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I. 언어의 기능
II. 언어의 특징
III. 언어자극의 위계적 구조
IV. 문법
1. 구절구조문법
2. 변형생성문법
V. 언어이해과정
1. 단어의 의미추출 과정
2. 문장의 이해 - 심성모형의 형성
* 참고문헌
II. 언어의 특징
III. 언어자극의 위계적 구조
IV. 문법
1. 구절구조문법
2. 변형생성문법
V. 언어이해과정
1. 단어의 의미추출 과정
2. 문장의 이해 - 심성모형의 형성
* 참고문헌
본문내용
부적절: 용서란 사과라는 단어의 동의어), 용기(통제어)를 제시하고 어휘판단과제(단어인지 아닌지 판단하는 과제)를 시켰다. 그 결과 초기 300ms까지는 ‘과일'이라는 단어와 봉서'라는 단어의 반응시간이 같았다. 즉 둘 다 사과라는 단어로부터 활성화의 촉진이 있었다. 그 이후에는 맥락에 맞는 학일'만 활성화에 촉진이 일어나고 맥락에 부적절한 '용서'라는 단어는 촉진이 없었다. 이 사실은 단어를 만나게 되면 관련된 정보가 동시에 활성화되었다가 맥락에 부합되는 정보만 선택되어 활성화된다는 것을 보여준다. 이런 실험의 결과는 단어를 만나게 되면 그 단어의 초기에는 여러 뜻이 활성화되었다가 맥락에 적절한 의미만 추출된다는 것을 보여준다. 즉 마음의 사전(lexicon-심성어휘집 이라고 함)에서 맥락에 맞는 적절한 의미의 단어를 추출하여 사용한다.
2. 문장의 이해 - 심성모형의 형성
글자극이 제시되면 심성어휘집(mental lexicon)을 참조하여 즉각 그 어취항목을 재인한다. 앞에서 언급했듯이, 이 과정에서 글자극에 대응되는 개념이 활성화될 뿐만 아니라 관련된 지식구조로 그 활성화를 확산시킨다. 맥락에 부합되는 개념의 활성화는 계속 유지되어 다른 개념들과 연결되어 명제를 구성한다.
명제가 구성되면 이미 처리된 정보와 통합되어 지식구조 속에 편입되는데, 이때 글에 제시된 여러 가지 정보통합요소들이 사용된다. 의미 단위를 통합하는데 사용되는 언어적 인지적 요소로는 접속사, 대용어, 인과관계 등이 있을 수 있다. 이 가운데서 특히 인과관계에 기초한세상지식이 명제들을 통합하는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된다. 글에 제공된 정보들이 통합되어 초보적인 의미망이 구성되는데, 이것을 글기반(textbase)이라고 한다(Kintsch, 1988; Kintsch & van Dijk, 1978). 글기반에 기초하여 글의 요지를 형성하고 글이 지시하는 바, 상황에 대한 이해를 하게 된다. 이렇게 형성된 글에 대한 지식구조를 심성모형(mental model) 혹은 상황모형(situation model)이라고 한다(van Dijk & Kintsch, 1983). 상황모형은 말에 기초해서 형성된 세상에 대한 이해라고 보면 된다. '친구와 싸웠다'라는 문장에서 우리는 '서로 적대적 감정을 가지고 있고, 폭력이 있었으며 당분간 어색한 관계가 지속될 것' 이라는 등의 이해를 한다. 이것이 상황모형이다. 상황모형은 단순한 글의 이해가 아니라 글이 지시하는 상황을 이해하는 지적 모형 혹은 틀(frame)이다.
* 참고문헌
교육심리학 : 학습심리학 / 이웅 저 / 한국교육기획 / 2009
발달심리학 / 곽금주 저 / 학지사 / 2016
심리학개론 / 이명랑 저 / 더배움 / 2017
아들러 인생방법 심리학/알프레드 아들러 저, 한성자 역/동서문화사/2017
상담심리학 / 이수연 저 / 양성원 / 2017
성격심리학 / 권석만 저 / 학지사 / 2017
발달심리학 : 전생애 인간발달 / 정옥분 저 / 학지사 / 2014
심리학의 이해 / 방선욱 저 / 교육과학사 / 2003
2. 문장의 이해 - 심성모형의 형성
글자극이 제시되면 심성어휘집(mental lexicon)을 참조하여 즉각 그 어취항목을 재인한다. 앞에서 언급했듯이, 이 과정에서 글자극에 대응되는 개념이 활성화될 뿐만 아니라 관련된 지식구조로 그 활성화를 확산시킨다. 맥락에 부합되는 개념의 활성화는 계속 유지되어 다른 개념들과 연결되어 명제를 구성한다.
명제가 구성되면 이미 처리된 정보와 통합되어 지식구조 속에 편입되는데, 이때 글에 제시된 여러 가지 정보통합요소들이 사용된다. 의미 단위를 통합하는데 사용되는 언어적 인지적 요소로는 접속사, 대용어, 인과관계 등이 있을 수 있다. 이 가운데서 특히 인과관계에 기초한세상지식이 명제들을 통합하는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된다. 글에 제공된 정보들이 통합되어 초보적인 의미망이 구성되는데, 이것을 글기반(textbase)이라고 한다(Kintsch, 1988; Kintsch & van Dijk, 1978). 글기반에 기초하여 글의 요지를 형성하고 글이 지시하는 바, 상황에 대한 이해를 하게 된다. 이렇게 형성된 글에 대한 지식구조를 심성모형(mental model) 혹은 상황모형(situation model)이라고 한다(van Dijk & Kintsch, 1983). 상황모형은 말에 기초해서 형성된 세상에 대한 이해라고 보면 된다. '친구와 싸웠다'라는 문장에서 우리는 '서로 적대적 감정을 가지고 있고, 폭력이 있었으며 당분간 어색한 관계가 지속될 것' 이라는 등의 이해를 한다. 이것이 상황모형이다. 상황모형은 단순한 글의 이해가 아니라 글이 지시하는 상황을 이해하는 지적 모형 혹은 틀(frame)이다.
* 참고문헌
교육심리학 : 학습심리학 / 이웅 저 / 한국교육기획 / 2009
발달심리학 / 곽금주 저 / 학지사 / 2016
심리학개론 / 이명랑 저 / 더배움 / 2017
아들러 인생방법 심리학/알프레드 아들러 저, 한성자 역/동서문화사/2017
상담심리학 / 이수연 저 / 양성원 / 2017
성격심리학 / 권석만 저 / 학지사 / 2017
발달심리학 : 전생애 인간발달 / 정옥분 저 / 학지사 / 2014
심리학의 이해 / 방선욱 저 / 교육과학사 / 2003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