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I 들어가며
II.복합 교수·학습 모형의 구안
1. 필요성
2. 복합 교수·학습 모형 구안 시 유의점
III. 반응 중심 복합 교수·학습 모형의 실제
1. 반응 중심 학습 모형과 창의성 계발 학습 모형의 원리와
상관성
IV. 반응 중심-창의성 계발 복합 교수·학습 모형 설계
1. 모형계발의 원리
2. 모형계발의 설계
3. 반응 중심 - 창의성 계발 복합 교수·학습 모형의 단계별 활동 방법
V. 반응 중심-창의성 계발 복합 교수·학습 모형의 적용(독창적으로 생각하기)
-청산은 내 뜻이오를 중심으로
II.복합 교수·학습 모형의 구안
1. 필요성
2. 복합 교수·학습 모형 구안 시 유의점
III. 반응 중심 복합 교수·학습 모형의 실제
1. 반응 중심 학습 모형과 창의성 계발 학습 모형의 원리와
상관성
IV. 반응 중심-창의성 계발 복합 교수·학습 모형 설계
1. 모형계발의 원리
2. 모형계발의 설계
3. 반응 중심 - 창의성 계발 복합 교수·학습 모형의 단계별 활동 방법
V. 반응 중심-창의성 계발 복합 교수·학습 모형의 적용(독창적으로 생각하기)
-청산은 내 뜻이오를 중심으로
본문내용
서는 작품에 대한 동기를 유발하기 위해 창의적인 생각을 이끌어낼 수 있는 발문을 통하여 학생들이 문학작품을 이해할 수 있는 방안을 시범 보일 수 있다. 이는 텍스트와 학생의 거래를 위하여 반응 준비하기 단계의 주요 활동 중 하나인 학습 동기의 유발과 학습 문제 및 목표의 확인, 작품에 대한 스키마의 형성에 큰 도움을 줄 수 있다.
이 후, 반응을 형성하는 단계는 심미적인 독서활동을 통하여 텍스트에 대한 학습자의 반응을 형성하는 단계로 작품의 정서와 분위기를 파악한 후 반응의 동기를 심화시켜 작품에 대한 문제의식을 제기하는 과정이라 할 수 있다. 심미적 독서활동이 이루어지기위해서 교사는 학습자가 문학 작품에 거리감을 갖거나 부정적인 선입견을 갖지 않도록 하기 위해 노력해야한다. 때문에 이 단계에서는 난해한 어휘나 구절, 작품의 배경 등이 낯설어 학습자가 작품을 수용하는 데 있어서의 어려움을 제거해주고 그 작품에 대해 친밀감이나 호기심을 갖도록 노력해야 한다. 또, 작품의 화자가 말하고자 하는 것은 무어싱ㄴ지, 텍스트 내에 드러난 문제 사태나 의식은 무엇이며 어떻게 풀어 나가야좋은지 학생들로 하여금 작품에 대한 문제의식을 제기하는 과정이며, 이러한 여유에서 이 단계에서의 활동은 교사와 학생간의 교류가 중심이 되고 교사의 문학적 지식의 제공이 필요하다.
두 번째 단계인 아이디어 산출과 의견교환을 통한 반응 명료화 단계에서는 작품의 내용을 파악하는 데 있어 교사의 창의적 사고를 유발할 수 있는 발문과 다양한 교수 학습 활동을 통해 전개시켜 나갈 수 있다. 작품을 읽고 내용을 살펴보는 데 있어서의 교사의 발문과 그에 따른 학생들의 반응, 풍부한 해석을 도출시킬 수 있는 창의적 사고 기법의 활용은 반응 중심 교수학습과 창이성 교수학습의 강점으로 작용할 수 있을 것이다. 특히 창의성 계발 기법을 최대한 활용하여 학습자가 자유분방한 사고와 양적으로도 풍부한 반응을 보일 수 있도록 교사는 평가와 비판에 대하여 판단을 유보하여야 하며, 수용적인 분위기를 유지할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한다.
