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인로 상사곡 작품론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박인로 상사곡 작품론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박인로의 <상사곡> 작품론
2018. 1학기 고전시가론
000학과
0000000000 000
Ⅰ. 서 론
<상사곡>은 한음 이덕형의 증손 이윤문이 1690년(경오, 숙종 3월 경북 영천에서 인간한 목판본 노계가집에 수록되어 있다. 노계가집은 여헌 장현광의 후손인 장화진 씨가 소장하고 있는데 10대조 육의당 장대림(1664-1730) 선생의 수택본으로 가전되어 오던 것이다. 본 가집에는 노계 박인로의 <사제곡>, <누항사>, <상사곡>, <권주가> 등 4편의 가사와 소
위 <조홍가>라고 하는 단가 4수, 그리고 이윤문의 발문이 수록되어 있다.
<상사곡>은 ‘상주영감명작’으로 노계가집에 <누항사> 다음에 장을 달리하여 다음과 같이 제7장 전면 1행부터 제11장 후면 8행에 걸쳐 수록 되어 있다.
第7張 前面 1行 : 相思曲 尙州令鑒命作
2行 : 天地間 어ㅣ 일이 대되 셜운 게오 아마도 셜울
-- (중 략) --
第11張 後面 7行 : ㄹ션졍 五十애 아. 나하 子孫 아기 늙도록 一生애
8行 : 덜
  • 가격1,0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19.12.13
  • 저작시기2018.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11993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