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 론
1. 연구의 필요성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2) 연구기간 및 방법
2. 문헌고찰
1) 해부생리
1-1) 담낭의 구조
1-2) 담낭의 기능
2) 관련질병 병태생리
2-1) 담석증
2-2) 담낭암
2-3) 담낭염
3) 담낭염의 치료
3-1) 담낭염 간호
3-2) Laparoscopic Cholecystectomy
Ⅱ. 본 론
1. 건강 사정
2. 건강력
3. 진단검사
4. 주관적정보
5. 객관적 정보
(1) 소독간호사 역할
(2) 순환간호사의 역할
6. 수술 부위 피부 소독 및 준비물품
7. 수술 절차
8. 마취에 사용된 약물
9. 수술 환자 회복실 간호(Observation, 간호 처치)
10. 회복실에서 사용된 약물
11. 간호과정
Ⅲ. 결 론
1. 느낀점
2. 참고 문헌
1. 연구의 필요성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2) 연구기간 및 방법
2. 문헌고찰
1) 해부생리
1-1) 담낭의 구조
1-2) 담낭의 기능
2) 관련질병 병태생리
2-1) 담석증
2-2) 담낭암
2-3) 담낭염
3) 담낭염의 치료
3-1) 담낭염 간호
3-2) Laparoscopic Cholecystectomy
Ⅱ. 본 론
1. 건강 사정
2. 건강력
3. 진단검사
4. 주관적정보
5. 객관적 정보
(1) 소독간호사 역할
(2) 순환간호사의 역할
6. 수술 부위 피부 소독 및 준비물품
7. 수술 절차
8. 마취에 사용된 약물
9. 수술 환자 회복실 간호(Observation, 간호 처치)
10. 회복실에서 사용된 약물
11. 간호과정
Ⅲ. 결 론
1. 느낀점
2. 참고 문헌
본문내용
3) 감염이나 천공을 검사하기 위해 체온과 백혈구 수를 측정한다.
4) 황달이 있는지 공막과 피부를 사정한다.
5) 탈수의 증후를 사정한다(건조한 구강과 점막, 피부긴장도 저하, 소변 배설량 감소, 요비중 증가).
간호중재
통증완화
1) 통증의 위치, 강도, 특성 등을 사정한다.
2) 진통제를 투여하거나 자가투여를 교육한다.
3) 편안감을 느끼는 자세를 취해준다.
정상적인 수액량 확보
1) 정맥을 통해 처방대로 수액과 전해질을 공급한다.
2) 오심과 구토 완화를 위해 처방대로 항구토제를 투여한다.
3) 필요한 경우 비위관을 통해 압력을 완화시킨다.
4) 급성 증상이 가라앉은 후 환자가 감당할 수 있으면 식사나 수분을 제공한다.
5) T튜브의 배약량을 관찰하고 기록한다.
담낭 절제술 간호
수술 전 간호
1) 환자가 이전에 구토를 했을 경우 충분한 수분 상태 유지를 위해 정맥으로
수액을 주입한다.
2) 급성 담낭염을 위해 처방된 항생제를 투여한다.
3) 담낭 절제술 절차와 수술 후 예상되는 사항에 대한 교육을 한다.
4) 수술 전날 밤부터 금식시키고 수술 전에 배뇨하도록 한다.
수술 후 간호
1) 수술 후 다음을 사정한다.
2) 혈전 색전증의 예방, 배뇨증진, 장운동 촉진을 위해 보행을 증진시킨다.
3) 절개 부위의 감염, 출혈, 담낭손상 등 잠재적인 합병증이 있는지 주의하여 살핀다
통증완화
1) 통증 부위, 정도, 특징등을 사정한다.
2) 처방된 진통제를 투여하거나 환자가 사용하는 진통제를 파악한다.
3) 움직일 때 절개부위를 지지하도록 한다.
4) 복부팽만감의 감소와 장운동 증진을 위해 가능한 빠른 시일 내에 움직이도록 한다.
5) 복강경 담낭 절제술의 경우 수술 후 약 5~7일 후부터, 개복성
담낭 절제술의 경우 수술 4~6주후부터 일상활동을
수행할 수 있다는 것을 알려준다.
감염예방
1) 배액의 증가나 화농성 분비물이 있는지 상처드레싱을 살핀다.