의견교환 단계에서는 교사의 발문을 통한 교사와 학생의 의견교관, 그리고 짝과의 의견교환이나 소집단 토의를 통한 의견교환을 통하여 학습자 개개인의 습관화된 반응의 반성을 이끌어 낼 수 있다. 작품을 읽은 후 명료화하기 단계에서 도출된 아이디어에 대한 교사 또는 동료 집단과의 집단적은 반응은 학생들에게 더욱 정교화 된 새로운 아이디어를 도출하도록 도와줄 수 있고 더 나아가 의견교환이나 토의 후의 반응에 대한 기록(숙고적 쓰기)은 학습자가 아무 간섭 없이 자신의 반응을 응시하고 성찰하는 데 좋은 전략으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마지막으로 작품의 재구성을 통한 반응의 심화단계에서는 텍스트에 대한 학생들의 다양하고 풍부한 반응을 통해 확장된 것을 바탕으로 새로운 텍스트의 창작까지 나아가게 할 수 있다.
여러 가지 형태로 진행될 수 있는데 반응 명료화하기 단계에서 진행된 창의적 사고를 유발 할 수 있는 기법과 의견교환을 활용하여 산출된 아이디어를 활용할 수 있어야 한다. 마인드맵이나 브레인스토밍, 스캠퍼 기법을 통해 산출된 아이디어가 의견교환을 거쳐 더욱 정교화된 아이디어를 바탕으로 이를 응용하여 짧은 이야기에 살을 붙여 좀 더 자세하고 구체적으로 꾸며 쓰는 활동을 할 수도 있고 이야기를 만들어 보게 할 수도 있다. 그리고 어떤 글에 특정한 내용을 삽입하여 이야기를 좀 더 풍성하게 꾸미거나 반대로 불필요한 내용을 삭제하거나 재구성하는 활동도 정교성을 길러주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진달래꽃을 통해 대중가요처럼 약간의 개사를 해보는 활동도 가능하며, 이야기를 압축시킨 시 형태에서 길게 풀어보는 산문형식으로 바꿔 보는 활동 등은 학습자에게 도 다른 흥미를 제공할 것이다. 주인공을 자신이 생각하는 인물로 바꾸어 보든가, 청산별곡에 드러난 소재를 다른 학습자가 생각해낸 다른 소재로 바꾸어 자신의 느낌에 따라 작품을 산문으로 바꾸는 활동을 통해 주인공이 누가 되느냐, 소재가 무엇이 되느냐에 따라 작품의 변화를 느끼는 활동도 해 볼 수 있을 것이다.
원본을 가지고 내용의 결론을 다르게 하거나, 인물을 새롭게 창조하거나, 노래의 경우 개사를 해보거나 하는 활동은 학생들의 창의성 신장에 도움이 될 것이다.
또한 텍스트에 대한 확산적인 통찰을 위하여 수업시간에 다룬 텍스트와의 상호텍스트성을 발견할 수 있는 작품과의 비교를 통해 텍스트에 대한 이해를 넓히도록 한다.
V. 반응 중심-창의성 계발 복합 교수·학습 모형의 적용
(독창적으로 생각하기)
-청산은 내 뜻이오를 중심으로
소단원명
청산은 내 뜻이오
대상
중 3
지도교사
홍경희
차시
1-4차시
학습모형
반응 중심-창의성 계발 복합 교수·학습 모형
학습목표
1. 작품을 꼼꼼히 읽고 그것을 바탕으로 작품을 다양한 맥락에서 이해하고 감상한다.
2. 다양한 시각과 방법이나 자신의 삶과 연결지어 문학 작품의 내용을 창의적으로 재구성한다.
학습단계
교수·학습 활동
1단계
창의적 발문을 통한
반응의 준비 및 형성
(50분)
●창의적 발문을 통한 작품의 동기 유발
‘사랑과 그리움’이 주제인 황진이의 시조 청산은 내 뜻이오에 관심을 갖도록 동기 유발을 한다.
- 이성에 관심이 생기는 중3 학생들에게 사랑과 이별, 그리움에 대해 솔직히 이야기하게 한다.
- 이성에 대한 관심과 이별의 감정을 느끼는 순간은 언제인가?
- 좋아하는 이성에 대한 마음과 슬펐던 적을 말해보라.
