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중국 무역전쟁 논문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미국 중국 무역전쟁 논문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국문 초록

I. 서론

II. 본론
제1절 미∙중 무역의 갈등 양상
1) 미∙중 간 무역마찰의 전개과정
2) 최근 세계무역환경
제2절 미∙중의 무역 동향
1) 미국의 무역 동향
2) 중국의 무역 동향
제3절 미∙중 무역갈등의 한국에의 영향

III.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무리한 기술이전 요구 등을 근거로 중국으로부터 수입되는 500억달러에 해당하는 수입품에 25% 관세부과 등이 그 예이다. 중국도 미국의 관세부과에 대응해 미국으로부터 수입되는 같은 규모의 상품에 25% 관세를 부과한다고 발표하는 등 맞서고 있다. 그러자 트럼프대통령은 중국의 이와 같은 조치에 대해 2,000억달러에 상응하는 중국수입품에 10% 관세를 추가로 부과하겠다고 천명했다. 나아가 트럼프대통령은 자동차와 그 부품에 대해서도 국가 안보를 이유로 20% 관세부과 검토를 지시한 바 있다. 미국은 중국에 대해 통상압력을 고조시키는 동시에 캐나다나 멕시코와 같은 미국의 전통적인 동맹국들과도 통상마찰을 일으키고 있다.
이렇듯 세계무역질서는 큰 혼동에 빠져있으며 앞으로의 예측도 어려운 상황이다. 자칫하면 세계무역전쟁으로 이어질 수 있다는 우려도 심각하게 나오고 있다. 지난달 제주 포럼에서 기조연설 국회, 전당 대회, 학회 따위에서 중요 인물이 기본 취지나 정책, 방향 따위에 대하여 설명하는 연설(국어사전)
을 한 미국 뉴욕시립대학의 폴크루그만교수는 세계무역전쟁이 발발하면 세계무역이 60% 이상 감소 할 수도 있다고 경고했다. 그만큼 세계무역 상황이 심각한 국면에 놓이게 된 것이다. 최근의 세계무역환경이 2차세계대전 이후 최악의 상태라고 생각 된다.
한국과 미중간 교역 구조
미국의 무역 동향
18년 6월 기준으로 미국 대외무역 총액은 전월 대비 0.02% 증가한 4740억 달러로 나타난 가운데, 무역수지 상품의 수출입 거래에 따르는 대금 지불.(국어사전)
적자는 전월 대비 7.32% 증가한 463억 달러를 기록했다. 자동차, 기타 상품, 식품, 자본재 등의 해외 수요가 감소하며 수출은 전월 대비 0.71% 감소한 2,138억 달러를 기록하였으며, 소비재, 산업용품 및 자재 등의 미국 내 수요가 증가하여 수입은 전월 대비 0.63% 증가한 2,602억 달러로 나타났다.
, 미국과 주요 교역국간 교역 현황으로 미국의 주요 교역국은 중국(224억 달러), 캐나다(543억 달러), 멕시코(518억 달러), 일본(178억 달러), 독일(149억 달러) 등으로 나타났으며, 해당 국가들은 미국 수출입 시장의 54.5%를 점유한다. 미국의 주요 수출국은 캐나다(261억 달러), 멕시코(222억 달러), 중국(111억 달러), 일본(62억 달러), 영국(54억 달러) 등으로 나타났으며, 상위 5대 수출국의 교역 비중은 49%로 집계된다. 미국의 주요 수입국은 중국(113억 달러), 멕시코(296억 달러), 캐나다(282억 달러), 일본(115억 달러), 독일(101억 달러)로 나타났으며, 상위 5대 수입국의 교역 비중은 54.5%로 집계된다.
주요 교역 대상국간 무역 현황으로 주요 20개 교역국 가운데 수출입이 전월 대비 증가한 국가는 아일랜드(13.92%), 브라질(8.60%), 프랑스(6.10%), 대만(5.43%) 등으로 나타난다. 수출이 전월 대비 증가한 국가는 프랑스(18.23%), 인도(16.67%), 이탈리아(13.70%) 등으로 나타난다. 수입이 전월 대비 증가한 국가는 싱가포르(20.85%), 아일랜드(17.40%), 브라질(14.00%) 등으로 나타난다. 주요 20개 교역국 가운데 수출이 전월 대비 감소한 국가는 독일, 싱가포르, 영국 등으로 나타났으며 수입이 전월 대비 감소한 국가는 인도, 한국, 영국 등으로 나타났다. 수출이 전월 대비 감소한 국가는 독일(-7.29%), 싱가포르(-7.14%), 영국(-5.96%), 캐나다(-2.5%) 등으로 나타났으며 수입이 전월 대비 감소한 국가는 인도(-17.54%), 한국(-8.95%), 영국(-8.73%), 독일(-6.92%) 등으로 나타난다.
주요 상품 교역 동향으로 주요 수출 품목군은 자본재(473억 달러), 산업 용품 및 자재(463억 달러), 소비재(163억 달러), 식품(140억 달러), 자동차(129억 달러), 기타 상품(56억 달러) 등으로 분류된다. 주요 수출 품목군 중 산업 용품 및 자재(4.42%)는 전월 대비 증가하였고 세분화된 주요 수출 품목 중 원유(12.28%), 석유제품(11.15%), 연료유(9.61%) 등 또한 전월 대비 증가하였다. 주요 수출 품목군 중 소비재(-8.05%), 자동차(-5.23%) 등은 전월 대비 감소하였으며 세분화된 주요 수출 품목 중 승용차(-18.79%), 보석 및 다이아몬드(-14.93%), 제약준비재(-12.60%) 등 또한 전월 대비 감소했다. 주요 수입 품목군은 자본재(575억 달러), 소비재(534억 달러), 산업 용품 및 자재(488억 달러), 자동차(302억 달러), 식품(122억 달러), 기타상품(84억 달러) 등으로 분류된다. 주요 수입 품목군 중 소비재(3.82%), 산업 용품 및 자재(1.87%), 자동차(1.72%)는 전월 대비 증가하였으며 세분화된 주요 수입 품목 중 유기화확물질(15.08%), 제약준비제(14.40%), 특수목적차량(11.03%)등 또한 전월 대비 증가했다. 주요 수입 품목군 중 자본재(-2.51%), 기타 상품 (-2.10%), 식품(-1.66%) 등은 전월 대비 감소하였으며 세분화된 주요 수입 품목 중 컴퓨터(-11.81%), 통신장비(-7.17%), 주류(-4.54%) 등 또한 전월 대비 감소했다.
주요 서비스 수출은 여행(180억 달러), 기타 비즈니스(13.6억 달러), 지적재산 운용(114억 달러), 금융(102억 달러) 서비스 등으로 나타났다. 주요 서비스 수출 중 보험(1.15%), 금융(0.79%), 기타 비즈니스(0.44%) 서비스 등은 전월 대비 증가했다. 주요 서비스 수출 중 정비 및 수리(-0.79%), 전기통신(-0.68%), 기타 비즈니스(-0.57%) 서비스 등은 전월 대비 감소했다.
주요 서비스 수입은 여행(119억 달러), 기타 비즈니스(95억 달러), 수송 및 운송(88억 달러), 지적재산 운용(53억 달러), 보험(40억 달러) 서비스 등으로 나타났다. 주요 서비스 수입 중 지적재산 운용(5.55%), 기타비즈니스(0.32%), 전기통신(0.25%), 금융(0.11%) 서비스 등은 전월 대비 증가

키워드

  • 가격5,000
  • 페이지수33페이지
  • 등록일2019.03.01
  • 저작시기2018.8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8300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