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처음
Ⅱ.배려 윤리?
Ⅲ. 배려 윤리와 나 -서론의 사례 분석
Ⅳ. 배려 윤리의 단계로 본 우리사회의 사람들.
Ⅴ. 초등교육과 배려 윤리
Ⅵ. 마무리.
참고자료/ 부록(발달 단계 표)
Ⅱ.배려 윤리?
Ⅲ. 배려 윤리와 나 -서론의 사례 분석
Ⅳ. 배려 윤리의 단계로 본 우리사회의 사람들.
Ⅴ. 초등교육과 배려 윤리
Ⅵ. 마무리.
참고자료/ 부록(발달 단계 표)
본문내용
\'텍스트 속의 배려\'가 아닌 \'현실 속의 배려\'로 이끌어 내는것이 더더욱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Ⅵ. 마무리.
사람은 혼자 살지 않는다. 무리를 짓고, 그것은 사회가 된다. 그리고 그 사회 속에서 수 많은 사람을 만나고, 그 수만큼 다양한 관계를 맺는다. 인간은 관계적 동물이라고 말할 수 있을 것이다. 이토록 중요한 관계를 유지하기 위해서 \'배려\'는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그러나 정작 우리는 이 배려에 대해 그동안 너무 무관심 했던게 아닌가 싶다. 특히 오늘날 여러 가지 이유로 어릴적부터 경쟁속에서 살게되는 우리 아이들의 경우 이 \'배려\'라는 부분이 퇴화 되어 버린게 아닐까 할 정도로 결핍되어 있는것 같아 매우 걱정 스럽다.
사람은 사회적 동물이다. 때문에 그 사회속의 룰이 필요하고, 이로 인해 수많은 도덕적 법규가 파생된 것이 아닌가 생각한다. 나의 사견이기는 하지만, 배려야 말로 다른 모든 도덕적 법규의 근본이 되는 가장 기본적인 요소가 아닐까 생각한다. 길리간과 나딩스는 정의적 도덕과 배려의 도덕을 동등한 개념으로 두었으나, 사실 면밀히 생각해 보면 정의란 것도 기본적으로는 배려에서 나온것이 아닐까 생각해 본다. (사실 고등학교때 이과였기 때문에 이러한 도덕적 이론에 대한 지식이 없기는 하다. )
오늘날 사회는 각박하다. 그리고 도시화 될수록 이것은 더욱더 그러한것 같다. 지방에 살다 서울에 올라온 나로서는 가끔 깜짝깜짝 놀라기도한다. 참으로 아이러니 한 점은 이렇게 이기적이고 매마르게 사는 사람들이 감정을 돈을 주고 산다는 점이다. 9000원을 내고 영화관에가서 슬픈영화나 감동적인 영화를 보면서 영화속의 사랑에 웃기도 하고, 영화속 인물의 고통에 공감하며 울기도 한다. 감성을 느끼기 위해 소설책을 사서 보기도 한다. 하지만 그 9000원을, 아니 1000을 남을 위해 기꺼이 내어 놓지는 않는다. 물론 이것에는 다양한 이유가 있다. 하지만, 영화 속 인물의 고난과 슬픔에는 공감하면서, 정작 영화관 밖에서 힘든 삶을 살아가고 있는 이웃들에겐 무관심 하거나, 냉대하는 모습을 보면 신기할 정도이다.
내가 배려 윤리를 주제로 택한 것은, 우리사회에 배려가 너무나 부족하다고 느꼈기 때문이다. 주변에 대한 배려 뿐만 아니라 특히 약자에 대한 배려가 너무나 부족하다. 장애우에 대한 배려, 철거민에 대한 배려, 빈곤층에 대한 배려, 노인에 대한 배려 등. 언제부턴가 \'나는 절대로 손해 보지 않겠어.\'라고 생각하는 사람들이 늘어났다. 남을 배려한다는 것은 대부분 어느정도 손해를 동반하기 마련이다. (물질적인 것 뿐만 아니라 시간을 뺏는다거나, 귀찮게 한다거나 등의) 때문에 더욱더 남에대한 배려에 인색해 지지 않았나 생각해 본다. 오늘날의 경쟁 사회속에서 이 문제는 더더욱 두드러 진다. 그리고 앞서 본문에서 밝혔듯 이것은 단지 사회 구성원 일부에 대한 문제가 아닌, 사회문제로도 불거져 나오고 있다.
