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함께 한국 민주화 운동의 역사와 연결된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이 교사 운동은 1985년 YMCA 중등학교 교사협의회에 의해 민중교육지가 발간되었다. 이 민중교육사건에 정부 정책이 개입한 결과 1986년 5월 교사들은 교육 민주와 선언한다.
①교육의 정치적 중립성 ②교사인권의 보장 ③관료적인 행정으로부터 벗어난 교육의 자치성과 실천. ④자율적 교사회의 보장 ⑤입시 지옥의 원인인 경쟁적 교육 구조의 개선이다. 이 선언은 우리나라의 심각한 교육 현실을 공공 사회에 드러나게 하는 계기를 가져왔다. 전교조의 정신과 시초는 교육 민주화 과정의 실천적 운동이며 교육 현장에 발을 딛고 있는 교사들이 스스로 문제를 해결하려는 운동과 실천 그 자체라고 해석한다. 그러나 운동의 정신은 시간이 흐르면서 변한다.
2. 한국 교육 제도의 문제와 해석
해마다 대학입시 제도 때문에 200명의 학생들이 스스로 목숨을 끊는 것이 한국의 교육 현실이다. 대학입시의 문제로 입시는 사회진출의 관문이 되기 때문에 좋은 대학을 들어가기 위해 하루 14시간 이상 공부를 하고 이 목적을 위해 온 가족이 동원된 희생을 한다. 입시준비 위해 사교육비는 국가 경쟁력에 영향을 미친다. 사교육비는 공교육비에 3배가 넘는다는 것이 통계다. 두 번째는 교육의 자율성의 문제이다. 교사들의 실천적 활동은 학교 제도 안에서 제약을 받는다. 그것은 한국의 교육 제도가 중앙집권화 되어 있기 때문이다.
교사들이 창의적인 교육활동 혹은 건설적인 교육활동을 꾀하거나 헌 교육 제도의 비판을 커리큘럼과 교수 학습에 적용하면 조직적으로 막히게 된다. 그것은 교사의 자율성과 중앙집권적 갈등에서 비롯되는 것이다. 한국의 교육제도는 엘리트 중심으로 이어지는 교육제도이다. 많은 수의 대학 입학생을 배출할수록 학교의 성취도를 평가받는 업적주의 교육이다. 그러므로 교사들이 힘을 모은다는 것은 권위적이며, 관료적이며, 중앙 집권 화된 교육 행정에 대한 저항이 된다. 셋째, 커리큘럼 개혁의 문제이다. 정부에서 발생하는 커리큘럼은 집권 정부를 가장 잘 표현하며, 선전 혹은 동화시키는 일을 수행하게 된다. 커리큘럼 개혁에는 어느 하나 남이 가장 좋은 것이라는 지배적인 논리보다는 삶의 실천을 위한 커리큘럼과 그의 따른 교사들의 능력과실천이 필요하다. 여기서 커리큘럼 개혁의 두지지 물어야 한다. 첫째, 커리큘럼이 한국의 사회 정치적 이슈들, 즉 민주화, 인간화, 평화와 통일에 관련성을 가지고 있는지 물어야 한다. 교과서에 담신 자료와 이슈들이 학생들에게 전달될 때 교사의 해석학적 노력이 필요하다. 단순한 교과서적 정답 혹은 학력고사 준비를 위한 답안으로서의 지식이 아닌 사회적 분석을 위한 문제 읽기와 비판적 사고가 필요하다. 두 번째. 오직 교과서에 의존하는 커리큘럼을 분석하여 물어야 한다. 교과서 중심의 교육 개혁하기위해 두 가지 첫째. 실천 활동이 요구된다. 하나는 교사 자신이 커리큘럼을 만드는 문제이고, 또 하나는 교과서를 통하여 사회를 통제하려는 제도에 대하여 교사들의 민주적으로 연대하여 행동하는 것이다.
2) 한국의 기독교 학교
1. 기독교 학교의 방향
기독교학교는 한국의 선교 초기부터 사회를 이끄는 개혁의 세력이었다. 기독교 학교는 한국의 교육적 과제를 안고 함께 변화를 모색하여야 한다.
첫째, 학원 선교의 철학이 올바르게 정립되어야 한다. 둘째, 재정의 뒷받침이다. 개인의 사립학교는 건학 이념과 함께 투자와 경영이 이루어진다. 셋째 예수 그리스도의 정신으로 학교의 분위기를 되살리는 일이다. 학생들은 신앙과 가치관을 기독교 학교에서 배운다고 말한다. 넷 째 신앙심과 실력 있는 교사, 교수, 직원을 정식하게 채용하여야 한다.
2. 현존하는 기독교 교육과 주제
한국의 교육은 전통적인 유교주의와 36년간 겪어야 했던 일본의 식민주의, 32년의 군사주의의한 교육이다. 새 시대의 새로운 기독교 교육이 되려면 현제 기독교교육의 구조를 돌아보아야 한다.
