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어 의미 분석론 - 공시론 통시론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국어 의미 분석론 - 공시론 통시론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제1부 공시론
1. 의미와 의미론
2. 리치(G.N. Leech)의 의미유형론
2.1 개념적 의미
2.2 내포적 의미
2.3 문체적 의미
2.4 환정적 의미
2.5 반영적 의미
2.6 연어적 의미
2.7 주제적 의미
3. 단어 간의 의미 관계
3.1 유의 관계
3.2 반의 관계
3.3 다의 관계
3.4 동음이의 관계
3.5 하의 관계
4. 의미장
4.1 장의 이론
4.2 훔볼트-소쉬르-트리어-포르지히-코세리우
5. 신체 어휘의 의미 분석
5.1 인간 반응으로서의 신체어 관용구
5.2 신체어 관용구의 의미 분석
6. 정도 부사의 의미 분석
6.1 하위분류
6.2 피한정어의 양태

제2부 통시론
1. 의미 변화
1.1 의미 변화의 원인
1.2 의미 변화의 유형
2. 의존 명사 {것}의 사적 의미 변화
2.1 의존 명사의 불완전성
2.2 {것}의 분포 환경
2.3 {것}의 의미 분석

본문내용

하는 의문을 제기하였다.
2.3 문체적 의미(stylistic meaning)
리치가 제시하고 있는 문체적 의미는 어떤 언어 단편이 사용되는 사회적 호나경에 의해 전달되는 의미를 말한다.
리치는 크리스탈- 데이비에 의거하여 문체적 상이성의 주요 차원에 대해 소개하고 있다.
A. 비교적 영속적인 문체적 특징
① 개성(individuality) : X씨, Y부인, Z양의 언어 등
② 방언(dialect) : 지역, 또는 사회적 계급의 언어
③ 시대(time) : 18C의 언어 등
B. 담화(discourse)
① 매채(medium) : 음성 언어, 문자 언어 등
② 참가자(participation) : 독백, 대화 등
C. 비교적 일시적인 문체적 특징
① 분야(province) : 법률 용어, 과학 용어, 광고 용어 등
② 신분(status) : 겸손어, 구어, 속어 등
③ 양식(modality) : 메모, 강연, 농담 등
④ 특이성(singularity) : 디킨스의 문체, 허밍웨이의 문체 등
리치와 달리 미야케가 수정한 문체적 상이 양태는 다음과 같이 정리된다.
A. 개인-사회 축의 변상
①개인어(artistic singularity 포함)-소방언-대방언-공통어
②지역방언-사회방언-시대적 변이(폐어(obsolete), 불용어(obsolescent), 고어(archaic) 등)
B. 담화 자체의 성질에 의한 변상
① 매체(말하기와 쓰기)
② 참가자(친밀 상대, 토론, 불특정 다수 상대)
③ 목적
C. 용법에 의한 변상
① 용역(register)
② 신분(초형식적, 형식적, 통상적, 구어적, 초구어적, 비어, 속어)
③ mode of speech(다종다양)
동의어(synonyms)란 동치의 전달적 효과를 가진 두 개의 형식을 일컫는데, 이때의 동치는 일반적으로 개념적 의미의 가치 관계가 같다는 것을 뜻한다.
아래의 어례는 리치가 제시한 개념적 동의어로서, 이들 사이의 의미 차이는 문체적 함의에 의해서만 그 대비가 가능할 뿐이다.
말(馬) - steed(시적), horse(일반적), neg(속어), gee-gee(유아어)
개념적 의미가 같은 동의어끼리는 문체적 의미의 상이성에 의해 동의충돌(synonymy clash)을 회피하게 된다. 이들은 서로 유의적 성격을 띠는 것으로, 결국 개념적 의미만이 동일한 두 단어에서는 의미 충돌이 예상되지 않는다고 하는 원리를 상정하게 된다.
2.4 환정적 의미(affective meaning)