2) T-tube 주위에 분비물 유무, 양, 색깔, 냄새 등을 사정한다.
3) T-tube에서의 담즙배액을 사정한다.
4) 우측 상부 복통, 복부팽만, 발열, 오한, 황달 등이 있으면 보고한다.
5) 처방대로 항생제를 투여한다.
6) 폐 감염의 기회를 줄이기 위해 폐활량계사용, 심호흡과 기침, 보행을 격려한다.
피부통합성 유지
1) 상처의 회복을 사정한다.
2) 처방대로 상처부위 간호를 실시하고 적절한 수화상태를 사정한다.
3) 5~7일 동안은 절개나 또는 상처부위를 건조하게 유지하고 발적, 통증, 배액이 있으면 보고하도록 한다.
적절한 영양 제공
1) 오심과 구토를 사정하고 처방된 항구토제를 투여한다.
2) 수분섭취를 증가시키고 환자가 소화할 수 있으면 정상적인 식사를 제공한다.
3) 필요시 T-tube로의 담즙 배액에 대체되는 수분을 제공한다.
4) 필요시 T-tube를 잠그고 음식의 내성과 배변 색깔을 사정한다.
환자교육/ 건강유지
1) 수술 후 빠른 회복이 예상됨을 환자와 가족에게 교육한다.
2) 환자의 수술 후 경과나 지속적인 증상의 변화를 즉시 의사에게 알리도록 환자와 가족을 교육한다.
3) 복강경 담낭 절제술을 한 후 환자가 조기에 회복되지 않으면 담관의 상해를 의 심 할 수 있다.
4) 점차 식이를 발전시켜나갈 것을 알려준다. 담관은 필요시 담즙의 저장을 위해 이완되므로, 지방은 소화가 가능한 범위에서 제공될 수 있다.
Laparoscopic Cholecystectomy
-가장선호되는 방법으로 최소한의 상처만 내어 시술
① 전신마취 후 배꼽근처에 삽입된 바늘을 통해 복강내공기층을 만들기 위해 CO₂사용
② 복강경 절제술시 이용되는 4지점
1) 측면창구는 담낭제거에 이용
2) 늑골 하 창구는 담낭제거에 이용
3) 상부 정중선창구는 담낭을 배꼽근처에서 꺼내는 동안 복강경을 삽입하기 위해 이용
4) 제대창구는 복강경 삽입에 이용되며 담낭을 꺼내기 위해 이용
③ T tube설치 : 담낭관을 떼어 내고 T튜브를 총담관으로 끼워 넣는다. T튜브의 양쪽 끝은 간과 십이지장을 향하게 하여 담즙이 흘러나오도록 함
수술방법
복강경하 담낭절제술은 우선 전신마취 하에서 투관침(troca; 연필 굵기의 대롱)을 사용하여 복벽에 구멍을 뚫고, 손가락 굵기의 카메라를 넣어 수술 집도의가 직접 눈으로 복강 내의 상태를 보면서 수술한다. 기구가 들어가기 위한 2-3개의 추가 투관침을 삽입하고 여기를 통해 특수 기구 넣고 담낭을 떼어내고 혈관을 클립(clip)으로 묶고 지혈하는 등의 조작을 하고, 떼어낸 담낭은 투관침을 넣은 장소로 빼낸다.
개복술로 전환 하는 경우
1) 출혈이 심한 경우
2) 1시간이 지나도 수술 진행이 안 되는 경우
3) 해부학적 구조의 변형이 심하거나 정확한 구조를 알 수 없을 때
4) 복강 내 장기의 손상, 큰 혈관 손상, 담도 손상 시
5) 담낭암, 간암 등 다른 병변이 발견될
Ⅱ. 본 론
일반적 사항
- 이름: 양00
- 성별: 여자
- 연령: 50세
- 결혼상태: 기혼
- 종교 : 불교
- 직업: 주부
- 키: 153.4cm
- 몸무게: 69.9kg
- Mental: Alert
주호소
epigastric pain, 심호흡 시 극심한 통증
진단명
chronic cholecytitis
수술명
LC(Laparoscopic Cholecystectomy)
-수술 일정 : 2015년 11월 3일 -
수술 전 체위, 후 체위 spine
가족력
- 가족력(family history)
어머니 : DM, HTN, 심장병
자매 : Tbc
과거력
- 1996년 TB Plevrisy DX
- 1998년 Spini Tb DX
- 2005년 자근근종 Dx -> 자궁적출술 op
알러지
- 업음
생활습관
- 흡연 (-) , 음주(-)
- 최근 투약 없음.