기독교교육에서 다룬 첫째. 주제는 교회력에 관계된 프로그램으로 전체이 39%119회를 차지한다. 둘째, 대안교육의 모델의 소개로 15% 46회를 차지하고 있다. 이 특집의 주제는 1970,80년대의 군부독재 정권과 1990년 학교와 업적 문화에 따른 교회교육의 새로운 방향을 제시한다. 셋째. 교리와 교육 정책에 관계된 특집으로 14% 43회를 다룬다. 넷째. 교수 학습 방법의 소개로 13% 38회를 차지하고 있다. 다섯째. 연령층 이해와 교육에 관계되 것으로 11% 32회를 차지하고 있다. 마지막으로 교회 행정에 관한 것으로 8% 23회의 비중으로 다루어지고 있다. 위에서 다루어진 6가지 범주를 자세히 살펴보면 이는 크게 두 가지 구분 될 수 있다. 하나는 현존하는 교육 모델을 위한 것이다. 또 하나는 대안적인 교육 모델을 위한 것이다.
3. 기독교교육의 구조와 특징
내용 중심의 기독교교육, 기독교교육의 교실 교육은 교수 형태에 따라 세 가지로 나눌 수 있다. 목표 중심, 과정 중심, 그리고 만남의 교실이다. 목표 중심의 교육은 내용 중심의 교육으로 본질주의 교육철학이 뒷받침되고 있다. 첫째. 내용 중심의 교실 교육은 학습의 내용과 자료를 절대시한다. 둘째, 내용 중심의 교실교육은 목표 성취에 역점을 둔다. 얼마나 많은 양의 지식을 빠른 속도로 학생의 머릿속에 축적하는가를 성취기준삼음. 셋째. 내용 중심의 교사 중심의 학습지도로 나타난다. 교사 중심은 일방적이며, 학습자의 삶과 경험이 고려되지 않는다. 넷째, 내용중심의 교실교육은 주입식 교수 학습 방법으로 유도한다. 주입식은 전달 방법이기 때문에 교육현장에서는 강하지만 일시적이며 삶의 경험과의 연결이 약하고 역동성이 없다. 2. 성장 중심의 교회학교. 교회가 세상에 세워진 존재 이유는 전적으로 하나님의 부르심이다. 하나님의 뜻이 하늘에서 실현된 것같이 세상에서도 이루어지기를 바라신다. 그러므로 교회와 세계의 관계에서 교회의 선교는 교회 성장을 넘어 하나님의 형상을 회복하는 인간화 작업이다. 3. 학교형 중심의 교회교육. 한국에서는 기독교교육에 대하여 여러 가지로 명명한다. 종교교육, 기독교교육, 주일학교, 교회학교, 기독교적 종교교육, 주일교회하교, 신앙
①교육의 정치적 중립성 ②교사인권의 보장 ③관료적인 행정으로부터 벗어난 교육의 자치성과 실천. ④자율적 교사회의 보장 ⑤입시 지옥의 원인인 경쟁적 교육 구조의 개선이다. 이 선언은 우리나라의 심각한 교육 현실을 공공 사회에 드러나게 하는 계기를 가져왔다. 전교조의 정신과 시초는 교육 민주화 과정의 실천적 운동이며 교육 현장에 발을 딛고 있는 교사들이 스스로 문제를 해결하려는 운동과 실천 그 자체라고 해석한다. 그러나 운동의 정신은 시간이 흐르면서 변한다.
2. 한국 교육 제도의 문제와 해석
해마다 대학입시 제도 때문에 200명의 학생들이 스스로 목숨을 끊는 것이 한국의 교육 현실이다. 대학입시의 문제로 입시는 사회진출의 관문이 되기 때문에 좋은 대학을 들어가기 위해 하루 14시간 이상 공부를 하고 이 목적을 위해 온 가족이 동원된 희생을 한다. 입시준비 위해 사교육비는 국가 경쟁력에 영향을 미친다. 사교육비는 공교육비에 3배가 넘는다는 것이 통계다. 두 번째는 교육의 자율성의 문제이다. 교사들의 실천적 활동은 학교 제도 안에서 제약을 받는다. 그것은 한국의 교육 제도가 중앙집권화 되어 있기 때문이다.