\'배려\'는 분명 감성적인 성격이 강하다. 때문에 이것을 지식적으로만 다루는 것은 옳지않다. 또한, 다른 감성과 마찬가지로 어릴적부터 길러주어야 할 것이다. 때문에 초등교육에서의 배려의 교육은 매우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우리 교육속에서 적절한 배려를 함양하여, 영화속 주인공의 고통에 슬퍼하는 사회가 아닌 현실속에 존재하는 이웃의 고통에 눈을 돌리고 기꺼이 그들을 돕기 위해 마음을 여는 사회가 되었으면 하는 바람이 있다.
◆ 참고자료.
배려윤리의 초등 도덕과 교육에의 적용 방안. 박병춘 (2006)
나딩스의 배려윤리와 도덕교육. 박병춘
심리학 초콜릿. 웅진윙스. 박진세
배려윤리와 도덕교육론 (수업자료)
나딩스의 배려윤리 PPT (수업자료)
공감 PPT (수업자료)
배려 교육론. 다른우리. 넬 나딩스
부록: 배려윤리 발달단계 (배려 윤리와 도덕 교육론 수업자료 발췌)
제1수준(자기 생존과 이기심)
자기 중심성과 자기 이익 지향성이 주된 특징이 된다. 이 수준을 위해 자기 자신을 돌보는데 초점이 두어진다.
제1과도기(이기심에서 책임감으로서의 이행)
전 수준의 자기 관점이 이기적이라고 비판하는 관점이 나타난다. 이때 이러한 비판은 도덕적 사고에서 자아와 타인 사이의 연결에 대한 새로운 이해가 이루어지고 있음을 나타내는 것으로서 그것은 책임의 개념에 바탕을 두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또한 이 과도기에는 자신이 원하는 것과 마땅히 해야만 하는 것 사이에 존재하는 차이를 인식하는 관점이 나타난다.
제2수준(책임과 자기희생)
이 수준은 인습적 의미에서의 선함과 타인에 대한 책임을 동일시하는 특징을 보인다. 이때의 선이란 타인에 대한 배려와 같은 것으로 간주된다. 이 수준이 그 이전과 다른 점은 책임의 개념이 보다 정교화 된다는 점이다. 그리고 그 책임은 모성적 도덕성과 결합되어 나타난다. 그러나 이 수준의 문제는 타인을 여성이 제공하는 배려의 수혜자로서만 간주하고, 정작 자기 자신은 배려의 대상에서 제외된다는 점에 있다.
제2과도기(동조에서 새로운 내적 판단으로의 이행: 자기희생으로부터 진실로)
이 두 번째 과도기에서는 이전 수준의 것, 즉 인습적 의미에서 순응을 배려와 동일시하였던 점, 자아와 타인 사이에 불평등이라는 비논리성을 전제로 했던 점등을 반성하면서 인간관계에 대한 재고를 하게 된다. 그리하여 책임의 개념을 다시 고찰하고, 다른 사람들에게 해를 끼치지 않는 동시에 자신에게 진실할 수 없는지, 해를 끼치는 것과 온정적 배려 사이에 절충과 조화는 가능하지 등을 숙고함으로써 자기희생과 인습적 의미의 선함, 즉 여성적 선함으로 여겨져 왔던 배려 사이의 혼동을 구별하려는 노력이 나타난다.
