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려속요 - 고려가요의 개념 전승 특징 속요의 특성 작품들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 44
  • 45
  • 46
  • 47
  • 48
  • 49
  • 50
  • 51
  • 52
  • 53
  • 54
  • 55
  • 56
  • 57
  • 58
  • 59
  • 60
  • 61
  • 62
  • 63
  • 64
  • 65
  • 66
  • 67
  • 68
  • 69
  • 70
  • 71
  • 72
  • 73
  • 74
  • 75
  • 76
  • 77
  • 78
  • 79
  • 80
  • 81
  • 82
  • 83
  • 84
  • 85
  • 86
  • 87
  • 88
  • 89
  • 90
  • 91
  • 92
  • 93
  • 94
  • 95
  • 96
  • 97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고려속요 - 고려가요의 개념 전승 특징 속요의 특성 작품들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고려가요의 개념

2. 전승

3. 특징

4. 속요의 형식적 특성

5. 속요의 내용적 특성

6. 속요의 양면성

7. 민요적 맥락에서 바라본 고려속요

8. 작품강독
1) 사모곡
2) 상저가
3) 동동
4) 쌍화점
5) 만전춘별사
6) 서경별곡
7) 가시리
8) 정석가
9) 이상곡
10) 정과정
11) 유구곡
12) 처용가
13) 청산별곡
14) 도이장가
15) 한역속가
16) 한역속요
17) 한역참요
9. 마무리
※참고문헌※

