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 로동당 연구 - 지도사상과 구조변화를 중심으로 - 주체사상의 형성과 변화과정 사회적 규정력
본 자료는 미리보기가 준비되지 않았습니다.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조선 로동당 연구 - 지도사상과 구조변화를 중심으로 - 주체사상의 형성과 변화과정 사회적 규정력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수준에 도달했고 전 국민에게 다 통했다는 현실을 받아들이기 어려웠다. 그런데 그동안 여러 책을 읽으며 조금씩 사회 분위기를 상상할 수 있게 되었다. 특히 이 책에서 지적한 것과 같이 정치적으로 김일성이 반대 세력을 제거하며 점점 단일 지도체계를 구축해갔고 정치적 승리 외에도 전후 복구건설 과정에서 김일성 지도부가 거둔 성과가 있었다. 1953~60년의 7년간 공업 부문에서 연평균 생산재 생산 47%와 소비재 생산 32%의 비약적인 성장을 이끌어낸 것이 정치적 성과와 상승작용을 하며 대중의 신임을 얻을 수 있었던 것이다. 이러한 공로를 모두 김일성에게 돌리고, 외국인, 사회 고위층과 언론 등을 통해 끊임없이 김일성을 숭배하는 내용을 듣는다면 한국문화가 갖는 강한 집단주의 속성으로 인해 더욱 김일성 개인숭배에 모두가 빠질 수 있었을 것이다. 특히 외국인을 초청해 그 입을 통해 개인숭배를 유포시키려 하는 것은 좋은 전략이었던 것으로 생각된다. 『김일성 전집』에는 김일성이 우리 문화의 우수성을 설명하며 “외국인들도 감탄한다, 대단하다고 한다”는 식의 표현이 많아 외국인의 목소리를 빌려 자기 주장을 강화하려 한 것이 종종 보인다. 또한 한국인은 자기 집단으로부터 소외되는 것을 절대 피하고 싶어 하는 속성이 있고 정치적으로 김일성 반대파가 모두 제거된 상황에서 홀로 반대의 목소리를 내는 것이 거의 불가능했을 것으로 보인다.
Ⅳ. 새로운 문제제기
1. 의리와 동지애 강조
사회정치적 생명체론은 혁명적 의리와 동지애가 사회정치적 집단의 생명의 중심인 수령을 중심으로 이루어져야 한다고 주장한다. 개인 간 혁명적 의리와 동지애도 작용하지만 오직 사회정치적 생명체의 최고 뇌수로서 집단의 생명을 대표하는 수령에 대한 혁명적 의리와 동지애만이 절대적이고 무조건적이라는 주장을 한다. 이와 같이 북한 문헌에서는 인민에게 의리, 동지애를 강조하는 구절이 종종 등장한다.
『論語 顔淵篇』에서 공자는 정치를 足食 足兵 足信하는 것이라고 했다. 먹고 살 것과 군사력, 믿음이 풍족해야 함을 의미하며, 그 중 공자가 가장 중요시한 것은 믿음으로 백성의 믿음이 없다면 나라가 설 수 없다(民無信不立)고 했다. 이러한 유교의 사상에서 인민들에게 의리, 동지애를 강조한 것으로 추론할 수 있는데, 북한 사회의 상층은 의리, 동지애를 입으로는 강조하지만 실제로는 오히려 비공식적으로 의리 없는 행동을 더 많이 한다. 즉, 공식적으로 강조하는 의리에 반하는 행동을 지도층에서 많이 하고 있으며, 현재 북한 사회에서는 인민 사이에서도 신뢰가 깨어진 상태이다. 이와 같이 더 이상 이념이 제대로 작동하지 않는 사회주의 국가가 앞으로 어떤 방향으로 나아갈지 지켜봐야 할 것이다.
2. 당내 권력구조 재편 과정에서 1로군계의 권력 독점
이 책에서는 ‘반종파투쟁’을 거치며 당내에서 연안계와 소련계가 완벽하게 몰락했고 이와 대조적으로 항일유격대 관련 인사 37명이 중앙위원회 정위원으로 진출해 만주파가 정계 전면에 등장했다고 보고 있다. 이 후 유일지도체계의 형성사적 맥락에서 항일유격대 출신 인사들이 많이 숙청되어 권력 재편과정에서 수령의 사상과 그 후계자의 지도만이 관철되는 당과 사회를 만드는 데 걸림돌이 된다면 누구라도 척결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고 했다. 그러나 이 부분은 와다 하루키의 『북조선』에서 지적했듯이 항일유격대 중 마지막까지 남은 사람들은 김일성의 바로 옆에서 항일유격활동을 했던 제1로군계라는 설명이 더 설득력있다. 제1로군계와 더 끈끈한 유대관계 및 충성심이 있을 것이고 오랫동안 알고 함께 생사를 같이 했던 ‘동지들’이기 때문에 숙청의 대상에 이들을 제외한 항일유격대 인사들이 포함된 것으로 보는게 바람직할 것이다.
  • 가격1,800
  • 페이지수8페이지
  • 등록일2019.02.09
  • 저작시기2019.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8392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