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어사의 시대 구분 방법과 각 시기의 언어적 특징을 서술하시오.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국어사의 시대 구분 방법과 각 시기의 언어적 특징을 서술하시오.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국어사의 서술 방법

2. 국어사의 시대 구분 및 각시기의 언어적 특징
1) 시대 구분의 기준(근거)
2) 시대 구분의 實例

3. 참고문헌

본문내용

는 17세기 초에서 19세기 말까지 3세기 동안에 걸친다. 임진왜란 기간 동안 전 국토가 일본의 침략에 피폐해지고 임진왜란 이후 연이어 터진 두 번의 호란 등을 거쳐 민생이 어지러워짐에 따라 국어의 다양성이 크게 위축되고 된소리 발음 등이 거세지는 등 여러 변화가 나타나게 된다. 안으로는 상업, 수공업, 농업의 새로운 양상이 나타나 사회적인 변화가 현저해졌고 밖으로는 서양 문물에 접하여 그 자극을 받은 결과이었다. 이리하여 새로운 문학과 문학이 대두되었던 것이다. 18세기에 들어 융성한 실학과 서민 문학의 발전이 그것이다.
또한 서양문물의 접촉으로 인해 어휘 면에서도 새로운 변화가 일어나기 시작하여 이 시기는 중세국어에서 현대국어로 가는 과도기적 성격을 띠게 된다. 특히 모음체계에서 ‘(아래아)’가 완전히 소실되는 큰 변화와 함께 다양한 문법적 현상들이 벌어지면서 이전의 국어와는 큰 차이가 나타난다.
근대국어의 시기는 임진왜란이 지난 직후 곧 17세기 초엽부터 시작된다. 여기서 새삼 강조하고 싶은 것은 임진왜란은 중세어와 근대어 사이에서 발견되는 중요한 여러 변화의 요인이 아니라는 사실이다. 음운사상의 여러 변화뿐만 아니라 문법사상의 여러 중요한 변화가 이미 16세기 말 임진왜란 이전에 일어났던 것이다. 그리하여 임진왜란이 지난 뒤 국어는 근대적 면목을 띠고 나타났다. 임진왜란과 같은 전란이 언어 변화의 요인이 되는 것은 부인할 수 없지만 이 변화는 상당한 시간이 경과한 뒤에 나타나는 것이 보통이다. 근대국어의 시기는 17세기 초에서 19세기 말까지 3세기 동안에 걸친다. 근대국어에서 현대국어의 여러 특징이 형성되었다는 관점에서, 근대국어는 중세국어에서 현대국어에 이르는 하나의 과도기였다고 할 수도 있다.
근대국어의 큰 특징을 살펴보자면, 16세기 후반부터 동요를 보이던 중앙어의 성조가 거의 사라졌으며, 상성(上聲)은 대체로 장음(長音)으로 변하였다. 문자 \'ㆁ\', \'ㆆ\', \'ㅿ\' 등이 사라지는 등 문자 체계에 변화가 생겼다. 음운 ‘ㆍ(아래 아)’가 소실되었다. 이미 후기 중세 국어 시기에 두 번째 음절에서부터 소실되기 시작한 \'ㆍ\'는 이 시기에 들어 첫 번째 음절에서도 소실된 것이다. 17세기와 18세기의 교체기에 \'ㄷ, ㅌ\'의 구개음화가 일어나 \'ㅈ, ㅊ\'으로 된 사실과 18세기 중엽에 어두음절의 \'ㆍ\'마저 \'ㅏ\'로 변했고, 그 뒤를 이어 이중모음 \'ㅐ\'와 \'ㅔ\'의 단모음화가 일어난 것은 특기할 만하다. 17세기의 근대 국어에는 중세 국어에 있었던 유성마찰음(ㅸㆍㅿ)이 나타나지 않으며 어두 자음군이 된소리로 변하는 경향을 보였다.
근대 국어의 문법 체계를 중세 국어의 그것과 비교해 볼 때 간소화, 즉 경제적이고 효율적인 체계의 지향을 가장 뚜렷한 특징으로 지적할 수 있다. 선어말어미 \'-오/우-\'가 없어졌으며 경어법도 중세 국어의 존경법ㆍ겸양법ㆍ 공손법의 체계에서 존경법과 공손법의 체계로 바뀌었다. 중세 국어에 잡다했던 강세(强勢)의 첨사들이 많이 소멸되어 \'야ㆍ곳\' 등만이 남게 되었고, 한자어가 확대되어 고유어들이 소멸되기도 한다.
근대 국어의 문법적 특징은 다음과 같다.
① 근대어의 문법체계를 중세어의 그것과 비교해 볼 때, 가장 현저한 특징으로 지적할 수 있는 것이 簡素化(간소화), 즉 보다 경제적이고 효율적인 체계의 지향을 들 수 있다.
② 조어법 : 동사에서 명사를 파생시키는 접미사로는 \'-(으)ㅁ\'이 여전히 대표적이다.
③ 곡용
a. 중세의 \'ㅎ\'말음 명사들은 근대 전기에는 유지했으나 근대 후기에는 탈락되었다.
b. 근대에와서 체언의 비자동적 교체를 지향하고 단일화를 성취하려는 경향이 뚜렷해 졌다. c. 근대어의 격조사에서 무엇보다 주목되는 것은 주격의 \'-가\'다.
d. 근대에 와서 \'-의\'만이 속격의 기능을 나타내게 되었다.
④ 특수조사 : 근대에 와서 특수조사는 상당히 간소화 되었다.
⑤ 활용
a. 활용어간 : 근대국어에는 \'ㅸ, ㅿ\'가 없었으므로 중세어에서 이들 말음을 가졌던 어간에 변화가 일어났다.
b. 선어말어미 : 중세어의 의도법은 근대에 와서는 자취를 감추었고 경어법은 겸양법이 근대에 와서 공손법으로 변해 존경법과 공손법의 체계로 이행하였다. 중세의 감동법의 선어말어미들은 근대에 와서 단순화되어 \'-도-\'만이 남게 되었다.
c. 어말어미 : 근대어의 동명사 어미들은 중세와 같이 \'-ㄴ, -ㄹ, -ㅁ. -기\' 가 있었다. 근대어의 부동사 어미들은 중세 때 보다 간소화된 특징을 보인다. 정동사 어미에 대해서는 명령법어미로 중세의 \'-아
  • 가격5,0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20.03.16
  • 저작시기2020.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12690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