제3수준(비폭력적 배려와 책임)
이 수준에서는 배려를 구성하는 것에 대한 새로운 고려가 이루어지는데 말하자면 인간 관계에 대한 전환된 이해를 통해 이기심과 책임감 사이에 조화를 이루는 방식을 발견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어떤 행동이 다른 사람들과 자기 자신에 해를 끼치는 것을 최소화 할 수 있는지, 모든 사람들에 대해 고통을 최소화할 수 있는 길은 무엇인지 등을 묻는 질문이 중심을 이루게 된다. 이 수준에서는 전통적으로 여성다움으로 규정지어지던 여성의 자기부정과 도덕적 자기희생을 그것이 해로움을
Ⅵ. 마무리.
사람은 혼자 살지 않는다. 무리를 짓고, 그것은 사회가 된다. 그리고 그 사회 속에서 수 많은 사람을 만나고, 그 수만큼 다양한 관계를 맺는다. 인간은 관계적 동물이라고 말할 수 있을 것이다. 이토록 중요한 관계를 유지하기 위해서 \'배려\'는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그러나 정작 우리는 이 배려에 대해 그동안 너무 무관심 했던게 아닌가 싶다. 특히 오늘날 여러 가지 이유로 어릴적부터 경쟁속에서 살게되는 우리 아이들의 경우 이 \'배려\'라는 부분이 퇴화 되어 버린게 아닐까 할 정도로 결핍되어 있는것 같아 매우 걱정 스럽다.
사람은 사회적 동물이다. 때문에 그 사회속의 룰이 필요하고, 이로 인해 수많은 도덕적 법규가 파생된 것이 아닌가 생각한다. 나의 사견이기는 하지만, 배려야 말로 다른 모든 도덕적 법규의 근본이 되는 가장 기본적인 요소가 아닐까 생각한다. 길리간과 나딩스는 정의적 도덕과 배려의 도덕을 동등한 개념으로 두었으나, 사실 면밀히 생각해 보면 정의란 것도 기본적으로는 배려에서 나온것이 아닐까 생각해 본다. (사실 고등학교때 이과였기 때문에 이러한 도덕적 이론에 대한 지식이 없기는 하다. )
오늘날 사회는 각박하다. 그리고 도시화 될수록 이것은 더욱더 그러한것 같다. 지방에 살다 서울에 올라온 나로서는 가끔 깜짝깜짝 놀라기도한다. 참으로 아이러니 한 점은 이렇게 이기적이고 매마르게 사는 사람들이 감정을 돈을 주고 산다는 점이다. 9000원을 내고 영화관에가서 슬픈영화나 감동적인 영화를 보면서 영화속의 사랑에 웃기도 하고, 영화속 인물의 고통에 공감하며 울기도 한다. 감성을 느끼기 위해 소설책을 사서 보기도 한다. 하지만 그 9000원을, 아니 1000을 남을 위해 기꺼이 내어 놓지는 않는다. 물론 이것에는 다양한 이유가 있다. 하지만, 영화 속 인물의 고난과 슬픔에는 공감하면서, 정작 영화관 밖에서 힘든 삶을 살아가고 있는 이웃들에겐 무관심 하거나, 냉대하는 모습을 보면 신기할 정도이다.
내가 배려 윤리를 주제로 택한 것은, 우리사회에 배려가 너무나 부족하다고 느꼈기 때문이다. 주변에 대한 배려 뿐만 아니라 특히 약자에 대한 배려가 너무나 부족하다. 장애우에 대한 배려, 철거민에 대한 배려, 빈곤층에 대한 배려, 노인에 대한 배려 등. 언제부턴가 \'나는 절대로 손해 보지 않겠어.\'라고 생각하는 사람들이 늘어났다. 남을 배려한다는 것은 대부분 어느정도 손해를 동반하기 마련이다. (물질적인 것 뿐만 아니라 시간을 뺏는다거나, 귀찮게 한다거나 등의) 때문에 더욱더 남에대한 배려에 인색해 지지 않았나 생각해 본다. 오늘날의 경쟁 사회속에서 이 문제는 더더욱 두드러 진다. 그리고 앞서 본문에서 밝혔듯 이것은 단지 사회 구성원 일부에 대한 문제가 아닌, 사회문제로도 불거져 나오고 있다.
