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남성과 여성의 생식기
I. 호르몬과 성
II. 사춘기의 신체적 변화
III. 여성의 생리적 구조
IV. 남성의 생리적 구조
* 참고문헌
I. 호르몬과 성
II. 사춘기의 신체적 변화
III. 여성의 생리적 구조
IV. 남성의 생리적 구조
* 참고문헌
본문내용
등의 외성기와 내부에 있어서 보이지 않는 자궁, 난관, 난소 등의 내성기가 있다. 내성기는 임신과 직접 관계가 있는 성 기관으로서 여성의 신체 내부에 깊숙이 있다. 이곳에서 배란과 수정이 이루어지고, 태아가 출산 전까지 안전하게 성장하며 분만할 수 있다. 또한 부부간의 성교 역할을 돕는 성감대이기도 하다.
<그림> 여성의 생리적 구조
여성은 초경 이후 매달 한 번씩 1개의 난자가 배출되어 호르몬의 변화에 따른 생리 현상이 있다. 난소에 주기적인 배란 현상이 있으며 자궁이나 난관, 질에도 주기적인 생리적 변화가 일어난다. 이러한 난소 주기를 지배하고 있는 것은 호르몬 주기의 중추이다. 이러한 생리적 현상이나 성적 행동을 조절하고 있는 중추는 뇌의 뇌하수체 전엽으로서 직접 혈액 내로 보내어 혈류에 따라 각 기관을 돌며 신체의 성기능을 조절하고 있는 것이다.
<그림> 여성 생식기의 단면도
IV. 남성의 생리적 구조
남성의 신체 외부를 보면 남성의 성기는 음경과 음낭을 볼 수 있다. 남성의 성기는 사춘기부터 성인에 이를 때까지 내 외부의 변화를 보이며 성장된다. 음경은 아래 기둥의 역할을 할 수 있는 몸체와 그 위에 모자를 씌워 놓은 것처럼 보이는 귀두로 이루어져 있다.
<그림> 남성 외성기의 모양
귀두는 음경의 맨 윗부분으로 둥글며 송이버섯의 윗부분과 흡사하다. 요도구는 오줌이나 사정 후 정액이 몸 밖으로 배출되는 구멍이 된다. 음낭은 음경 밀에 있고, 그 안에 두 개의 고환이 들어 있어 정자의 생산을 돕는다. 항문은 배설물을 몸 밖으로 배출하는 구멍으로, 실질적으로 성기는 아니지만 성기 부분에 위치하고 있고 성감대이기도 하다.
<그림> 남성의 생식기관
남성의 사춘기에는 뇌하수체의 영향으로 고환 안에 위치해 있는 정세관에서 정자의 생산을 시작한다. 정자의 생산은 직 간접적으로 두 종류의 성 샘 자극 호르몬에 의해 영향을 받는데, 테스토스테론은 고환 내에서 정자의 생산을 촉진시키는 기능 외에도 생식기 계통의 부수적인 기관의 발달, 2차 성징의 발현, 그리고 성생활에 관련된 행동이나 기능에도 주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남성의 호르몬 주기나 정자의 생산, 테스토스테론의 분비 현상 등은 남성의 일생에 걸쳐 꾸준하고 일정한 유형으로 활동과 기능이 지속되는데, 여성의 호르몬 주기에서 나타나는 규칙성과는 큰 차이를 보인다.
* 참고문헌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 고명수/이승현 외 3명 저, 정민사, 2018
발달심리학 : 전생애 인간발달 / 정옥분 저 / 학지사 / 2014
조직과 인간관계론 - 이택호/강정원 저, 북넷, 2013
인간발달 / 조복희, 도현심 외 1명 저 / 교문사 / 2016
인간행동과 심리학 - 김청송/오세진 외3명 저, 학지사, 2015
사회복지서비스 : 한국산업인력공단, 진한엠앤비, 2015
성격심리학 / 권석만 저 / 학지사 / 2017
성장발달과 건강 : 김태임, 김희순 외 3명 저 / 2014 / 교문사
심리학개론 / 이명랑 저 / 더배움 / 2017
인간발달과 교육 / 이현림, 김영숙 저 / 교육과학사 / 2016
<그림> 여성의 생리적 구조
여성은 초경 이후 매달 한 번씩 1개의 난자가 배출되어 호르몬의 변화에 따른 생리 현상이 있다. 난소에 주기적인 배란 현상이 있으며 자궁이나 난관, 질에도 주기적인 생리적 변화가 일어난다. 이러한 난소 주기를 지배하고 있는 것은 호르몬 주기의 중추이다. 이러한 생리적 현상이나 성적 행동을 조절하고 있는 중추는 뇌의 뇌하수체 전엽으로서 직접 혈액 내로 보내어 혈류에 따라 각 기관을 돌며 신체의 성기능을 조절하고 있는 것이다.
<그림> 여성 생식기의 단면도
IV. 남성의 생리적 구조
남성의 신체 외부를 보면 남성의 성기는 음경과 음낭을 볼 수 있다. 남성의 성기는 사춘기부터 성인에 이를 때까지 내 외부의 변화를 보이며 성장된다. 음경은 아래 기둥의 역할을 할 수 있는 몸체와 그 위에 모자를 씌워 놓은 것처럼 보이는 귀두로 이루어져 있다.
<그림> 남성 외성기의 모양
귀두는 음경의 맨 윗부분으로 둥글며 송이버섯의 윗부분과 흡사하다. 요도구는 오줌이나 사정 후 정액이 몸 밖으로 배출되는 구멍이 된다. 음낭은 음경 밀에 있고, 그 안에 두 개의 고환이 들어 있어 정자의 생산을 돕는다. 항문은 배설물을 몸 밖으로 배출하는 구멍으로, 실질적으로 성기는 아니지만 성기 부분에 위치하고 있고 성감대이기도 하다.
<그림> 남성의 생식기관
남성의 사춘기에는 뇌하수체의 영향으로 고환 안에 위치해 있는 정세관에서 정자의 생산을 시작한다. 정자의 생산은 직 간접적으로 두 종류의 성 샘 자극 호르몬에 의해 영향을 받는데, 테스토스테론은 고환 내에서 정자의 생산을 촉진시키는 기능 외에도 생식기 계통의 부수적인 기관의 발달, 2차 성징의 발현, 그리고 성생활에 관련된 행동이나 기능에도 주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남성의 호르몬 주기나 정자의 생산, 테스토스테론의 분비 현상 등은 남성의 일생에 걸쳐 꾸준하고 일정한 유형으로 활동과 기능이 지속되는데, 여성의 호르몬 주기에서 나타나는 규칙성과는 큰 차이를 보인다.
* 참고문헌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 고명수/이승현 외 3명 저, 정민사, 2018
발달심리학 : 전생애 인간발달 / 정옥분 저 / 학지사 / 2014
조직과 인간관계론 - 이택호/강정원 저, 북넷, 2013
인간발달 / 조복희, 도현심 외 1명 저 / 교문사 / 2016
인간행동과 심리학 - 김청송/오세진 외3명 저, 학지사, 2015
사회복지서비스 : 한국산업인력공단, 진한엠앤비, 2015
성격심리학 / 권석만 저 / 학지사 / 2017
성장발달과 건강 : 김태임, 김희순 외 3명 저 / 2014 / 교문사
심리학개론 / 이명랑 저 / 더배움 / 2017
인간발달과 교육 / 이현림, 김영숙 저 / 교육과학사 / 2016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