응급실 토혈 hematemesis case study
본 자료는 7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해당 자료는 7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7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응급실 토혈 hematemesis case study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일반적 정보

2. 문헌고찰

3. 약물

4. 진단검사

5. 간호과정

본문내용

시하여 호흡이 원활히 이루어
지는지를 확인한다.
3. Hb 수치를 검사하여 산소공급의 정도를
파악한다.
<치료적 계획>
1. 기도유지를 위해 적절한 자세를 취해준다.
2. 필요시 suction을 시행한다.
3. 대상자에게 구강 음식 섭취를 제한한다.
4. 필요시 처방된 약물을 투여한다.
<교육적 계획>
1. 보호자와 대상자에게 토혈을 하는 즉시
알릴 것을 교육한다.
2. 대상자에게 토혈 발생 시 취해야 할 자세
를 교육한다.
<진단적 계획>
1. 활력징후는 모든 질병의 지표가
된다.
2, 3. LAB 수치는 환자의 정확한 상
태를 나타낸다.
<치료적 계획>
1. 상체를 약간 높인 자세는 기도를
유지하고 기도로의 흡인 위험을
감소시켜준다.
2. suction을 통해 대상자의 구강 안
에 있는 분비물을 제거하여 흡인
위험을 줄인다.
3. 구강으로 음식을 섭취하면 식도
정맥류가 파열되어 토혈이 반복
될 가능성이 높고 이로 인해 흡
인의 위험성이 높아진다.
4. 아루사루민액(소화성 궤양용제)을
경구로 투여하여 위장관 증상을
완화시킬 수 있다.
<교육적 계획>
1. 대상자의 상태를 의료진에게 즉시
알림으로써 대상자에게 필요한
의학적 조치를 빠르게 취할 수 있
다.
2. 토혈 발생 시 취해야 할 자세를
교육함으로써 대상자의 이해를
돕고 지속적인 간호가 가능하다.
간호수행
11/7
- 4시간 간격으로 대상자의 활력징후를 측정하였다.
SpO2
BP
HR
RR
BT
11:00
92
127/80
77
24
36.5
15:00
95
120/64
79
20
36.4
19:00
96
157/73
70
17
36.8
23:00
96
127/64
72
15
36.6
- ABGA를 실시하여 대상자의 호흡이 원활히 이루어지는지 사정하였다.
pH
7.33▼
pCO2
47▲
pO2
113▲
ABEe(Base excess)
-2
HCO3(bicarbonate)
24
TCO2(CO2 content)
26
SaO2(O2 saturation)
98
- 대상자의 Hb수치를 검사하여 산소공급의 정도를 파악하였다.
11/7
9.3▼
- 대상자의 기도를 유지하고 흡인을 방지하기 위해 침상머리를 30도 올려주
었다.
- 대상자에게 식도 정맥류 파열, 기도흡인방지를 위해 금식을 해야 함을 설
명하고 구강 음식 섭취를 제한하였다.
- 보호자와 대상자에게 토혈을 하는 즉시 의료진에게 알릴 것을 교육하였
다.
- 대상자에게 토혈 발생 시 상체를 올리고 만약 누워있을 때 토혈이 발생할
경우 즉시 고개를 옆으로 돌려 혈액이 기도로 흡인되지 않도록 교육하였
다.
11/8
- 4시간 간격으로 대상자의 활력징후를 측정하였다.
SpO2
BP
HR
RR
BT
00:00
95
113/59
69
17
36.5
04:00
94
129/68
62
17
36.6
08:00
91
124/63
70
11
36.5
12:00
96
113/68
68
17
36.6
16:00
94
123/64
66
16
36.6
20:00
92
123/65
65
18
36.8
- 대상자의 Hb수치를 검사하여 산소공급의 정도를 파악하였다.
11/8
9.1▼
- 대상자의 기도를 유지하고 흡인을 방지하기 위해 침상머리를 30도 올려주
었다.
- 처방된 소화성 궤양용제인 아루사루민액 15mL를 PO로 1일 3회 투여하였
다. → 9a.m. / 13p.m. / 20p.m.
- 대상자의 구강음식섭취를 제한하였다.
11/9
- 4시간 간격으로 대상자의 활력징후를 측정하였다.
SpO2
BP
HR
RR
BT
00:00
94
122/63
67
16
-
04:00
96
115/58
66
16
-
08:00
99
114/60
66
17
36.5
- 대상자의 Hb수치를 검사하여 산소공급의 정도를 파악하였다.
11/9
9.0▼
- 대상자의 기도를 유지하고 흡인을 방지하기 위해 침상머리를 30도 올려주
었다.
- 대상자의 구강음식섭취를 제한하였다.
간호평가
11/7
대상자는 6시간 이내에 산소포화도가 95%(11/7 15:00 기준)로 정상범위 내에 있었으므로 단기목표 1은 달성 되었다. 대상자는 3시간 이내에 치료적 금식의 이유(식도 정맥류 파열, 기도흡인방지)를 설명하고 기도 흡인을 예방하는 자세 (침
상 머리를 30도 올림, 토혈 발생 시 상체를 올리고 만약 누워있을 때 토혈이 발생할 경우 즉시 고개를 옆으로 돌려야 함)를 설명하였으므로 단기목표 2는 달성되었다. 대상자는 기도흡인이 일어나지 않았으나 대상자는 아직 퇴실하지 않았으므로 장기목표는 사정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11/8
대상자는 6시간 이내에 산소포화도가 95%(11/7 15:00 기준)로 정상범위 내에 있었으므로 단기목표 1은 달성 되었다. 대상자는 3시간 이내에 치료적 금식의 이유(식도 정맥류 파열, 기도흡인방지)를 설명하고 기도 흡인을 예방하는 자세 (침
상 머리를 30도 올림, 토혈 발생 시 상체를 올리고 만약 누워있을 때 토혈이 발생할 경우 즉시 고개를 옆으로 돌려야 함)를 설명하였으므로 단기목표 2는 달성되었다. 대상자는 기도흡인이 일어나지 않았으나 대상자는 아직 퇴실하지 않았으므로 장기목표는 사정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11/9
대상자는 6시간 이내에 산소포화도가 95%(11/7 15:00 기준)로 정상범위 내에 있었으므로 단기목표 1은 달성 되었다. 대상자는 3시간 이내에 치료적 금식의 이유(식도 정맥류 파열, 기도흡인방지)를 설명하고 기도 흡인을 예방하는 자세 (침
상 머리를 30도 올림, 토혈 발생 시 상체를 올리고 만약 누워있을 때 토혈이 발생할 경우 즉시 고개를 옆으로 돌려야 함)를 설명하였으므로 단기목표 2는 달성되었다. 대상자는 퇴실 시까지 기도흡인이 일어나지 않았으므로 장기목표는 달성되었다.
출처
- 응급간호학 (예하미디어). 이종소. (2005)
- 응급의학 (의학문화사). 윤여규. (2000)
- NANDA 간호진단과 중재 가이드 (현문사). 차영남 외. (2012)
- 성인간호학 상, 하 (현문사). 조경숙 외. (2016)
- 임상검사와 간호 (수문사). (1998)
- 킴스온라인 (www.kimsoline.co.kr)
- 드러그인포 (www.druginfo.co.kr)

키워드

  • 가격1,500
  • 페이지수20페이지
  • 등록일2018.12.04
  • 저작시기2017.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7245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