교사들이 창의적인 교육활동 혹은 건설적인 교육활동을 꾀하거나 헌 교육 제도의 비판을 커리큘럼과 교수 학습에 적용하면 조직적으로 막히게 된다. 그것은 교사의 자율성과 중앙집권적 갈등에서 비롯되는 것이다. 한국의 교육제도는 엘리트 중심으로 이어지는 교육제도이다. 많은 수의 대학 입학생을 배출할수록 학교의 성취도를 평가받는 업적주의 교육이다. 그러므로 교사들이 힘을 모은다는 것은 권위적이며, 관료적이며, 중앙 집권 화된 교육 행정에 대한 저항이 된다. 셋째, 커리큘럼 개혁의 문제이다. 정부에서 발생하는 커리큘럼은 집권 정부를 가장 잘 표현하며, 선전 혹은 동화시키는 일을 수행하게 된다. 커리큘럼 개혁에는 어느 하나 남이 가장 좋은 것이라는 지배적인 논리보다는 삶의 실천을 위한 커리큘럼과 그의 따른 교사들의 능력과실천이 필요하다. 여기서 커리큘럼 개혁의 두지지 물어야 한다. 첫째, 커리큘럼이 한국의 사회 정치적 이슈들, 즉 민주화, 인간화, 평화와 통일에 관련성을 가지고 있는지 물어야 한다. 교과서에 담신 자료와 이슈들이 학생들에게 전달될 때 교사의 해석학적 노력이 필요하다. 단순한 교과서적 정답 혹은 학력고사 준비를 위한 답안으로서의 지식이 아닌 사회적 분석을 위한 문제 읽기와 비판적 사고가 필요하다. 두 번째. 오직 교과서에 의존하는 커리큘럼을 분석하여 물어야 한다. 교과서 중심의 교육 개혁하기위해 두 가지 첫째. 실천 활동이 요구된다. 하나는 교사 자신이 커리큘럼을 만드는 문제이고, 또 하나는 교과서를 통하여 사회를 통제하려는 제도에 대하여 교사들의 민주적으로 연대하여 행동하는 것이다.
2) 한국의 기독교 학교
1. 기독교 학교의 방향
기독교학교는 한국의 선교 초기부터 사회를 이끄는 개혁의 세력이었다. 기독교 학교는 한국의 교육적 과제를 안고 함께 변화를 모색하여야 한다.
첫째, 학원 선교의 철학이 올바르게 정립되어야 한다. 둘째, 재정의 뒷받침이다. 개인의 사립학교는 건학 이념과 함께 투자와 경영이 이루어진다. 셋째 예수 그리스도의 정신으로 학교의 분위기를 되살리는 일이다. 학생들은 신앙과 가치관을 기독교 학교에서 배운다고 말한다. 넷 째 신앙심과 실력 있는 교사, 교수, 직원을 정식하게 채용하여야 한다.
2. 현존하는 기독교 교육과 주제
한국의 교육은 전통적인 유교주의와 36년간 겪어야 했던 일본의 식민주의, 32년의 군사주의의한 교육이다. 새 시대의 새로운 기독교 교육이 되려면 현제 기독교교육의 구조를 돌아보아야 한다.
기독교교육에서 다룬 첫째. 주제는 교회력에 관계된 프로그램으로 전체이 39%119회를 차지한다. 둘째, 대안교육의 모델의 소개로 15% 46회를 차지하고 있다. 이 특집의 주제는 1970,80년대의 군부독재 정권과 1990년 학교와 업적 문화에 따른 교회교육의 새로운 방향을 제시한다. 셋째. 교리와 교육 정책에 관계된 특집으로 14% 43회를 다룬다. 넷째. 교수 학습 방법의 소개로 13% 38회를 차지하고 있다. 다섯째. 연령층 이해와 교육에 관계되 것으로 11% 32회를 차지하고 있다. 마지막으로 교회 행정에 관한 것으로 8% 23회의 비중으로 다루어지고 있다. 위에서 다루어진 6가지 범주를 자세히 살펴보면 이는 크게 두 가지 구분 될 수 있다. 하나는 현존하는 교육 모델을 위한 것이다. 또 하나는 대안적인 교육 모델을 위한 것이다.
3. 기독교교육의 구조와 특징
내용 중심의 기독교교육, 기독교교육의 교실 교육은 교수 형태에 따라 세 가지로 나눌 수 있다. 목표 중심, 과정 중심, 그리고 만남의 교실이다. 목표 중심의 교육은 내용 중심의 교육으로 본질주의 교육철학이 뒷받침되고 있다. 첫째. 내용 중심의 교실 교육은 학습의 내용과 자료를 절대시한다. 둘째, 내용 중심의 교실교육은 목표 성취에 역점을 둔다. 얼마나 많은 양의 지식을 빠른 속도로 학생의 머릿속에 축적하는가를 성취기준삼음. 셋째. 내용 중심의 교사 중심의 학습지도로 나타난다. 교사 중심은 일방적이며, 학습자의 삶과 경험이 고려되지 않는다. 넷째, 내용중심의 교실교육은 주입식 교수 학습 방법으로 유도한다. 주입식은 전달 방법이기 때문에 교육현장에서는 강하지만 일시적이며 삶의 경험과의 연결이 약하고 역동성이 없다. 2. 성장 중심의 교회학교. 교회가 세상에 세워진 존재 이유는 전적으로 하나님의 부르심이다. 하나님의 뜻이 하늘에서 실현된 것같이 세상에서도 이루어지기를 바라신다. 그러므로 교회와 세계의 관계에서 교회의 선교는 교회 성장을 넘어 하나님의 형상을 회복하는 인간화 작업이다. 3. 학교형 중심의 교회교육. 한국에서는 기독교교육에 대하여 여러 가지로 명명한다. 종교교육, 기독교교육, 주일학교, 교회학교, 기독교적 종교교육, 주일교회하교, 신앙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