- 황진이의 당당했던 기녀시절의 영상을 보여주고 난 뒤 ‘그의 사랑이 얼마나 애절해 보이는 지 이야기 한다.
●학습 목표의 확인
- 작품을 꼼꼼히 읽고 그것을 바탕으로 작품을 다양한 맥락에서 이해하고 감상한다.
- 다양한 시각과 방법이나 자신의 삶과 연결지어 문학 작품의 내용을 창의적으로 재구성한다.
●심미적 독서활동 고양 및 작품의 문제의식 제기
- 심미적 독서활동을 하기 전에 학생들이 어려울 법한 어휘를 해석해준다.
청산은 내 뜻이오 녹수 님의 정이,
녹수 흘러간들청산이야 변손가.
녹수도 청산을못 니져 우러 예어 가고.
↓
청산은 내 뜻이오, 녹수는 임의 정이로다.
녹수가 흘러가도 청산이 변하겠는가
녹수도 청산을
이 후, 반응을 형성하는 단계는 심미적인 독서활동을 통하여 텍스트에 대한 학습자의 반응을 형성하는 단계로 작품의 정서와 분위기를 파악한 후 반응의 동기를 심화시켜 작품에 대한 문제의식을 제기하는 과정이라 할 수 있다. 심미적 독서활동이 이루어지기위해서 교사는 학습자가 문학 작품에 거리감을 갖거나 부정적인 선입견을 갖지 않도록 하기 위해 노력해야한다. 때문에 이 단계에서는 난해한 어휘나 구절, 작품의 배경 등이 낯설어 학습자가 작품을 수용하는 데 있어서의 어려움을 제거해주고 그 작품에 대해 친밀감이나 호기심을 갖도록 노력해야 한다. 또, 작품의 화자가 말하고자 하는 것은 무어싱ㄴ지, 텍스트 내에 드러난 문제 사태나 의식은 무엇이며 어떻게 풀어 나가야좋은지 학생들로 하여금 작품에 대한 문제의식을 제기하는 과정이며, 이러한 여유에서 이 단계에서의 활동은 교사와 학생간의 교류가 중심이 되고 교사의 문학적 지식의 제공이 필요하다.
두 번째 단계인 아이디어 산출과 의견교환을 통한 반응 명료화 단계에서는 작품의 내용을 파악하는 데 있어 교사의 창의적 사고를 유발할 수 있는 발문과 다양한 교수 학습 활동을 통해 전개시켜 나갈 수 있다. 작품을 읽고 내용을 살펴보는 데 있어서의 교사의 발문과 그에 따른 학생들의 반응, 풍부한 해석을 도출시킬 수 있는 창의적 사고 기법의 활용은 반응 중심 교수학습과 창이성 교수학습의 강점으로 작용할 수 있을 것이다. 특히 창의성 계발 기법을 최대한 활용하여 학습자가 자유분방한 사고와 양적으로도 풍부한 반응을 보일 수 있도록 교사는 평가와 비판에 대하여 판단을 유보하여야 하며, 수용적인 분위기를 유지할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한다.
의견교환 단계에서는 교사의 발문을 통한 교사와 학생의 의견교관, 그리고 짝과의 의견교환이나 소집단 토의를 통한 의견교환을 통하여 학습자 개개인의 습관화된 반응의 반성을 이끌어 낼 수 있다. 작품을 읽은 후 명료화하기 단계에서 도출된 아이디어에 대한 교사 또는 동료 집단과의 집단적은 반응은 학생들에게 더욱 정교화 된 새로운 아이디어를 도출하도록 도와줄 수 있고 더 나아가 의견교환이나 토의 후의 반응에 대한 기록(숙고적 쓰기)은 학습자가 아무 간섭 없이 자신의 반응을 응시하고 성찰하는 데 좋은 전략으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마지막으로 작품의 재구성을 통한 반응의 심화단계에서는 텍스트에 대한 학생들의 다양하고 풍부한 반응을 통해 확장된 것을 바탕으로 새로운 텍스트의 창작까지 나아가게 할 수 있다.