제4의 의미 유형인 환정적 의미는 화자와 청자의 개인적인 감정이나 태도, 즉 언어적 상황에 의해 전달되는 의미로, 전술해 온 개념적, 내포적, 문체적 의미 범주의 중개에 의존하는 기생적(parasitic) 범주이다.
때때로 환정적 의미는 개념적 의미와 중복되기도 한다. 이는 환정적 의미가 화자의 태도나 감정을 표시하는 단어에 의해 나타나기도 하지만, 그 중심적인 의미 내용이 평가적인 단어에 의해서도 현시적으로 표현되기 때문이다.
개념적 의미는 현시적, 또는 액면 그대로의 의미인데 반해, 환정적 의미는 은시적이고 함축적이며 잠재적이라는 데에서 양자는 구별된다.
2.5 반영적 의미(reflected meaning)
어떤 단어에서 한 의미가 다른 의미에 대하여 사람의 반응 일부를 낳게 하는 경우 생성하는 의미를 반영적 의미라고 한다. 즉, 동일한 표현이 다른 의미와의 연합에 의해 전달되는 의미를 일컫는다.
미야케는 리치의 반영적 의미를 네 가지 유형으로 나누어 논하고 있다.
① 그 단어의 중심 의미로부터 파생하는 연상
② 그 단어의 특수한 의미로부터의 연상
③ 말하는 상대에게 이해하지 못하게 하면서 제3자가 들어 알게 하는 은어
④ 문학 작품에 나타나는 “다층 의미”(multiple meaning)
2.6 연어적 의미(collocative meaning)
어떤 환경에서 잘 나타나는 여러 가지 단어의 의미 때문에 그 단어가 획득하는 연상으로부터 형성되는 의미이다.
리치가 말하고 있는 연어적 의미는 대체로 단어 사이의 결합 관계에서 보여주는 공기(co-occurrence)에 따라 성립되는 의미를 지칭한다.
2.7 주제적 의미(thematic meaning)
영어에서 어순(ordering)이나 초점(focus), 강세(emphasis) 등에 의해 전달되는 의미를 일컫는다.
지금까지 논해 온 여섯 가지의 의미 유형은 어휘적(lexical) 요소가 현저한 데 비해, 이 주제적 의미는 화용론(pragmatics)적 성격이 농후한 것이다.
■ 결 론 ■
지금까지 리치가 설정한 일곱 가지 의미 유형에 대하여 간단히 소개 해설했다.
여기에서 대두되는 가장 큰 난점은 의미 유형 사이의 경계 책정(demarcation) 문제이다.
개념적 의미와 내포적 의미, 개념적 의미와 문체적 의미, 또는 연어적 의미와의 경계는 경우에 따라 확연한 선을 긋기 어려우며, 또한 문체적 의미와 환정적 의미 사이에도 때때로 범주상의 동요(oscillation)가 야기된다.
리치의 일곱 가지 의미 유형에 대해 구니히로는 분류 기준이 일정하지 않은 것을 비판하고 있다.
리치는 Semantisc의 제2장 말미에 다음과 같이 일곱 의미 범주를 요약해두었다.
1. 개념적 의미
논리적, 지적, 외연적 내용





{
2. 내포적 의미
언어가 지시하는 것에 의해 전달되는 것
3. 문체적 의미
언어 사용의 사회적 환경에 대해 전달되는 것
4. 환정적 의미
화자/청자의 감정 및 태도에 대하여 전달되는 것
{
5. 반영적 의미
같은 표현의 다른 의미를 연상하는 것에 의해 전달되는 것
6. 연어적 의미
다른 단어의 환경에서 나타나는 경향이 있는 단어와의 결합에 의해 전달되는 것
7. 주제적 의미
어순이나 강세를 사용하여 메시지를 구성하는 방법에 의해 전달되는 것
3. 단어 간의 의미 관계
단어는 의미 면이나 형태 면에서 다른 단어들과 여러 가지 관계로 결부되어 있고, 때로는 그 관계로써 어떤 계열을 형성하기도 한다.
이와 같이 단어와 단어 사이의 어떤 의미적 관련성이 형성될 때 이를 어휘의 의미관계라고 한다. 의미 관계에는 동의(유의) 관계, 반의 관계, 다의 관계, 동음이의 관계, 하의 관계 등이 이
  • 가격3,000
  • 페이지수33페이지
  • 등록일2019.03.30
  • 저작시기2019.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9486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