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매슬로우(Maslow)의 동기위계설에 대해 설명하고, 그 교육적 시사점을 논하시오.
서론 –매슬로우의 동기위계설 의미와 특징
본론 –교육적 시사점
결론 –비판의견과 느낀점
참고문헌
2. 계속적 강화와 간헐적 강화의 유용성을 들고, 네 가지 강화계획(reinforcement schedule)에 대해 실생활의 예를 제시하며 설명하시오.
서론 –계속적 강화와 간헐적 강화의 설명과 유용성
본론 –네 가지 강화계획에 대한 설명
결론 –실생활 예시와 각 강화계획의 효과
참고문헌
서론 –매슬로우의 동기위계설 의미와 특징
본론 –교육적 시사점
결론 –비판의견과 느낀점
참고문헌
2. 계속적 강화와 간헐적 강화의 유용성을 들고, 네 가지 강화계획(reinforcement schedule)에 대해 실생활의 예를 제시하며 설명하시오.
서론 –계속적 강화와 간헐적 강화의 설명과 유용성
본론 –네 가지 강화계획에 대한 설명
결론 –실생활 예시와 각 강화계획의 효과
참고문헌
본문내용
나타날 수 있다. PX병과 같은 흔히 꿀 보직이라고 하는 보직과 일반 포병의 보직을 비교해보자. 똑같이 주어진 군 생활은 21개월을 버텨야 하는데 상대적으로 포병이라는 힘든 노동강도가 필요한 보직에 배치된 사람의 경우에는 선례와 같은 부당한 느낌을 받을 수 있다. 두 번째로는 변동간격 강화이다. 이 경우에는 탄력적인 근무를 하는 업종에서 흔히 나타날 수 있다. 아르바이트 구직사이트 같은 곳에 보면 하루 몇 시간 근로를 해야 하고 그에 따라 제공되는 일당이 어느 정도인지 상세히 적혀있다. 하지만 이러한 예외 전제조건이 있다고 생각해보자. 봉급은 정해져 있는데 종료 시간은 정해져 있지않다 라는 전제가 있다고 했을 때 근로자 입장에서는 종료 시간이 빨리 끝나면 끝날수록 더 이득이라고 생각할 것이다. 왜냐하면 8시간 느긋하게 일하는 것과 4시간 빡세게 일하는 것과 봉급으로 받아가는 액수는 똑같기 때문이다. 이 경우 변동적인 조건이 있으므로 학습자 즉 행동하는 사람 입장에서는 보다 같은 자극이라 하더라도 향상된 행동을 발휘하게 될 것이다. 다음으로는 비율 강화의 두 가지 내용이다. 첫 번째인 고정비율 강화를 예를 들어 알아보겠다. 이경우 대학교에서 교수님이 학생들에게 건네는 제시에서 그러한 예를 살펴볼 수 있다. 예를 들어 교수님이 총 15주의 교육시간 동안 13시간 이상만 하면 나머지 두 수업시간은 여러분들의 재량에 맡겨 자유학습시간을 가질 수 있게 하겠다 라고 제안한다고 가정해보자. 단 수업시간은 모든 학생이 참여하는 것이므로 개인 사정으로 인한 결석을 이미 종료된 나머지 2일의 휴강을 추가적으로 보충하는 등의 방식을 요구하는 것을 통해 이를 보완할 수 없다는 조건에도 모두 동의한 상황이라고 가정하겠다. 이경우 학생들은 13번이라는 고정횟수비율만 충족시키면 15번을 출석한 결과를 얻게 되는 것이므로 이러한 간헐적 고정비율 강화는 학생들로 하여금 행동에 있어서 충분히 바람직한 수준의 자극을 이끌어 낼수 있을 것이다. 다음은 변동비율 강화 측면이다. 이경우 고정적인 강화도 없을뿐더러 어떤 행동을 몇 번 해야한다는 기준조차 없다. 즉 1번의 강화요인이 있다고 하였을 때 그러한 것을 얻기 위해서 몇 번의 행동을 해야하는지 전혀 예측할 수 없는 것이다. 즉 어떠한 회사 내에서 어떠한 성과에 따른 인센티브를 를 제공한다고 공고 게시판에 해당 서면을 공지했다고 해보자. 말 그대로 성과의 결과인 인센티브인 강화기제는 정해져 있지만, 이것을 달성하기 위해 어떤 수준의 성과를 달성해야 하는지 직원들은 모르기 때문에 더욱더 너나 할 것 없이 최선을 다해서 열심히 할 것이다. 이러한 조건으로 회사는 한정적인 인센티브만 갖고도 바람직한 여러 다양한 수준의 성과를 이끌어 낼수 있을 것이다. 즉 고정간격 강화의 경우 고정적인 간격에 의한 강화제공으로 별다른 학습효과를 얻어낼 수 없고, 변동간격의 강화의 경우 칭찬같은 적극적 강화요인과 회피같은 부정적 강화요인을 사용할 때 효과적이라고 한다. 이어 고정비율 강화의 경우 바람직한 행동을 유지하는데 효과적이며, 변동비율 강화의 경우 결과가 정해지지 않은 강화에 따라 업무를 수행하는 사람을 상대로 효과적인 방법이라고 한다.(상게서,408p) 이렇게 다양한 조건을 형성하여 그에 따른 강화 계획을 달리하면서 결과를 도출해낼 수 있고, 그러한 결과나 주어진 환경적인 자극에 따라서 사람이나 동물로부터 유도해내고 싶은 행동양식을 유발할 수 있다는 점에서 오늘날의 교육분야에서도 널리 시사점을 전해주는 이론이라고 할 수 있다.
⑷참고문헌
2020 신용한 행정학_신용한 저(2019)
강화 이론을 적용한 효과적인 이러닝 학습 시스템 설계_김진영,우종저 저(2009)
⑷참고문헌
2020 신용한 행정학_신용한 저(2019)
강화 이론을 적용한 효과적인 이러닝 학습 시스템 설계_김진영,우종저 저(2009)
추천자료
[교육심리학공통] 1) 매슬로우(Maslow)의 동기위계설 2) 에릭슨(Erikson)의 성격발달 8단계...
2013년 2학기 교육심리학 중간시험과제물 공통(매슬로우동기위계설,에릭슨성격발달)
2017년 교육심리학) 1. 가드너의 다중지능이론을 설명+가드너다중지능이론 교육적시사점, 가...
교육심리학 1.가드너의 다중지능이론 설명+교육적시사점, 가드너다중지능이론, 교육심리학 2....
방통대 교육심리학 중간과제물 1. 가드너(Gardner)의 다중지능이론을 설명하고, 그 교육적 시...
교육심리학)매슬로우(Maslow)의 동기위계설에 대해 설명하고, 그 교육적 시사점을 논하시오.
교육심리학 ) 매슬로우(Maslow)의 동기위계설에 대해 설명하고 그 교육적 시사점을 논하시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