여러 가지 형태로 진행될 수 있는데 반응 명료화하기 단계에서 진행된 창의적 사고를 유발 할 수 있는 기법과 의견교환을 활용하여 산출된 아이디어를 활용할 수 있어야 한다. 마인드맵이나 브레인스토밍, 스캠퍼 기법을 통해 산출된 아이디어가 의견교환을 거쳐 더욱 정교화된 아이디어를 바탕으로 이를 응용하여 짧은 이야기에 살을 붙여 좀 더 자세하고 구체적으로 꾸며 쓰는 활동을 할 수도 있고 이야기를 만들어 보게 할 수도 있다. 그리고 어떤 글에 특정한 내용을 삽입하여 이야기를 좀 더 풍성하게 꾸미거나 반대로 불필요한 내용을 삭제하거나 재구성하는 활동도 정교성을 길러주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진달래꽃을 통해 대중가요처럼 약간의 개사를 해보는 활동도 가능하며, 이야기를 압축시킨 시 형태에서 길게 풀어보는 산문형식으로 바꿔 보는 활동 등은 학습자에게 도 다른 흥미를 제공할 것이다. 주인공을 자신이 생각하는 인물로 바꾸어 보든가, 청산별곡에 드러난 소재를 다른 학습자가 생각해낸 다른 소재로 바꾸어 자신의 느낌에 따라 작품을 산문으로 바꾸는 활동을 통해 주인공이 누가 되느냐, 소재가 무엇이 되느냐에 따라 작품의 변화를 느끼는 활동도 해 볼 수 있을 것이다.
원본을 가지고 내용의 결론을 다르게 하거나, 인물을 새롭게 창조하거나, 노래의 경우 개사를 해보거나 하는 활동은 학생들의 창의성 신장에 도움이 될 것이다.
또한 텍스트에 대한 확산적인 통찰을 위하여 수업시간에 다룬 텍스트와의 상호텍스트성을 발견할 수 있는 작품과의 비교를 통해 텍스트에 대한 이해를 넓히도록 한다.
V. 반응 중심-창의성 계발 복합 교수·학습 모형의 적용
(독창적으로 생각하기)
-청산은 내 뜻이오를 중심으로
소단원명
청산은 내 뜻이오
대상
중 3
지도교사
홍경희
차시
1-4차시
학습모형
반응 중심-창의성 계발 복합 교수·학습 모형
학습목표
1. 작품을 꼼꼼히 읽고 그것을 바탕으로 작품을 다양한 맥락에서 이해하고 감상한다.
2. 다양한 시각과 방법이나 자신의 삶과 연결지어 문학 작품의 내용을 창의적으로 재구성한다.
학습단계
교수·학습 활동
1단계
창의적 발문을 통한
반응의 준비 및 형성
(50분)
●창의적 발문을 통한 작품의 동기 유발
‘사랑과 그리움’이 주제인 황진이의 시조 청산은 내 뜻이오에 관심을 갖도록 동기 유발을 한다.
- 이성에 관심이 생기는 중3 학생들에게 사랑과 이별, 그리움에 대해 솔직히 이야기하게 한다.
- 이성에 대한 관심과 이별의 감정을 느끼는 순간은 언제인가?
- 좋아하는 이성에 대한 마음과 슬펐던 적을 말해보라.
- 황진이의 당당했던 기녀시절의 영상을 보여주고 난 뒤 ‘그의 사랑이 얼마나 애절해 보이는 지 이야기 한다.
●학습 목표의 확인
- 작품을 꼼꼼히 읽고 그것을 바탕으로 작품을 다양한 맥락에서 이해하고 감상한다.
- 다양한 시각과 방법이나 자신의 삶과 연결지어 문학 작품의 내용을 창의적으로 재구성한다.
●심미적 독서활동 고양 및 작품의 문제의식 제기
- 심미적 독서활동을 하기 전에 학생들이 어려울 법한 어휘를 해석해준다.
청산은 내 뜻이오 녹수 님의 정이,
녹수 흘러간들청산이야 변손가.
녹수도 청산을못 니져 우러 예어 가고.
↓
청산은 내 뜻이오, 녹수는 임의 정이로다.
녹수가 흘러가도 청산이 변하겠는가
녹수도 청산을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