조의 생성과 그 시대적 전개」,『고시조론』, 삼영사, 1986.
황충기,『장시조연구』, 국학자료원, 2000

키워드

  • 가격3,500
  • 페이지수20페이지
  • 등록일2011.03.28
  • 저작시기2008.7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6103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