\'배려\'는 분명 감성적인 성격이 강하다. 때문에 이것을 지식적으로만 다루는 것은 옳지않다. 또한, 다른 감성과 마찬가지로 어릴적부터 길러주어야 할 것이다. 때문에 초등교육에서의 배려의 교육은 매우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우리 교육속에서 적절한 배려를 함양하여, 영화속 주인공의 고통에 슬퍼하는 사회가 아닌 현실속에 존재하는 이웃의 고통에 눈을 돌리고 기꺼이 그들을 돕기 위해 마음을 여는 사회가 되었으면 하는 바람이 있다.
◆ 참고자료.
배려윤리의 초등 도덕과 교육에의 적용 방안. 박병춘 (2006)
나딩스의 배려윤리와 도덕교육. 박병춘
심리학 초콜릿. 웅진윙스. 박진세
배려윤리와 도덕교육론 (수업자료)
나딩스의 배려윤리 PPT (수업자료)
공감 PPT (수업자료)
배려 교육론. 다른우리. 넬 나딩스
부록: 배려윤리 발달단계 (배려 윤리와 도덕 교육론 수업자료 발췌)
제1수준(자기 생존과 이기심)
자기 중심성과 자기 이익 지향성이 주된 특징이 된다. 이 수준을 위해 자기 자신을 돌보는데 초점이 두어진다.
제1과도기(이기심에서 책임감으로서의 이행)
전 수준의 자기 관점이 이기적이라고 비판하는 관점이 나타난다. 이때 이러한 비판은 도덕적 사고에서 자아와 타인 사이의 연결에 대한 새로운 이해가 이루어지고 있음을 나타내는 것으로서 그것은 책임의 개념에 바탕을 두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또한 이 과도기에는 자신이 원하는 것과 마땅히 해야만 하는 것 사이에 존재하는 차이를 인식하는 관점이 나타난다.
제2수준(책임과 자기희생)
이 수준은 인습적 의미에서의 선함과 타인에 대한 책임을 동일시하는 특징을 보인다. 이때의 선이란 타인에 대한 배려와 같은 것으로 간주된다. 이 수준이 그 이전과 다른 점은 책임의 개념이 보다 정교화 된다는 점이다. 그리고 그 책임은 모성적 도덕성과 결합되어 나타난다. 그러나 이 수준의 문제는 타인을 여성이 제공하는 배려의 수혜자로서만 간주하고, 정작 자기 자신은 배려의 대상에서 제외된다는 점에 있다.
제2과도기(동조에서 새로운 내적 판단으로의 이행: 자기희생으로부터 진실로)
이 두 번째 과도기에서는 이전 수준의 것, 즉 인습적 의미에서 순응을 배려와 동일시하였던 점, 자아와 타인 사이에 불평등이라는 비논리성을 전제로 했던 점등을 반성하면서 인간관계에 대한 재고를 하게 된다. 그리하여 책임의 개념을 다시 고찰하고, 다른 사람들에게 해를 끼치지 않는 동시에 자신에게 진실할 수 없는지, 해를 끼치는 것과 온정적 배려 사이에 절충과 조화는 가능하지 등을 숙고함으로써 자기희생과 인습적 의미의 선함, 즉 여성적 선함으로 여겨져 왔던 배려 사이의 혼동을 구별하려는 노력이 나타난다.
제3수준(비폭력적 배려와 책임)
이 수준에서는 배려를 구성하는 것에 대한 새로운 고려가 이루어지는데 말하자면 인간 관계에 대한 전환된 이해를 통해 이기심과 책임감 사이에 조화를 이루는 방식을 발견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어떤 행동이 다른 사람들과 자기 자신에 해를 끼치는 것을 최소화 할 수 있는지, 모든 사람들에 대해 고통을 최소화할 수 있는 길은 무엇인지 등을 묻는 질문이 중심을 이루게 된다. 이 수준에서는 전통적으로 여성다움으로 규정지어지던 여성의 자기부정과 도덕적 자기희생을 그것이 해로움을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