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서 론
2. 초기 선교사들의 정치의식
3. 역사적 사건과 선교사들의 대응
3.1. 독립협회 운동
3.2. 1907년 대부흥운동
3.3. 105인 사건
3.4. 3.1 운동
4. 결 론
- 참 고 문 헌 -
2. 초기 선교사들의 정치의식
3. 역사적 사건과 선교사들의 대응
3.1. 독립협회 운동
3.2. 1907년 대부흥운동
3.3. 105인 사건
3.4. 3.1 운동
4. 결 론
- 참 고 문 헌 -
본문내용
한국선교와 정교분리 역사-사건을 중심으로
교회와 국가
1. 서 론
한국 땅에 기독교가 전래되어 들어온 초기부터 선교사들은 정교분리 원칙을 가지고 있었다. 그러나 한 번도 정교분리 원칙이 철저히 지켜진 적은 없었다. 선교초기 한국의 정치적 역학관계로 인하여 선교사들은 민족문제에 대해 깊이 관여할 수밖에 없었다. 일제는 한반도를 지배하는데 있어서 한국인들의 독립운동에 가장 큰 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는 집단으로 기독교를 주목했으며, 이에 선교사들은 자신의 선교활동을 위하여 ‘정치적 중립’을 선언할 수밖에 없었고, ‘정교분리’ 원칙을 적용해야만 했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선교사들은 급변하는 역사의 소용돌이 속에서 자의로든 혹은 타의로든 한반도 내의 많은 문제에 개입할 수밖에 없었다.
따라서 한국선교 초기 선교사들은 그들이 철저한 ‘정교분리’ 원칙을 가지고 한국 땅을 밟았지만, 선교 현장에 와서는 현장의 정치적 상황 및 사회적 상황에 따라 ‘정교분리’원칙이 무너질 수밖에 없었던 것이다. 결국 원칙이 현실에 와서는 원칙대로 적용될 수 없었고, 선교지의 정치적, 사회적 상황에 따라 선교사들의 태도도 좌지우지 될 수밖에 없었던 것이다.
본 글에서는 먼저 초기 선교사들이 가졌던 정치의식을 살펴본 후, 구체적인 사건에서 어떻게 나타났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2. 초기 선교사들의 정치의식
한국 선교 초기에 한국에 온 선교사들은 대개 미국, 캐나다, 호주에서 파송된 사람들로서 경건주의와 복음주의 신앙유형에 속해 있었고, 정교분리의 근대 교파주의 교회론에 기운 자들이었다. 정교분리의 기반인 경건주의는 교회와 세속의 단절을 전제하거나 무시하는 신앙으로, 신령상의 문제와 내세에서의 복을 복음의 핵으로 가르치고 있었던 신학이다. 민경배, 『한국 민족교회 형성사론』, 연세대학교 출판부, 2008, p.37
결국 대부분의 초기 선교사들은 그들의 신앙유형상 ‘정교분리’의 원칙을 가지고 있었던 것이다. 이에 따라 당시 다수의 한국주재 선교사들이나 일제 침략 세력의 정책 당국자들은 한국교회가 ‘민족문제’ 혹은 ‘정치적 국권회복의 문제’에 적극적으로 가담하는 경향을 비판하며, 그 신학적 근거로 ‘정교분리’의 원칙을 내세웠던 것이다. 서정민, 『한국교회의 역사』, 살림, 2003, p.21
예컨대 한국교회의 항일과 무력행사에 대하여 게일은 ‘광란’이라는 표현을 쓰면서까지 비판하였고, 민경배, 『한국기독교회사』, 연세대학교 출판부, 1994, p.233
감리교 선교사 해리스는 1906년 6월에 감리교의 엡
교회와 국가
1. 서 론
한국 땅에 기독교가 전래되어 들어온 초기부터 선교사들은 정교분리 원칙을 가지고 있었다. 그러나 한 번도 정교분리 원칙이 철저히 지켜진 적은 없었다. 선교초기 한국의 정치적 역학관계로 인하여 선교사들은 민족문제에 대해 깊이 관여할 수밖에 없었다. 일제는 한반도를 지배하는데 있어서 한국인들의 독립운동에 가장 큰 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는 집단으로 기독교를 주목했으며, 이에 선교사들은 자신의 선교활동을 위하여 ‘정치적 중립’을 선언할 수밖에 없었고, ‘정교분리’ 원칙을 적용해야만 했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선교사들은 급변하는 역사의 소용돌이 속에서 자의로든 혹은 타의로든 한반도 내의 많은 문제에 개입할 수밖에 없었다.
따라서 한국선교 초기 선교사들은 그들이 철저한 ‘정교분리’ 원칙을 가지고 한국 땅을 밟았지만, 선교 현장에 와서는 현장의 정치적 상황 및 사회적 상황에 따라 ‘정교분리’원칙이 무너질 수밖에 없었던 것이다. 결국 원칙이 현실에 와서는 원칙대로 적용될 수 없었고, 선교지의 정치적, 사회적 상황에 따라 선교사들의 태도도 좌지우지 될 수밖에 없었던 것이다.
본 글에서는 먼저 초기 선교사들이 가졌던 정치의식을 살펴본 후, 구체적인 사건에서 어떻게 나타났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2. 초기 선교사들의 정치의식
한국 선교 초기에 한국에 온 선교사들은 대개 미국, 캐나다, 호주에서 파송된 사람들로서 경건주의와 복음주의 신앙유형에 속해 있었고, 정교분리의 근대 교파주의 교회론에 기운 자들이었다. 정교분리의 기반인 경건주의는 교회와 세속의 단절을 전제하거나 무시하는 신앙으로, 신령상의 문제와 내세에서의 복을 복음의 핵으로 가르치고 있었던 신학이다. 민경배, 『한국 민족교회 형성사론』, 연세대학교 출판부, 2008, p.37
결국 대부분의 초기 선교사들은 그들의 신앙유형상 ‘정교분리’의 원칙을 가지고 있었던 것이다. 이에 따라 당시 다수의 한국주재 선교사들이나 일제 침략 세력의 정책 당국자들은 한국교회가 ‘민족문제’ 혹은 ‘정치적 국권회복의 문제’에 적극적으로 가담하는 경향을 비판하며, 그 신학적 근거로 ‘정교분리’의 원칙을 내세웠던 것이다. 서정민, 『한국교회의 역사』, 살림, 2003, p.21
예컨대 한국교회의 항일과 무력행사에 대하여 게일은 ‘광란’이라는 표현을 쓰면서까지 비판하였고, 민경배, 『한국기독교회사』, 연세대학교 출판부, 1994, p.233
감리교 선교사 해리스는 1906년 6월에 감리교의 엡
키워드
추천자료
[장로][장로교][장로교회][기독교][장로 개념][장로교회 역사][장로교회 제도][장로교회 예배...
근대 교회의 선교역사, 현대 교회의 선교역사, 한국 교회의 선교
[한국교회사]한국 교회의 토착화(민중신학의 등장) - 선교의 역사와 민중신학에 대하여
경교의 전래와 한국 천주교의 창시까지
'글로벌시대의 한국교회'를 읽고... (민경배교수 저)
서구중심적 서구열강의 선교와 현대 한국교회의 제국주의적 선교
한국민족교회론의 교회와 국가론적 점검 - 일제 말기 한국민족교회의 두 사례를 중심으로 [교...
제국주의 시대의 중국 선교와 수용양상 - 교안(敎案)과 태평천국의 난을 중심으로 [교회와 국가]
세계선교대회와 한국교회의 에큐메니즘 - 1910년 에든버러 대회와 1928년 예루살렘 대회를 중...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