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국어사 교재를 참조하여 국어사 시대 구분 방법과 각 시기의 언어적 특징을 설명하시오. (분량은 A4용지 10매 내외)
Ⅰ. 서론
Ⅱ. 본론
1. 국어사 연구 방법
2. 국어의 계통
1) 국어의 계통에 대한 제학설
① 북방계설(알타이 계통설)
② 남방계설(드라비다어 계통설)
③ 한·일어 동계설
2) 국어의 형성
① 부여계 제어
② 한계 제어
3. 국어사의 시대 구분 방법
1) 학자들의 견해
2) 5분법을 통한 국어사 시대구분
① 고대 국어(고대 ~ 통일 신라 말, 고대~ 10세기 이전)
② 전기 중세 국어(고려의 건국 ~ 조선의 건국, 10세기 초 14세기 말)
③ 후기 중세 국어(조선의 건국 ~ 임진왜란, 15세기 ~16세기 말)
④ 근대 국어(임진왜란 ~ 갑오경장, 17세기 초 ~19세기 말)
⑤ 현대 국어(갑오경장 ~ 현대 국어, 20세기 초~ 현대)
4. 각 시기의 언어적 특징
1) 고대 국어 언어적 특징
2) 전기 중세 국어 언어적 특징
3) 후기 중세 국어 언어적 특징
4) 근대 국어 언어적 특징
5) 현대 국어 언어적 특징
Ⅲ. 결론
Ⅳ. 참고문헌
Ⅰ. 서론
Ⅱ. 본론
1. 국어사 연구 방법
2. 국어의 계통
1) 국어의 계통에 대한 제학설
① 북방계설(알타이 계통설)
② 남방계설(드라비다어 계통설)
③ 한·일어 동계설
2) 국어의 형성
① 부여계 제어
② 한계 제어
3. 국어사의 시대 구분 방법
1) 학자들의 견해
2) 5분법을 통한 국어사 시대구분
① 고대 국어(고대 ~ 통일 신라 말, 고대~ 10세기 이전)
② 전기 중세 국어(고려의 건국 ~ 조선의 건국, 10세기 초 14세기 말)
③ 후기 중세 국어(조선의 건국 ~ 임진왜란, 15세기 ~16세기 말)
④ 근대 국어(임진왜란 ~ 갑오경장, 17세기 초 ~19세기 말)
⑤ 현대 국어(갑오경장 ~ 현대 국어, 20세기 초~ 현대)
4. 각 시기의 언어적 특징
1) 고대 국어 언어적 특징
2) 전기 중세 국어 언어적 특징
3) 후기 중세 국어 언어적 특징
4) 근대 국어 언어적 특징
5) 현대 국어 언어적 특징
Ⅲ. 결론
Ⅳ. 참고문헌
본문내용
일 때는 동명사 어미 ‘ㄴ, ㄹ’에 첨사 ‘다’가 연결된 ‘-ㄴ다’, ‘-ㄹ다’라는 의문법 어미가 사용되고 수사 의문일 때는 ‘-이 , -이 녀, -이 니 가’가 사용된다.
- 곡용 : ‘ㅎ’ 말음 명사로 자동적 교체로는 곡용형에서 ‘ㅎ’ 말음이 나타나는 명사들이 존재한다. (단독형에서는 발음되지 않아 표기하지 않음) ex) 돌 -> 돌히, 돌해, 돌, 돌로, 돌콰
여기에 속하는 명사들에는 나라, 하, 길, 내 시내, 나조 등이 있다. 15c에 일부 동요( vs 하), 근대에 소실되어TEk.
비자동적 교체로는 나모(남기, 남, 남ㅣ, 남로, 나모와), 노(놀이, 놀, 놀ㅣ), (리, ㅣ, ),ㅿ, ㆍ가 있다.
