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리스토텔레스 정치학 발제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 44
  • 45
  • 46
  • 47
  • 48
  • 49
  • 50
  • 51
  • 52
  • 53
  • 54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아리스토텔레스 정치학 발제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자란 것들에게는 식물은 동물을 위해, 동물은 인간을 위해 만들어졌기 때문이다.
→자연에 의해 인간에게 공급된 것을 인간의 목적에 따라 사용하는 농사술이라는 재산 획득술의 하나의 유형은 자연적으로 가정경영 기술의 일부이다.(삶을 위해서 반드시 필요하고 또 폴리스의 공동체나 가정을 위해 유용할 수 있는 재화들 가운데 충분히 비축할 수 있는 것들이 반드시 거기에 있어야만 하거나, 아니면 그 기술 자체가 그것들이 있을 수 있도록 공급해야만 한다는 점에서 그렇다.)
▷제 9장-교환경제의 기원, 성장, 다양성
(2) 재화획득술 중 ‘재화를 획득하는 기술’은 가정경영술의 한 부분인가, 혹은 다른 부류인가? :
ⅰ) ‘재화를 획득하는 기술’ 중 교역술은 가정경영술의 한 부분인가, 혹은 다른 부류인가? :
‘재화를 획득하는 기술’ 때문에 부와 재산에는 어떠한 한계도 있지 않다는 생각이 있는 것이다. 이 기술은 교환을 통해 재산을 획득하는 것과 같은 ‘인위적으로’ 부를 획득하는 것이다.
‘재화를 획득하는 기술’ 중 하나는 자연적인 것이고, 하나는 인위적인 것이다. ex)샌들은 신는 것으로 사용하는 것은 자연적이지만, 샌들을 통해 다른 것과 교환하여 재화를 획득하는 것은 인위적인 것이다. 왜냐하면 샌들의 목적이 교환이 아니기 때문이다.
‘교환술’은 어떤 것은 충분한 것보다 더 많이 가지고 있고, 어떤 것은 충분한 것보다 더 적게 가지고 있는 인간의 자연적인 조건에 그 최초의 기원을 두고 있는 것이다. 바로 이 점에서, 상업이 재화를 획득하는 기술에 자연적으로 속하는 것이 아니라는 점이다. 충분히 갖게 되는 한에서만, 그들은 필적연으로 교환에 참여하기 때문이다.
즉, 필요를 채우기 위하는 정도의 교환술은 자연에 어긋나는 것도 아니고, 어떤 유형의 ‘재화를 획득하는 기술’도 아닌 것이다. 왜냐하면 자족함을 충족시키기 위함이기 때문이다.
‘재화를 획득하는 기술’은 필요한 것을 수입하고 남아도는 것을 수출함으로써 공급의 원천이 외국으로까지 확장되었을 때 필연적으로 화폐가 등장함.
철과 은 등으로 교환을 목적으로 서로 간에 주고 받을 수 있도록 합의에 의해 편리를 위해 화폐가 기능했다.
ⅱ)‘재화를 획득하는 기술’ 중 교역 상업은 가정경영술의 한 부분인가, 혹은 다른 부류인가? :
재화를 획득하는 기술이 일차적으로 화폐와 관련되고, 화폐의 기능은 어디로부터 많은 돈을 벌 수 있는 지를 알아내는 능력으로 여겨졌던 것이다,
재화를 획득하는 기술이 부와 돈을 만들어내는 것으로 여겨졌다.
자연적인 부를 획득하는 기술은 가정경영술에 속하는 것이나, 교역 상업에서의 기술은 그 충분한 의미에서가 아니라 물건의 교환을 통해서 인위적으로 부를 만들어내는 것과 관련되기 때문에 가정경영술에 속하는 것이 아니다.
※자족과 필요를 위해 사용하는 ‘재화를 획득하는 기술’은 가정경영술의 일부이지만, 자족과 필요 이상을 사용과 즐김을 위해 사용하는 ‘재화를 획득하는 기술’은 다른 부류이다.
