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향가
(1) 정의
(2) 표기
(3) 성격
(4)표현
(5) 형성
(6) 작자
(7) 향가집2. 제망매가
(1) 작자
(2) 연대
(3) 형태
(4) 구성
(5) 표기
(6) 성격
(7) 제재
(8) 주제
(9) 내용
(10) 의의
(11) 기타
(12) 시상 전개
(13) 감상
제망매가
(1) 월명사 인물조사
(2) 배경설화
(3) 내용연구
(4) 형식
(5) “도솔가” 와 제망매가를 통해본 월명사의 문학
만전춘별사
(1) 작품해석
(2) 성격
(3) 작품분석
(4) 감상평
쌍화점
(1) 작품해석
(2) 작품개괄
(3) 감상평
1. 제망매가
(1) 설화
(2) 전통적정서
(3) 현대언어번역
2. 쌍화점
(1) 설화
(2) 현대언어번역
3. 만전춘별사
(1) 설화
(2) 현대언어번역
(1) 정의
(2) 표기
(3) 성격
(4)표현
(5) 형성
(6) 작자
(7) 향가집2. 제망매가
(1) 작자
(2) 연대
(3) 형태
(4) 구성
(5) 표기
(6) 성격
(7) 제재
(8) 주제
(9) 내용
(10) 의의
(11) 기타
(12) 시상 전개
(13) 감상
제망매가
(1) 월명사 인물조사
(2) 배경설화
(3) 내용연구
(4) 형식
(5) “도솔가” 와 제망매가를 통해본 월명사의 문학
만전춘별사
(1) 작품해석
(2) 성격
(3) 작품분석
(4) 감상평
쌍화점
(1) 작품해석
(2) 작품개괄
(3) 감상평
1. 제망매가
(1) 설화
(2) 전통적정서
(3) 현대언어번역
2. 쌍화점
(1) 설화
(2) 현대언어번역
3. 만전춘별사
(1) 설화
(2) 현대언어번역
본문내용
근한 비유와 절실한 시상의 전개로 현전하는 향가 가운데 절창으로 꼽힌다. 오죽했으면 이 노래를 부르자마자 갑자기 광풍이 일어나 종이돈이 서쪽으로 날아갔겠는가.
현세를 중시하는 미륵불을 섬긴 화랑집단에 속했으면서 아미타불을 외우며 내세를 희구했다는 이유에서 월명사의 승려로서의 순수성을 의심하는 사람도 있다. 하지만 우리가 주목해야
할 것은 월명사의 내면세계이다. 그는 인간의 번뇌를 초탈해야 하는 불제자이기 전에 죽음 앞에 두려움을 느낀 인간이었고, 국가의 안녕을 기원해야 하는 낭도승(郞徒僧)이기 전에 내면의 비감을 진솔하게 노래한 음유시인이었다.
◆ 배경 설화
신라 서라벌의 사천왕사(四川王寺)에는 피리를 잘 부는 한 스님이 있었다. 그의 이름은 월명이었는데, 그는 향가도 잘 지어 일찍이 죽은 누이를 위하여 재(齋)를 올릴 때 향가를 지어 제사를 지냈다. 이렇게 노래를 불러 제사를 지냈더니, 문득 광풍이 불어 지전(紙錢)이 서쪽으로 날아가 사라지게 되었다. 한편, 피리의 명수인 월명이 일찍이 달 밝은 밤에 피리를 불며 문 앞 큰 길을 지나가니, 달이 그를 위해 가기를 멈추었다. 그래서 그 동리 이름을 “월명리”라 하고, 그의 이름인 “월명” 또한 여기서 유래한 것이다.
◆ 내용 연구
삶과 죽음의 길은
이(이승)에 있음에 두려워하여
나는(죽은 누이를 이름) 간다고 말도
못 다 이르고 갔는가 -- 죽은 누이에 대한 안타까움(기 - 현재)
1~4행 : 죽음의 허무함과 망매에 대한 혈육의 정(생사란 우리 곁에 있다는 것과
누이가 죽음의 길로 떠난 상황을 말하고 있다, 그리고 3구에서는 죽은 누이인
망매에 대한 아쉬움과 죽음에 대한 두려움이 담겨 있다)
어느 가을 이른(누이의 요절을 가져오는) 바람[운명, 초자연적 존재]에
여기 저기에 떨어지는(죽음) 나뭇잎처럼(누이의 죽음을 비유함)
같은 나뭇가지(한 어버이)에 나고서도
(네가) 가는 곳(저 세상)을 모르겠구나 -- 인생의 무상감(서 - 과거)
5~8행 : 혈육의 죽음에서 느끼는 인생의 무상함(한 가지에 났다가 가을바람에 흩어지는 나뭇잎들을 보면서 누이의 죽음에 대한 개인적 허망감이 모든 생명의 무상감으로 확대되고 있으며 문학적 비유가 돋보이고, 문학적 묘미가 뛰어나다.)