- 격조사 : 주격조사는 체언 어간의 말음이 자음일 때는 ‘ㅣ’, 모음일 때는 그 모음과 하향 이중모음을 형성한다. 속격조사는 ‘-ㅣ/의’는 유정물의 평칭, ‘-ㅅ’은 유정물의 존칭과 무정물에 사용된다. 처격조사 ‘-애’, ‘ㅣ’ 는 두 조사관계는 분명히 밝혀지지 않았다. 대격조사는 ‘-ㄹ’ 가칠, 하나빌, 님금, 우릴, 눌, 날 등의 예로 확인할 수 있고 ‘-로’ 는 조격과 향격 조사로 자음으로 끝난 체언 뒤에서는 연결모음이 삽입된다. 공동격 조사는 체언 말음이 ‘ㄹ’이거나 모음이면 ‘-와’, 그 밖의 환경에서는 ‘-과’가 나타난다. 호격조사 ‘-하’, ‘-아’ 가 일반적, ‘-하’는 존칭으로 아랫사람이 윗사람 부를 때, ‘-아’는 윗사람이 아랫사람 부를 때 사용된다.
- 대명사의 곡용 : 1인칭 단수 ‘나’는 주격형 & 속격형 모두 ‘내’로 성조의 차이가 있다. 2인칭 ‘너’는 주격형 ‘네’(상성), 속격형 ‘네’(평성)으로, 미지칭 ‘누’는 주격형 ‘뉘’(거성), 속격형 ‘뉘’(상성)로 대격형 ‘눌, 누를’, ‘누’의 의문의 첨사 ‘고, 구’가 연결된 것이 ‘누고, 누구’이며 근대에 와서 대명사 어간으로 인식된다. ‘무엇’의 중세어 의문대명사는 ‘므스, 므슥’ 간혹 ‘므슴’이 사용되고 현대어에서는 관형사인 ‘어느’도 중세어에서는 대명사 주격형 ‘어늬’, 대격형 ‘어늘’, 부사로 ‘어찌’가 사용된다.
- 문장구조 중 집단 곡용은 한 문장에서 동격으로 사용된 명사들은 마지막 것만이 필요한 조사를 가지는 것으로 알타이 제어의 한 특색이다. 공동격 조사 ‘-과’의 사용이 다른 알타이 제어와 비교해 특수한 점이라고 할 수 있겠다.
▶ 자료 : 훈민정음 이전에는 한자 차용 표기 자료들이 있다. 훈민정음 이후의 자료로는「훈민정음」,「용비어천가」,「석보상절」,「월인천강지곡」등이 중요하며, 불경 및 중국의 문학, 수신에 관한 책들의 언해류가 주류를 이룬다.
4) 근대 국어 언어적 특징
(1) 음운·
- 자음 : ‘ㅅ,ㅎ’이 등장했고 -ㅂ계와 ㅅ계의 혼동이 있었다. 평음의 된소리화ㆍ유기음화가 더욱 일반화되었고 17C에 어두자음군이 된소리가 되었으며 그 완성은 17C 중엽에 이루어 졌다.
- 모음 : ㆍ의 소실이 일어났고 이중모음 ㅐ와 ㅔ가 단모음화 되었으며 ㅚ, ㅟ의 단모음화는 아직 없었다.
(2) 어휘
시간이 지날수록 순수한 국어 단어들이 눈에 띄게 없어졌다. 이들은 대개 한자어로 대체되었다. 예) 뫼(山), 오래(門) 그러나 한자어로 대체되지 않았는데 사라진 어휘들도 있다. 예) ‘혁-’(小) 이유는 알 수 없다.
중세어에서 근대어로 넘어오는 과정에서 고유어 어휘의 의미 변화도 있었다. 중세어 ‘어엿브-’는 연민을 의미했지만 근대어에서는 미려를 의미하게 되었다. 중세어 문헌에는 없지만 근대어 문헌에는 등장하는 단어 ‘뉴’(輩) 이는 한자의 ‘類’에서 나왔을 것으로 추정된다. 근대어의 한자어 중에서도 소멸된 것들이 많다. 원정(진정), 인정(뇌물) 방송(석방) 하옥(투옥) 등이 있다.