▷제 10장-획득술과 관련된 가정경영, 교역, 대부
-재화는 자연적으로 미리 수중에 주어져야만 한다. 태어난 것에게 식량을 공급하는 것은 자연의 기능이다. 그것에게 남겨진 것이 그것들 모두에게 식량이 되기 때문이다. →곡식과 독물들로부터 재화를 획득하는 기술은 자연적이고 가정경영술의 일부이다.
-‘재화를 획득하는 기술’ : (1)교역 상업, (2)가정경영술과 관련, 전자는 서로서로로부터 오는 부자연스러운 것, 후자는 칭찬받을 만한 것.
-이자 놀이를 하는 기술(대부) : 교환을 위한 화폐의 기능과 목적이 아니라, 돈 그 자체로부터 획득되기 때문에 비난받아 마땅하다. →재화를 획득하는 모든 방식 중에서 가장 자연에 어긋남.
▷제 11장-획득의 방식과 독점, 그리고 그 분석과 평가
-재화를 획득하는 기술의 실천적 적용 검토
-재화를 획득하는 일차적이고 가장 고유한 종류의 부분들 :
(1) 가축 사육(어떤 종류가 가장 이익이 되고, 어디서 어떻게 길러야 가장 이익이 되는지, 어떤 종류의 동물 재산이 가장 이익이 되는지에 대한 경험.)
(2) 땅의 경작에 대한 경험(곡물 재배 땅과 과실을 심는 땅으로 분리),
(3) 양봉
-교환의 기술 중 가장 주요한 분야 :
(1) 상업(ⅰ.선박업, ⅱ.상품 운송업, ⅲ.상품 판매업) 안전성과 수익성에서 다름,
(2) 대부업,
(3) 임노동(ⅰ.숙련된 기술자, ⅱ비숙련 노동자)
가장 기술적인 작업 : 운이라는 요소가 가장 적은 것에 의존하는 것
가장 기계적인 작업 : 신체에 가장 해를 주는 것
가장 노예적인 작업 : 신체가 가장 빈번하게 사용되는 것
가장 비천한 작업 : 덕이 가장 덜 필요로 하는 것
-획득의 방식을 잘 아는 지식가가 독점을 만들어낼 수 있음.→ 하지만, 독점을 통해 필요만큼 얻지 않고, 돈을 증식하는 데에 지식이 사용되는 것은 안 좋다.
-획득의 방식과 독점을 아는 것은 정치가들에게도 유용하다. →폴리스도 가정과 마찬가지로 재화를 획득할 필요가 있고, 수입원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제 12장-가정의 규칙, 남편과 아버지
-가정경영술 ①주인의 기술, ②아버지의 기술, ③혼인 관계의 기술 중 ①은 계속해서 설명했다.
-남은 두 가지의 기술에 대해 논의
-가족 경영인은 아내와 아이를 지배하는데, 둘 다 자유인으로서 지배하지만, 방식에 있어서 아내에 대해서는 정치가의 방식으로, 아이에 대해서는 왕의 방식으로 지배하기 때문이다.
②아내에 대한 지배는 남편이 항상 아내를 지배하지만, 여성에게 합당한 것은 부인에게 양도해야 한다는 것이 아리스토텔레스의 주장이다. 정치가의 지배도 지배하는 자와 지배받는 자의 역할 교대가 있어야 하는데, 자연적으로 동등해지기를 바라고 차이도 없기 때문이다. 지배하는 자는 위풍, 말하는 방식, 명예를 통해 차이를 만드려고 시도한다.
③아이에 대한 지배는 친애와 나이에 따라 지배하는데, 왕도 자연적인 우월성을 통해 지배하기 때문이다.(유교적 속성이 생각남)
▷제 13장-가정 구성원의 도덕적 탁월성
-가정경영술 : 생명없는 재산 < 인간, 재산의 탁월함 < 인간의 탁월함, 노예의 덕 < 자유인의 덕과 관련있음.
-영혼에는 자연적으로 지배하는 부분이 있고 자연적으로 지배
  • 가격2,000
  • 페이지수54페이지
  • 등록일2019.07.05
  • 저작시기2018.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10501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