본문내용


사모곡은 「악장가사」와 「시용향악보」등에 수록되어 전하는 작품으로 고려 속요로 보 는 것이 일반적인 견해인 것 같으나, 한편 이 노래를 신라 시대의 실전가요인 〈목주가〉에 비의한 설도 오래 전에 있었다. 따라서 이 사모곡이 신라 시대의 향가냐, 고려 속요냐의 판 명 목주가
신라의 가요. 작자·연대 미상. 전하는 바로는 목주(木州 또는 木川:지금의 天安)에 살던 한 처녀가 지은 것이라 한다. 그녀는 아버지와 계모를 정성껏 섬겨 효녀로 이름이 높았으나 끝내 계모의 사랑을 얻지 못하고 집에서 쫓겨나 산속으로 들어간다. 그곳에서 우연히 한 노파를 만나 그의 며느리가 되어 후에 계모를 모셔다 섬겼으나 그래도 그 사랑을 얻지 못하자 한탄한 나머지 이 노래를 지었다 한다. 이 노래를 일부에서는 고려 속악(俗樂)의 하나였던 《사모곡(思母曲)》으로 보기도 한다(李秉岐). 현재 《사모곡》이라는 이름으로 <목천읍지>에 가사가 실려 전한다. 이런 근거를 바탕으로해서 이 이야기는 \'사모곡\'의 내용과 비슷해서 \'목주가\'가 \'사모곡\'이 아닌가 하고 추정하는 견해도 있으나, 확실한 근거가 있는 것은 아니다.
은 시가 발달사상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되리라 생각되나 현재 학교상에서는 속요를 포함시 킨다. <사모곡>이 대부분의 고려 속요가 지니고 있는 3음보의 율격의 반복 어구와 대구의 사용, 여음(餘音)의 사용, 단연체(單聯體)의 시상을 연장체(聯章體)의 형식으로 구성하고 있 다는 점이 그 이유가 될 수 있다.
배경설화는 다음과 같다. 목주 땅에 한 여인이 있었다. 아버지와 계모를 잘 봉양하여 효녀 로 이름이 났으나, 아버지가 계모의 말만 듣고 딸을 심히 구박하였다. 그럴수록 부모를 정 성껏 봉양하였으나 결국 부모로부터 쫓겨나고 말았다. 부모를 하직하고 나선 그녀는 산 속 의 석굴에서 사는 한 노파를 만나 사정 이야기를 하였더니, 그 노파가 불쌍하게 여겨 함께 있기를 허락하였다.
그 후 그녀는 그 노파를 부모 섬기듯 극진히 모셨다. 노파는 그녀를 며느리로 삼았다. 부 부가 화목하게 지내며 또한 알뜰하게 살아 큰 재물을 모았다. 부모가 가난하게 산다는 소식 을 듣은 그녀는 자기 집에 부모를 모시고 지성으로 봉양하였으나, 그 부모는 끝끝내 즐겨하 지 아니하므로 효녀는 이 노래를 지어 한탄하였다고 한다. 이 설화는 고려사에 수록되어 있 는데, 지방의 부녀자들이 이 노래를 구전하여 불러 왔다고 전한다.
작품의 내용은 어머니의 절대적 사랑의 가치와 의미를 칭송(稱頌)한 고려 가요이다. 신라 때부터 불리어진 노래가 아닌가 생각된다. 여기서 부모의 사랑을 비교하되 아버지의 사랑은 \'호미\'에, 어머니의 사랑은 \'낫\'에 비유한 것은 매우 재치 있고 신선한 비유라고 할 수 있다. 호미와 낫을 비교하여, 같은 연장이지만 그 예리도(銳利度)에서 서로 다름을 나타내었는데, 곧 아버지의 사랑을 \'호미\'에, 어머니의 사랑을 \'낫\'에 비유함으로써 그 사랑의 정도를 나타 내었다. 어버이의 사랑을 농기구(農器具)에 비유한 데서 소박한 느낌을 불러일으키거니와 작 자의 신분도 암시(暗示)하는 바가 있으며, 문학 작품이 당대의 사회적, 문화적 환경의 영향 을 받는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 노래는 일찍이 신라 때부터 애송되던 것이 조선에 들어 와서 문자로 정착되었다고 볼 수 있다.
이 노래는 다른 고려 가요의 일반적 형식과는 달리 비연시(非聯詩)이다. 특히 의미가 없는 후렴구를 삭제하고 읽으면 평시조 3장과 형식이 유사하다. 이 노래를 3장으로 나눌 때 제3 장에 해당하는 첫 구절이 \'아소 님하\'와 같은 감탄적 언어로 되어 있다는 것에서는 향가(鄕 歌)의 낙구(落句)와 맥을 같이하고 있다.
본인은 사모곡 발표 준비를 하면서 공주대학교 국어교육과 강헌규 교수님께서 새롭게 해석하신 사모곡을 발표하고 싶었으나 아직 학계의 정설로 받아지지 않았고 현재 학교에서도 알려지지 않은 내용이라 언급하지 않는다. 다만 “고가요의 주석적 연구”라는 책을 읽어 본다면 사모곡에 대한 새로운 해석과 그 증거들을 살펴 볼 수 있음을 알려둔다. 우리 학교 학생이라면 한번쯤은 읽어 봐야 하지 않을까???...
◎ 여러 가지 논의
1) 단연체와 연장체의 논의
고려가요의 형태를 보통 단연체와 연장체로 나누어 볼 때 <사모곡>은 단연체에 속한다고 하는 것이 보편적이다. 그러나 『시용향악보』의 <납씨가(納氏歌)>조의 제하(題下)에
歌詞只錄第一章 其餘見歌詞冊 他樂倣此라는 단서가 붙어 있으며, 각 편의 노랫말이 1章밖 에 수록되어 있지 않기에 <사모곡>도 단연인지 아닌지 알 수 없다. 그러나 『악장가사』에 도 단연으로 전하기에 <사모곡>을 단연체로 보지만, 『시용향악보』를 전체에 적용시킨다 면 해당 소재의 가사는 모두 연장체라고 볼 수 있다는 견해도 있다. 『시용향악보』<납씨 가>조의 題下의 기록을 따르면 <사모곡>은 연장체일 수밖에 없다. 그러나 『악장가사』에 실리어 있는 다른 노래들과 비교해보면 <사모곡>도 단연체일 수밖에 없다. 이것은 첫째, <사모곡>이 『악장가사』와 『악학편고』에 단연체로 기록되어있고, 둘째, 고려가요의 일 반적 시 형태를 보면 ‘아소님하’가 단락의 종결을 의미하는 기능이 있는데 <사모곡>에도 있으며, 셋째, 현존 노랫말로도 독립된 한편의 노래로 다룰 수 있다는 점에서 연장체이기 보다는 단연체라고 할 수 있다.
2) 행에 관한 논의
3행으로 나눈 ‘단순체의 세 글귀설’, ’위덩더둥셩‘, ’아소님하어마님티괴시리업세라‘를 뺀 ’4구체설‘, ’아소님하‘와 ’어마님티괴시리업세라‘를 한 행으로 보는 ’5구체설‘, ’아소님하‘와 ’어마님티괴시리업세라‘를 나누고 전체적으로 6구(6행)으로 다룬 ’6구체설‘, ’위덩더둥셩‘을 한 행으로 취급해 의미여부여하며, ’아소님하어마님티‘와 ’괴시리업세라‘와 같이 행을 구분 하는 ’7구체설‘, 10구체 향가가 지니는 후구 서두에서 감탄사를 취하는 특이한 시가적 호흡 을 갖고 있어 10구체 신라 시가로 간주하는 ’10구체 향가설‘ 등 여러 가지 설들이 있다. 위 의 제설들을 통해 <사모곡>이 신라 시가의 형태적 모습(三章六名)을 갖고 있으며, 시조 형 태(三章六句)의 연원이 된다고 말할 수 있다.
2. 상저가(相杵歌)
  • 가격3,000
  • 페이지수97페이지
  • 등록일2019.03.30
  • 저작시기2019.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9485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