아으 [10구체 향가에서 낙구는 형태상 대체적으로 감탄사로 시작하며, 내용상 작품의 주제가 집약되어 있는데, 이 노래에서도 역시 \'아야\'라는 감탄사로 시작하는 낙구에서 앞서 보인 고뇌와 슬픔이 종교적으로 승화되는 시상의 전환을 이루고 있다.] 극락세계(극락 세상, 저승)에서 만나 볼 나는 불도(佛道)를 닦아서[회자정리의 불교적 정신을 바탕으로 죽음에 직면한 슬픔을 극복하고 새로운 만남을 기약함, 종교적 극복] 기다리겠다
[불교적 사생관이 담겨 있음] -- 불교에의 귀의를 통한 극복(결 - 미래)
9~10행: 슬픔의 종교적 승화와 불교에의 귀의(종교적 믿음으로 죽음에 대한
허무를 극복하려는 의지가 담겨 있다)
◆ 형식
이 노래는 10구체 향가의 전형적인 모습인 3단 구성으로 이루어졌다. 1행에서 4행까지의 제1단락은 누이의 죽음에 마주 선 괴로운 심경을 불교 사상을 바탕으로 한 체념과 넘쳐흐르는 골육의 정으로 노해했다. 제2단락인 5∼8행에서는 개인적 아픔을, 모든 생명체의 무상성(無常性)에 대한 고뇌로 나타내고 있다. 이는 모든 유한한 생명들을 지배하는 힘인 ‘바람’과 보잘 것 없는 개체로서의 ‘잎’의 대조에서, 그리고 한 가지에 나고도 가는 곳 모르는 것이라는 의문에서 무상에 대한 고뇌를 엿볼 수 있다. 마지막 단락인 9,10행에서는 이승에서의 슬픔과 고뇌를 불교적 믿음에 의해 초극하고 재회의 기약을 다짐하고 있다. 9행 첫머리의 감탄사는 10구체 향가의 형식적 특징이며, 앞 단락에서 보인 심화된 고뇌의 극한에서 터져 나오는 탄식이자 종교적 초극이 이루어지는 전환점이라 하겠다. 그리고 이 작품의 주술성(초자연적이고 신비한 힘을 빌려 여러 가지 현상을 일으키는 것)은 배경 설화에 담겨 있는데, 월명사가 죽은 누이를 위하여 재를 올리며 이 노래를 불렀더니 광풍이 불어 제상에 놓인 지전을 서쪽으로 날려 보냈다고 한다. 이를 통해서 당시의 사람들에게는 향가가 천지를 움직이고 귀신을 감동시키는 주술성을 가지고 있다는 생각이 널리 퍼져 있었던 것 같다.
◆ ‘도솔가‘와 ’제망매가‘를 통해본 월명사의 문학
앞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두 가지 작품은 상이한 면을 보인다. 도솔가에서는 미륵 사상이, 제망매가에서는 미타찰 사상이 드러난다. 이러한 반영은 그의 정신세계뿐만 아니라 보편적인 신라인들의 정서도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도솔가가 국가적 안녕을 위해 쓰여진 것이라 본다면 제망매가는 자신의 의지를 다잡는 기능 한다고 볼 수 있을 것이다.
만전춘별사
고려가요《만전춘별사》라고도 한다. 이는 조선시대에 윤회가 지은 《만전춘》과 구별하기 위함이다. 작자연대는 미상이며, 《악장가사》와 《시용향악보》에 수록되어 있다. 5연으로 된 이 속요는 남녀간의 사랑을 대담하고 솔직하게 읊고 있어서 고려가요 특유의 주제와 소재를 가장 잘 구비하고 있으며, 특히 2연과 5연은 후기의 시조형식과 가까워 주목을 끈다. 조선 성종 때는 내용이 음란하다 하여 유학자들 사이에서 말썽을 빚기도 하였으나, 비유법과 심상의 전개가 흡사 현대의 시작법을 보는 듯하다.