차용어의 대부분은 중국어였다. 중국어의 ‘파려’(보리)는 ‘보리’라는 발음으로 차용되었다. 이는 중국어 차용어가 그 본래의 한자에 대한 지식으로 해서 점차 그 한자의 우리나라 발음으로 이행되는 일반적 경향이 있음을 보여준다. 만주어 차용어에는 마흐래(冠 : 마래기, 모자) - mahala가 있다.
서양 문물의 유입으로 새로운 단어들도 생겼다. 담배 라는 단어도 이 시기에 실물과 함께 우리나라에 수입되었다.
(3) 문법
- 활용 : 활용 어간은 ‘ㅸ’, ‘ㅿ’이 없었으므로 중세어에서 이들 말음을 가졌던 어간에 변화가 일어난다. ‘ㅸ’은 ‘w’로 변하고 ‘ㅿ’은 탈락하게 된다. 어간 말음 ‘ㅺ’은 근대에 와서 역행동화로 ‘ㄲ’이 된다. ‘ㅼ’을 어간말음으로 가졌던 ‘ -’은 ‘맡-’으로 변한다.
- 선어말 어미 : 중세어에 있었던 의도법은 근대에 와서는 그 자취를 찾아볼 수 없게 되었다. 경어법은 중세의 존경법, 겸양법, 공손법의 체계에서 존경법과 공손법의 체계로 이행된다. 겸양법이 근대에 와서 공손법으로 변하고 겸양법이 근대에 와서 공손법으로 변한다.
중세어의 시상 체계는 근대어에서 심각한 동요를 보이기 시작한다. 과거의 ‘-앗/엇-’ 은 부동사 어미 ‘-아/어’와 동사 어간 ‘잇-’의 결합으로 이루어진다. 중세어의 현재 시상 선어말 어미와 정동사 어미 ‘-다’의 결합인 ‘ 다’는 근대어에서 모음으로 끝난 어간 뒤에서는 ‘-ㄴ다’로, 자음으로 끝난 어간 뒤에서는 ‘-는다’로 된다. 감동법 선어말 어미 는 ‘-도-’만 남는다.
- 어말 어미 : 근대어의 동명사 어미들은 중세어와 마찬가지로 ‘-ㄴ’, ‘-ㄹ’, ‘-ㅁ’, ‘-기’가 있었다. ‘-ㅁ’ 앞에 반드시 의도법 선어말 어미 ‘-오/우-’가 왔던 중세어와 달리 근대어에서는 의도법 어미의 소멸로 동명사와 파생명사 사이의 형태상의 구별이 사라진다. 근대어의 부동사 어미는 중세어와 비교할 때 간소화되었다. 소멸한 부동사 어미에는 ‘-디옷’, ‘-디 >-디위’이 있다. 정동사 어미는 명령법에 중세의 ‘-아 ’가 없어지고 ‘-소’가 등장하며 1인칭 복수 명령 ‘- 새’가 있다. 의문법 은 판정의문과 설명의문의 구별이 점차로 사라지게 되고 수사의문의 ‘-이 ’, ‘-이 녀’는 소멸한다. 감탄법은 16세기에 나타난 ‘-고나’의 일반화가 이루어진다.
- ‘ㅎ’ 말음 명사는 근대어 전기에 유지되다 후기에 탈락한다. 하지만 중세의 ‘집
- 곡용 : ‘ㅎ’ 말음 명사로 자동적 교체로는 곡용형에서 ‘ㅎ’ 말음이 나타나는 명사들이 존재한다. (단독형에서는 발음되지 않아 표기하지 않음) ex) 돌 -> 돌히, 돌해, 돌, 돌로, 돌콰
여기에 속하는 명사들에는 나라, 하, 길, 내 시내, 나조 등이 있다. 15c에 일부 동요( vs 하), 근대에 소실되어TEk.
비자동적 교체로는 나모(남기, 남, 남ㅣ, 남로, 나모와), 노(놀이, 놀, 놀ㅣ), (리, ㅣ, ),ㅿ, ㆍ가 있다.