입원동기
- 1달전 건강검진상 상기 진단에 op하기 위해 입원함.
1. 건강 사정
Vital Sign(수술전)
RR
20회/min
PR
70회/min
BP
120/78mmHg
BT
36.4℃
Vital Sign(수술직후)
RR
20회/min
PR
79회/min
BP
116/60mmHg
BT
36.5℃
Pre med
Norvass 5mg, viread tab, (리보트릴 정, 큐로
4) 황달이 있는지 공막과 피부를 사정한다.
5) 탈수의 증후를 사정한다(건조한 구강과 점막, 피부긴장도 저하, 소변 배설량 감소, 요비중 증가).
간호중재
통증완화
1) 통증의 위치, 강도, 특성 등을 사정한다.
2) 진통제를 투여하거나 자가투여를 교육한다.
3) 편안감을 느끼는 자세를 취해준다.
정상적인 수액량 확보
1) 정맥을 통해 처방대로 수액과 전해질을 공급한다.
2) 오심과 구토 완화를 위해 처방대로 항구토제를 투여한다.
3) 필요한 경우 비위관을 통해 압력을 완화시킨다.
4) 급성 증상이 가라앉은 후 환자가 감당할 수 있으면 식사나 수분을 제공한다.
5) T튜브의 배약량을 관찰하고 기록한다.
담낭 절제술 간호
수술 전 간호
1) 환자가 이전에 구토를 했을 경우 충분한 수분 상태 유지를 위해 정맥으로
수액을 주입한다.
2) 급성 담낭염을 위해 처방된 항생제를 투여한다.
3) 담낭 절제술 절차와 수술 후 예상되는 사항에 대한 교육을 한다.
4) 수술 전날 밤부터 금식시키고 수술 전에 배뇨하도록 한다.
수술 후 간호
1) 수술 후 다음을 사정한다.
2) 혈전 색전증의 예방, 배뇨증진, 장운동 촉진을 위해 보행을 증진시킨다.
3) 절개 부위의 감염, 출혈, 담낭손상 등 잠재적인 합병증이 있는지 주의하여 살핀다
통증완화
1) 통증 부위, 정도, 특징등을 사정한다.
2) 처방된 진통제를 투여하거나 환자가 사용하는 진통제를 파악한다.
3) 움직일 때 절개부위를 지지하도록 한다.
4) 복부팽만감의 감소와 장운동 증진을 위해 가능한 빠른 시일 내에 움직이도록 한다.
5) 복강경 담낭 절제술의 경우 수술 후 약 5~7일 후부터, 개복성
담낭 절제술의 경우 수술 4~6주후부터 일상활동을
수행할 수 있다는 것을 알려준다.
감염예방
1) 배액의 증가나 화농성 분비물이 있는지 상처드레싱을 살핀다.
2) T-tube 주위에 분비물 유무, 양, 색깔, 냄새 등을 사정한다.
3) T-tube에서의 담즙배액을 사정한다.
4) 우측 상부 복통, 복부팽만, 발열, 오한, 황달 등이 있으면 보고한다.
5) 처방대로 항생제를 투여한다.
6) 폐 감염의 기회를 줄이기 위해 폐활량계사용, 심호흡과 기침, 보행을 격려한다.
피부통합성 유지
1) 상처의 회복을 사정한다.
2) 처방대로 상처부위 간호를 실시하고 적절한 수화상태를 사정한다.
3) 5~7일 동안은 절개나 또는 상처부위를 건조하게 유지하고 발적, 통증, 배액이 있으면 보고하도록 한다.
적절한 영양 제공
1) 오심과 구토를 사정하고 처방된 항구토제를 투여한다.
2) 수분섭취를 증가시키고 환자가 소화할 수 있으면 정상적인 식사를 제공한다.
3) 필요시 T-tube로의 담즙 배액에 대체되는 수분을 제공한다.
4) 필요시 T-tube를 잠그고 음식의 내성과 배변 색깔을 사정한다.
환자교육/ 건강유지
1) 수술 후 빠른 회복이 예상됨을 환자와 가족에게 교육한다.