각 연은 형식상으로 불균형을 보이고 있고 시어도 이질적이며 의미론적으로도 통일성이 없어서, 이 작품의 형성이 여러 이질적이고 독립적인 당대의 유행 노래를 궁중의 속악 가사로 합성, 편사함으로써 성립된 것으로 본다.
내용은 남녀간의 애정을 적나라하게 노래한 것으로 노골적이고 퇴폐적인 표현 때문에 조선시대 사대부에 의하여 음사(淫辭)로 규정되어 배척되었다.
I. 원문 및 현대어역
어름우희 댓닙자리 보와 님과 나와 어러주글만뎡
어름우희 댓닙자리 보와 님과 나와 어러주글만덩
情둔 오밤 더듸 새오시라 더듸 새오시라
耿耿孤枕上애 어느 미 오리오
西窓을 여러니 桃花ㅣ 發두다
桃花 시름업서 笑春風다 笑春風다
넉시라도 님을 녀닛景 너기다니
넉시라도 님을 녀닛景 너기다니
벼기더시니 뉘러시니잇가 뉘러시니잇가
올하 올하 아련 비올하
여흘란 어듸
현세를 중시하는 미륵불을 섬긴 화랑집단에 속했으면서 아미타불을 외우며 내세를 희구했다는 이유에서 월명사의 승려로서의 순수성을 의심하는 사람도 있다. 하지만 우리가 주목해야
할 것은 월명사의 내면세계이다. 그는 인간의 번뇌를 초탈해야 하는 불제자이기 전에 죽음 앞에 두려움을 느낀 인간이었고, 국가의 안녕을 기원해야 하는 낭도승(郞徒僧)이기 전에 내면의 비감을 진솔하게 노래한 음유시인이었다.
◆ 배경 설화
신라 서라벌의 사천왕사(四川王寺)에는 피리를 잘 부는 한 스님이 있었다. 그의 이름은 월명이었는데, 그는 향가도 잘 지어 일찍이 죽은 누이를 위하여 재(齋)를 올릴 때 향가를 지어 제사를 지냈다. 이렇게 노래를 불러 제사를 지냈더니, 문득 광풍이 불어 지전(紙錢)이 서쪽으로 날아가 사라지게 되었다. 한편, 피리의 명수인 월명이 일찍이 달 밝은 밤에 피리를 불며 문 앞 큰 길을 지나가니, 달이 그를 위해 가기를 멈추었다. 그래서 그 동리 이름을 “월명리”라 하고, 그의 이름인 “월명” 또한 여기서 유래한 것이다.
◆ 내용 연구
삶과 죽음의 길은
이(이승)에 있음에 두려워하여
나는(죽은 누이를 이름) 간다고 말도
못 다 이르고 갔는가 -- 죽은 누이에 대한 안타까움(기 - 현재)
1~4행 : 죽음의 허무함과 망매에 대한 혈육의 정(생사란 우리 곁에 있다는 것과
누이가 죽음의 길로 떠난 상황을 말하고 있다, 그리고 3구에서는 죽은 누이인
망매에 대한 아쉬움과 죽음에 대한 두려움이 담겨 있다)
어느 가을 이른(누이의 요절을 가져오는) 바람[운명, 초자연적 존재]에
여기 저기에 떨어지는(죽음) 나뭇잎처럼(누이의 죽음을 비유함)
같은 나뭇가지(한 어버이)에 나고서도
(네가) 가는 곳(저 세상)을 모르겠구나 -- 인생의 무상감(서 - 과거)
5~8행 : 혈육의 죽음에서 느끼는 인생의 무상함(한 가지에 났다가 가을바람에 흩어지는 나뭇잎들을 보면서 누이의 죽음에 대한 개인적 허망감이 모든 생명의 무상감으로 확대되고 있으며 문학적 비유가 돋보이고, 문학적 묘미가 뛰어나다.)