- 격조사 : 주격조사는 체언 어간의 말음이 자음일 때는 ‘ㅣ’, 모음일 때는 그 모음과 하향 이중모음을 형성한다. 속격조사는 ‘-ㅣ/의’는 유정물의 평칭, ‘-ㅅ’은 유정물의 존칭과 무정물에 사용된다. 처격조사 ‘-애’, ‘ㅣ’ 는 두 조사관계는 분명히 밝혀지지 않았다. 대격조사는 ‘-ㄹ’ 가칠, 하나빌, 님금, 우릴, 눌, 날 등의 예로 확인할 수 있고 ‘-로’ 는 조격과 향격 조사로 자음으로 끝난 체언 뒤에서는 연결모음이 삽입된다. 공동격 조사는 체언 말음이 ‘ㄹ’이거나 모음이면 ‘-와’, 그 밖의 환경에서는 ‘-과’가 나타난다. 호격조사 ‘-하’, ‘-아’ 가 일반적, ‘-하’는 존칭으로 아랫사람이 윗사람 부를 때, ‘-아’는 윗사람이 아랫사람 부를 때 사용된다.
- 대명사의 곡용 : 1인칭 단수 ‘나’는 주격형 & 속격형 모두 ‘내’로 성조의 차이가 있다. 2인칭 ‘너’는 주격형 ‘네’(상성), 속격형 ‘네’(평성)으로, 미지칭 ‘누’는 주격형 ‘뉘’(거성), 속격형 ‘뉘’(상성)로 대격형 ‘눌, 누를’, ‘누’의 의문의 첨사 ‘고, 구’가 연결된 것이 ‘누고, 누구’이며 근대에 와서 대명사 어간으로 인식된다. ‘무엇’의 중세어 의문대명사는 ‘므스, 므슥’ 간혹 ‘므슴’이 사용되고 현대어에서는 관형사인 ‘어느’도 중세어에서는 대명사 주격형 ‘어늬’, 대격형 ‘어늘’, 부사로 ‘어찌’가 사용된다.
- 문장구조 중 집단 곡용은 한 문장에서 동격으로 사용된 명사들은 마지막 것만이 필요한 조사를 가지는 것으로 알타이 제어의 한 특색이다. 공동격 조사 ‘-과’의 사용이 다른 알타이 제어와 비교해 특수한 점이라고 할 수 있겠다.
▶ 자료 : 훈민정음 이전에는 한자 차용 표기 자료들이 있다. 훈민정음 이후의 자료로는「훈민정음」,「용비어천가」,「석보상절」,「월인천강지곡」등이 중요하며, 불경 및 중국의 문학, 수신에 관한 책들의 언해류가 주류를 이룬다.
4) 근대 국어 언어적 특징
(1) 음운·
- 자음 : ‘ㅅ,ㅎ’이 등장했고 -ㅂ계와 ㅅ계의 혼동이 있었다. 평음의 된소리화ㆍ유기음화가 더욱 일반화되었고 17C에 어두자음군이 된소리가 되었으며 그 완성은 17C 중엽에 이루어 졌다.
- 모음 : ㆍ의 소실이 일어났고 이중모음 ㅐ와 ㅔ가 단모음화 되었으며 ㅚ, ㅟ의 단모음화는 아직 없었다.
(2) 어휘
시간이 지날수록 순수한 국어 단어들이 눈에 띄게 없어졌다. 이들은 대개 한자어로 대체되었다. 예) 뫼(山), 오래(門) 그러나 한자어로 대체되지 않았는데 사라진 어휘들도 있다. 예) ‘혁-’(小) 이유는 알 수 없다.
중세어에서 근대어로 넘어오는 과정에서 고유어 어휘의 의미 변화도 있었다. 중세어 ‘어엿브-’는 연민을 의미했지만 근대어에서는 미려를 의미하게 되었다. 중세어 문헌에는 없지만 근대어 문헌에는 등장하는 단어 ‘뉴’(輩) 이는 한자의 ‘類’에서 나왔을 것으로 추정된다. 근대어의 한자어 중에서도 소멸된 것들이 많다. 원정(진정), 인정(뇌물) 방송(석방) 하옥(투옥) 등이 있다.
