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약학] 기흉 케이스
본 자료는 6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해당 자료는 6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6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의약학] 기흉 케이스 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creaed
Rt. shoulder region pain(+)
흡연: 하루 6개 / 60years
Vital sign Purse 108, R 28 Spo2 93%, dyspnea
ABGA: PH 7.53 Pco2 32.6
호흡 시 마다 얼굴을 찡그리고 있음
간호 진단
흉강 내 공기유출과 관련된 통증
간호 목표
장기 목표
30일 이내에 금연에 대한 결심을 하고 금연한다.
단기 목표
1일안에 통증이 생겼을 때 PCA사용법을 안다.
- 3일안에 dyspnea가 완화 되며 정상호흡을 유지한다.
- 3일안에 통증사정도구 NRS가 8->2로 완화 된다.
- 3일안에 Vital sign과 ABGA 수치가 정상범위 안에 유지 한다.
간호 계획
1) 1회/day NRS를 측정한다.
2) 4회/day vital sign을 측정한다.
3) 침대를 조절하여 통증부위를 지지하도록 교육한다.
4) PCA사용법을 교육한다.
5) 호흡을 원활히 하게 하기 위해 반좌위를 취해준다.
6) 처방된 진통제를 투여하고 효능과/부작용에 대해 설명한다.
7) 금연 교육을 실시한다.
8) 환자가 힘들어 할 때 곁에 머무르면서 실제적인 도움이나 정서적 지지를 제공한다.
간호 수행
1) 1회/day NRS를 측정하였다.
-> 하루에 한번 0~10점의 통증 척도를 사용하여 pt에게 통증의 정도를 사정한다.
: NRS 8점 -> 5점으로 감소하였다.
2) 4회/day vital sign을 측정한다.
-> ①110/70 108 28 36.6/ ②110/70 112 26 36.7/ ③110/80 106 26 36.6/ ④ 110/70 100 24 36.7
3) 통증이 있을 시에 통증부위를 지지하도록 교육한다.
-> 통증이 발생하면 베게등으로 통증 부위를 지지하면 통증이 조금 완화될 수 있음을 교육한다.
4) PCA사용법을 교육한다. 1-15-1
-> 주기적으로 정맥을 통해서 진통제를 투여되고 있으며 통증이 극심할 때에는 버튼을 누르면 일정용량의 진통제가 투여되며, 한 번 누르면 15분동안은 다시 눌러도 진통제가 투여되지 않음을 설명한다. 이 진통제는 비마약성 진통제로 중독이 되지 않음을 교육한다.
5) 호흡을 원활히 하게 하기 위해 반좌위를 취해준다.
-> 반좌위를 취하면 기도가 확장되어서 호흡하기 원활함을 교육한다.
6) 처방된 진통제를 투여하고 효능과/부작용에 대해 설명한다.
-> pain이 심하면 간호사 한 테 이야기 하도록 하고 prn prder에 의해서 keral 50mg 정맥으로 투여한다.
7) 금연 교육을 실시한다.
-> 장기간의 흡연으로 인해서 기흉이 발생한 것이므로 금연을 교육한다.
8) 환자가 힘들어 할 때 곁에 머무르면서 실제적인 도움이나 정서적 지지를 제공한다.
간호 평가
1일안에 통증이 생겼을 때 PCA 사용법을 숙지하였으며, 3일안에 dyspnea가 완화 되며 정상호흡을 유지하고 있다. 3일안에 통증사정도구 NRS가 8->2로 완화 되었고, Vital sign과 ABGA 수치가 정상범위 안에 유지 하고 있다.
현재 금연에 대한 결심을 하였으니 아직 금연하지는 못하였다.
간호 사정
Subjective
Data
“숨쉬기가 힘들다”
“숨을 들이마셔야하는데 아파서 힘들다”
Objective
Data
- Wedge resection
- 수술후 NRS 통증 4점
- chest CTB 삽입
-호흡이 얕고 비교적 빠른 호흡양상을 보임
(28회)
간호 진단
폐허탈과 관련된 호흡곤란
간호 목표
장기 목표
30일 이내에 금연에 대한 결심을 하고 금연한다.
단기 목표
1일안에 통증이 생겼을 때 PCA사용법을 안다.
- 3일안에 dyspnea가 완화 되며 정상호흡을 유지한다.
- 3일안에 통증사정도구 NRS가 8->2로 완화 된다.
- 3일안에 Vital sign과 ABGA 수치가 정상범위 안에 유지 한다.
간호 계획
1) 대상자의 호흡곤란 양상을 측정한다.
2) 활력징후를 측정한다.
3) 환자가 침상안정을 취하도록 한다.
4) CTD 흉관 삽입부위의 밀폐유뮤를 사정한다.
5) 산소를 투여하여 저산소혈증을 교정한다.
6) 대상자의 호흡을 원활하게 할 수 있게 체위를 변경 해 준다.
간호 수행
1) 대상자의 V/S를 측정한다.
2) sPO2, Po2 정도를 측정한다.
3) 산소를 투여한다
4) 반좌위를 취해준다
5) 대상자의 불안정도를 사정하고 지지적 간호를 제공한다.
6) 통증으로 인한 호흡곤란과 관련이 있는지 사정한다.
7) 흉관배액병이 잘 작동하고 있는지 확인한다.
간호 평가
대상자의 산소포화도, 산소분압이 정상범위로 회복되었으며, 불안을 경험하지 않으며 흉관배액병이 잘 기능을 한다
간호 사정
Subjective
Data
-
Objective
Data
Chest tube 삽입 중 임
IV Line 보유하고 있음
간호 진단
침습적 처치와 관련된 감염 위험성
간호 목표
장기 목표
- 대상자는 감염의 위험성이 없다.
단기 목표
- 대상자의 WB C 수치가 정상이다.
- 대상자의 체온은 정상이다.
- 카테터를 삽입했던 부위 주변에 발열, 발적의 징후가 없다.
간호 계획
1) V/S을 8시간 간격으로 하루 세 번 측정한다.
2) 혈액 검사 결과 WBC 수치를 확인한다.
3) 카테터를 삽입했던 부위의 드레싱 부위를 만지기 전에는 손 씻기를 한다.
4) 카테터를 삽입했던 부위를 드레싱한다.
5) 카테터를 삽입했던 부위를 드레싱할 때 피부상태(부종, 발적,출혈,분비물)를 사정한다.
간호 수행
1) 1.활력징후를 8시간 간격으로 측정하였다.
BP
BT
P
R
3pm
8pm
10:40pm
11:30pm
110/80
110/80
110/70
110/70
36.2
36.5
36.5
36.4
88
108
108
112
20
20
20
20
2) 혈액 검사 결과 WBC는 정상범위를 유지하였다.
8일 : 6.44
9일 : 9.33
3) 드레싱 부위를 만질 때 손 씻기를 하였으며 보호자에게 손 씻기의 중요성을 교육하였다.
4) 계획대로 수행하는 것을 관찰였다.
5) 드레싱 부위는 안전하고 깨끗한 상태였다.
- 피부에 부종, 발적, 출혈, 분비물이 없었다.
간호 평가
대상자의 drain의 배액 관리가 적절하게 이루어
  • 가격2,000
  • 페이지수18페이지
  • 등록일2019.02.23
  • 저작시기2019.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8222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