아으 [10구체 향가에서 낙구는 형태상 대체적으로 감탄사로 시작하며, 내용상 작품의 주제가 집약되어 있는데, 이 노래에서도 역시 \'아야\'라는 감탄사로 시작하는 낙구에서 앞서 보인 고뇌와 슬픔이 종교적으로 승화되는 시상의 전환을 이루고 있다.] 극락세계(극락 세상, 저승)에서 만나 볼 나는 불도(佛道)를 닦아서[회자정리의 불교적 정신을 바탕으로 죽음에 직면한 슬픔을 극복하고 새로운 만남을 기약함, 종교적 극복] 기다리겠다
[불교적 사생관이 담겨 있음] -- 불교에의 귀의를 통한 극복(결 - 미래)
9~10행: 슬픔의 종교적 승화와 불교에의 귀의(종교적 믿음으로 죽음에 대한
허무를 극복하려는 의지가 담겨 있다)
◆ 형식
이 노래는 10구체 향가의 전형적인 모습인 3단 구성으로 이루어졌다. 1행에서 4행까지의 제1단락은 누이의 죽음에 마주 선 괴로운 심경을 불교 사상을 바탕으로 한 체념과 넘쳐흐르는 골육의 정으로 노해했다. 제2단락인 5∼8행에서는 개인적 아픔을, 모든 생명체의 무상성(無常性)에 대한 고뇌로 나타내고 있다. 이는 모든 유한한 생명들을 지배하는 힘인 ‘바람’과 보잘 것 없는 개체로서의 ‘잎’의 대조에서, 그리고 한 가지에 나고도 가는 곳 모르는 것이라는 의문에서 무상에 대한 고뇌를 엿볼 수 있다. 마지막 단락인 9,10행에서는 이승에서의 슬픔과 고뇌를 불교적 믿음에 의해 초극하고 재회의 기약을 다짐하고 있다. 9행 첫머리의 감탄사는 10구체 향가의 형식적 특징이며, 앞 단락에서 보인 심화된 고뇌의 극한에서 터져 나오는 탄식이자 종교적 초극이 이루어지는 전환점이라 하겠다. 그리고 이 작품의 주술성(초자연적이고 신비한 힘을 빌려 여러 가지 현상을 일으키는 것)은 배경 설화에 담겨 있는데, 월명사가 죽은 누이를 위하여 재를 올리며 이 노래를 불렀더니 광풍이 불어 제상에 놓인 지전을 서쪽으로 날려 보냈다고 한다. 이를 통해서 당시의 사람들에게는 향가가 천지를 움직이고 귀신을 감동시키는 주술성을 가지고 있다는 생각이 널리 퍼져 있었던 것 같다.
◆ ‘도솔가‘와 ’제망매가‘를 통해본 월명사의 문학
앞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두 가지 작품은 상이한 면을 보인다. 도솔가에서는 미륵 사상이, 제망매가에서는 미타찰 사상이 드러난다. 이러한 반영은 그의 정신세계뿐만 아니라 보편적인 신라인들의 정서도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도솔가가 국가적 안녕을 위해 쓰여진 것이라 본다면 제망매가는 자신의 의지를 다잡는 기능 한다고 볼 수 있을 것이다.
만전춘별사
고려가요《만전춘별사》라고도 한다. 이는 조선시대에 윤회가 지은 《만전춘》과 구별하기 위함이다. 작자연대는 미상이며, 《악장가사》와 《시용향악보》에 수록되어 있다. 5연으로 된 이 속요는 남녀간의 사랑을 대담하고 솔직하게 읊고 있어서 고려가요 특유의 주제와 소재를 가장 잘 구비하고 있으며, 특히 2연과 5연은 후기의 시조형식과 가까워 주목을 끈다. 조선 성종 때는 내용이 음란하다 하여 유학자들 사이에서 말썽을 빚기도 하였으나, 비유법과 심상의 전개가 흡사 현대의 시작법을 보는 듯하다.
각 연은 형식상으로 불균형을 보이고 있고 시어도 이질적이며 의미론적으로도 통일성이 없어서, 이 작품의 형성이 여러 이질적이고 독립적인 당대의 유행 노래를 궁중의 속악 가사로 합성, 편사함으로써 성립된 것으로 본다.
내용은 남녀간의 애정을 적나라하게 노래한 것으로 노골적이고 퇴폐적인 표현 때문에 조선시대 사대부에 의하여 음사(淫辭)로 규정되어 배척되었다.
I. 원문 및 현대어역
어름우희 댓닙자리 보와 님과 나와 어러주글만뎡
어름우희 댓닙자리 보와 님과 나와 어러주글만덩
情둔 오밤 더듸 새오시라 더듸 새오시라
耿耿孤枕上애 어느 미 오리오
西窓을 여러니 桃花ㅣ 發두다
桃花 시름업서 笑春風다 笑春風다
넉시라도 님을 녀닛景 너기다니
넉시라도 님을 녀닛景 너기다니
벼기더시니 뉘러시니잇가 뉘러시니잇가
올하 올하 아련 비올하
여흘란 어듸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