차용어의 대부분은 중국어였다. 중국어의 ‘파려’(보리)는 ‘보리’라는 발음으로 차용되었다. 이는 중국어 차용어가 그 본래의 한자에 대한 지식으로 해서 점차 그 한자의 우리나라 발음으로 이행되는 일반적 경향이 있음을 보여준다. 만주어 차용어에는 마흐래(冠 : 마래기, 모자) - mahala가 있다.
서양 문물의 유입으로 새로운 단어들도 생겼다. 담배 라는 단어도 이 시기에 실물과 함께 우리나라에 수입되었다.
(3) 문법
- 활용 : 활용 어간은 ‘ㅸ’, ‘ㅿ’이 없었으므로 중세어에서 이들 말음을 가졌던 어간에 변화가 일어난다. ‘ㅸ’은 ‘w’로 변하고 ‘ㅿ’은 탈락하게 된다. 어간 말음 ‘ㅺ’은 근대에 와서 역행동화로 ‘ㄲ’이 된다. ‘ㅼ’을 어간말음으로 가졌던 ‘ -’은 ‘맡-’으로 변한다.
- 선어말 어미 : 중세어에 있었던 의도법은 근대에 와서는 그 자취를 찾아볼 수 없게 되었다. 경어법은 중세의 존경법, 겸양법, 공손법의 체계에서 존경법과 공손법의 체계로 이행된다. 겸양법이 근대에 와서 공손법으로 변하고 겸양법이 근대에 와서 공손법으로 변한다.
중세어의 시상 체계는 근대어에서 심각한 동요를 보이기 시작한다. 과거의 ‘-앗/엇-’ 은 부동사 어미 ‘-아/어’와 동사 어간 ‘잇-’의 결합으로 이루어진다. 중세어의 현재 시상 선어말 어미와 정동사 어미 ‘-다’의 결합인 ‘ 다’는 근대어에서 모음으로 끝난 어간 뒤에서는 ‘-ㄴ다’로, 자음으로 끝난 어간 뒤에서는 ‘-는다’로 된다. 감동법 선어말 어미 는 ‘-도-’만 남는다.
- 어말 어미 : 근대어의 동명사 어미들은 중세어와 마찬가지로 ‘-ㄴ’, ‘-ㄹ’, ‘-ㅁ’, ‘-기’가 있었다. ‘-ㅁ’ 앞에 반드시 의도법 선어말 어미 ‘-오/우-’가 왔던 중세어와 달리 근대어에서는 의도법 어미의 소멸로 동명사와 파생명사 사이의 형태상의 구별이 사라진다. 근대어의 부동사 어미는 중세어와 비교할 때 간소화되었다. 소멸한 부동사 어미에는 ‘-디옷’, ‘-디 >-디위’이 있다. 정동사 어미는 명령법에 중세의 ‘-아 ’가 없어지고 ‘-소’가 등장하며 1인칭 복수 명령 ‘- 새’가 있다. 의문법 은 판정의문과 설명의문의 구별이 점차로 사라지게 되고 수사의문의 ‘-이 ’, ‘-이 녀’는 소멸한다. 감탄법은 16세기에 나타난 ‘-고나’의 일반화가 이루어진다.
- ‘ㅎ’ 말음 명사는 근대어 전기에 유지되다 후기에 탈락한다. 하지만 중세의 ‘집
키워드
추천자료
한국사 시대구분의 의의와 그 기준
한국사 시대구분
한국 문학사의 시대구분에 대한 소고
한국문학사의 시대구분에 관한 연구
한국사 시대구분.hwp
[시대구분][시대구분 기준][시대구분 전개][시대구분 경향][시대구분 전망][시대구분 과제][...
한국 문학사 시대구분 이견
한국중세사 시대구분론 - 김용섭의 <토지제도(土地制度)와 농업개발정책(農業開發政策)>을 중...
한국민족의형성과문화 시대구분부터 고구려대외항쟁까지
[관광지리학의 발달] 관광지리학의 발달과정(역사) - 관광의 지리적 발달과 시대구분 : 우리...
한국지리여행 _ 방송통신대 관광학과 1학년 1학기 중간과제물
김윤식,김현의 한국문학사 제1장 요약 (현대문학사의 시대구분)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