2) 환자의 수술 후 경과나 지속적인 증상의 변화를 즉시 의사에게 알리도록 환자와 가족을 교육한다.
3) 복강경 담낭 절제술을 한 후 환자가 조기에 회복되지 않으면 담관의 상해를 의 심 할 수 있다.
4) 점차 식이를 발전시켜나갈 것을 알려준다. 담관은 필요시 담즙의 저장을 위해 이완되므로, 지방은 소화가 가능한 범위에서 제공될 수 있다.
Laparoscopic Cholecystectomy
-가장선호되는 방법으로 최소한의 상처만 내어 시술
① 전신마취 후 배꼽근처에 삽입된 바늘을 통해 복강내공기층을 만들기 위해 CO₂사용
② 복강경 절제술시 이용되는 4지점
1) 측면창구는 담낭제거에 이용
2) 늑골 하 창구는 담낭제거에 이용
3) 상부 정중선창구는 담낭을 배꼽근처에서 꺼내는 동안 복강경을 삽입하기 위해 이용
4) 제대창구는 복강경 삽입에 이용되며 담낭을 꺼내기 위해 이용
③ T tube설치 : 담낭관을 떼어 내고 T튜브를 총담관으로 끼워 넣는다. T튜브의 양쪽 끝은 간과 십이지장을 향하게 하여 담즙이 흘러나오도록 함
수술방법
복강경하 담낭절제술은 우선 전신마취 하에서 투관침(troca; 연필 굵기의 대롱)을 사용하여 복벽에 구멍을 뚫고, 손가락 굵기의 카메라를 넣어 수술 집도의가 직접 눈으로 복강 내의 상태를 보면서 수술한다. 기구가 들어가기 위한 2-3개의 추가 투관침을 삽입하고 여기를 통해 특수 기구 넣고 담낭을 떼어내고 혈관을 클립(clip)으로 묶고 지혈하는 등의 조작을 하고, 떼어낸 담낭은 투관침을 넣은 장소로 빼낸다.
개복술로 전환 하는 경우
1) 출혈이 심한 경우
2) 1시간이 지나도 수술 진행이 안 되는 경우
3) 해부학적 구조의 변형이 심하거나 정확한 구조를 알 수 없을 때
4) 복강 내 장기의 손상, 큰 혈관 손상, 담도 손상 시
5) 담낭암, 간암 등 다른 병변이 발견될
Ⅱ. 본 론
일반적 사항
- 이름: 양00
- 성별: 여자
- 연령: 50세
- 결혼상태: 기혼
- 종교 : 불교
- 직업: 주부
- 키: 153.4cm
- 몸무게: 69.9kg
- Mental: Alert
주호소
epigastric pain, 심호흡 시 극심한 통증
진단명
chronic cholecytitis
수술명
LC(Laparoscopic Cholecystectomy)
-수술 일정 : 2015년 11월 3일 -
수술 전 체위, 후 체위 spine
가족력
- 가족력(family history)
어머니 : DM, HTN, 심장병
자매 : Tbc
과거력
- 1996년 TB Plevrisy DX
- 1998년 Spini Tb DX
- 2005년 자근근종 Dx -> 자궁적출술 op
알러지
- 업음
생활습관
- 흡연 (-) , 음주(-)
- 최근 투약 없음.
입원동기
- 1달전 건강검진상 상기 진단에 op하기 위해 입원함.
1. 건강 사정
Vital Sign(수술전)
RR
20회/min
PR
70회/min
BP
120/78mmHg
BT
36.4℃
Vital Sign(수술직후)
RR
20회/min
PR
79회/min
BP
116/60mmHg
BT
36.5℃
Pre med
Norvass 5mg, viread tab, (리보트릴 정, 큐로
키워드
추천자료
Case Study:심근경색증
성인 케이스
GS담낭염케이스
[성인간호학]_수술방_case_Laparoscopic_Cholecystectomy
수술실 케이스 - laparoscopic choelcystectomy
Gallbladder stone Laparoscopic cholecystectomy 담석증 복강경 담낭 절제술 (GB stone gall...
[외과 실습 케이스 컨퍼런스 (Case Conference)] 골절 (Fracture) 개방성 경골, 비골 골절(T...
[성인간호학] [case study] cholecystitis(담낭염) & cholecystectomy, pneumonia(폐렴) ...
성인간호학 갑상선암 케이스 스터디 case study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