채동번의 중국 역사소설 남북사통속연의 88회 89회 90회 한문 및 한글번역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 44
  • 45
  • 46
  • 47
  • 48
  • 49
  • 50
  • 51
  • 52
  • 53
  • 54
  • 55
  • 56
  • 57
  • 58
  • 59
  • 60
  • 61
  • 62
  • 63
  • 64
  • 65
  • 66
  • 67
  • 68
  • 69
  • 70
  • 71
  • 72
  • 73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채동번의 중국 역사소설 남북사통속연의 88회 89회 90회 한문 및 한글번역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제팔십팔회 태자용조참피폐 서인수유고몽원
남북사통속연의 88회 태자 양용은 참언을 당해 폐위당하고 서인 양수는 유폐되어 원망을 품다
제팔십구회 시병부밀모행역 증서모강결동심
남북사통속연의 89회 병든 부친을 간병하다가 비밀리에 역모를 모의하고 서모와 간통해 강하게 같은 마음으로 결탁하다
제구십회 공병주분견병융 행낙양대흥토목
남북사통속연의 90회 병주를 공격하는데 나눠 병사 수비를 보내고 낙양으로 행차해 크게 토목공사를 일으키다

본문내용

양견혼신
내가 너에게 친하기로는 부친으로 또 내 형상을 그려 머리를 묶오 여전히 서악 신병이 양견 혼과 신을 거둬 달라고 청했다.
如此悖謬, 我不知楊堅、楊諒, 果是汝何親也。
여차패류 아부지양견 양량 과시여하친야
悖[beimiu]① 불합리(하다) ② 상식을 벗어나다
이와 같은 불합리함에 나는 양견과 양량이 과연 네 친척인지도 모르겠다.
包藏凶慝, 圖謀不軌, 逆臣之跡也。
포장흉특 도모불궤 역신지적야
凶慝(사특할 특; -총15획; te)하다:흉악하고 사특하다
흉악하고 사특함을 감추고 불궤를 도모해 반역 신하의 흔적이 있다.
希父之災, 以爲身幸, 賊子之心也。
희부지재 이위신행 적자지심야
부친이 재앙이 나길 바라며 자신 행운으로 여김은 도적 아들의 마음이다.
懷非分之望, 肆毒心於兄, 悖弟之行也。
회비분지망 사독심어형 패제지행야
非分[fifen]① 자기 몫에 만족하지 아니하다 ② 분수에 맞지 아니하다
분수가 아닌 바람을 가져 형에게 독스런 마음을 펼침은 패륜 아우의 행실이다.
嫉於弟, 無惡不爲, 無孔懷之情也。
질투어제 무악불위 무공회지정야
孔[knghuai]① 몹시 그리워하다 ② 형제(간의 우애)
아우에게 질투하며 악행을 하며 형제간의 우애가 없다.
違犯制度, 壞亂之極也。
위범제도 괴난지극야
壞亂:풍속 따위를 무너뜨려 어지럽게 함
제도를 침범하니 파괴하며 난리의 지극함이다.
多殺不辜, 豺狼之暴也。
다살불고 시랑지포야
많이 무고한 사람을 죽이면 승냥이나 이리처럼 포악함이다.
剝削民庶, 酷虐之甚也。
박삭민서 혹학지심야
削[bxu]착취(하다)
서민을 착취함은 포학함이 심함이다.
唯求財貨, 市井之業也。
유구재화 시정지업야
유독 재화만 구함은 시정잡배의 업이다.
專事妖邪, 頑之性也。
전사요사 완은지성야
頑:頑은 미련할 완. 완고할 완. 은 어리석을 은
오로지 요사스러움만 섬김은 미련하고 어리석은 성품이다.
弗克負荷, 不材之器也。
불극부하 부재지기야
감당을 못함은 재주가 없는 그릇이다.
凡此十者, 滅天理, 逆人倫, 汝皆爲之, 不祥之甚也。
범차십자 멸천리 역인륜 여개위지 불상지심야
이 10가지로 천리를 없애고 인륜을 반역함을 너는 모두 하니 매우 상서롭지 않다.
欲免禍患, 長守富貴, 其可得乎?
욕면화환 장수부귀 기가득호
재앙을 면하고 오래 부귀를 지킴이 가능하겠는가?
庶人秀得見此詔, 得莫名其妙, 自思詔書所言, 純是誣, 不知被何人構造出來, 鍛成這般大罪。
서인수득견차조 하득막명기묘 자사조서소언 순시원무 부지피하인구조출래 단성저반대죄
서민 양수가 이 조서를 보고 놀라 영문을 몰라 생각건대 조서 말은 순전히 원통한 무고로 어떤 사람이 날조해내고 이런 대죄를 완성했는지 몰랐다.
禁門深遠, 無從申訴, 只好恨泣血, 靜坐囹圄。
금문심원 무종신소 지호음한읍혈 정좌영어
恨[ynhen]원한을 품다
대궐문이 너무 멀어 하소연할 방법이 없어 부득불 한을 품고 피눈물을 흘리며 가만히 감옥에 앉았다.
貝州長史裴肅獨遣使上書, 謂:“二庶人得罪已久, 寧不革心, 願陛下弘君父之慈, 顧天性之義, 各封小國, 再觀後效, 若能遷善, 漸更增益, 如或不悛, 貶削未遲。”
패주장사배소독견사상서 위 이서인득죄이구 녕불혁심 원폐하홍군부지자 고천성지의 각봉소국 재관후효 약능천선 점경증익 여혹부준 폄삭미지
貶削: 품계를 낮춤
패주장사 배소가 유독 심부름꾼을 보내 상서를 올렸다. “2서인이 죄를 얻은지 이미 오래되어 차라리 마음을 안고쳤다면 모를까 원컨대 폐하께서 부친의 자애로움을 넓히시어 천성의 의리를 돌아보고 각자 작은 나라를 봉해 재차 뒤에 효과를 관찰해 만약 선행을 하면 점차 봉지를 늘리고 만약 혹 고치지 못하면 품계를 낮춰도 늦지 않습니다.”
這書奏入, 隋主顧楊素道:“裴肅憂我家事, 也是一片誠心。”
저서주입 수주고양소도 배소우아가사 야시일편성심
이 서신이 상주로 올라가 수나라 군주는 양소를 돌아보고 말했다. “배소가 우리 가정일을 근심함은 조그만 성심이다.”
素默然不答。
소묵연부답
양소는 침묵하고 대답하지 않았다.
(不劾裴肅, 還算厚道。)
불핵배소 환산후도
배소를 탄핵하지 않음만 봐도 후덕한 도리라고 말할만하다.
於是徵肅入朝, 面諭二庶人不能曲恕, 且罷肅原官, 放歸田里。
어시징소입조 면유이서인불능곡서 차파소원관 방귀전리
曲恕 [qshu] 부디 너그럽게 용서해 주시기 바랍니다
이에 배소를 입조하게 불러 2서인이 너그럽게 용서를 못하니 배소의 원래 관직을 파직히 고향에 돌아가게 했다.
惟庶人秀諸子, 聽令同處.
유서인수제자 청령동처
유독 폐서인한 유수 여러 아들을 같은 곳에서 명령을 듣게 했다.
小子有詩歎道:讒言蔽主益神昏, 父子相夷最賊恩;
소자유시탄도 참언폐주익신혼 부자상이최적은
내가 시로 다음과 같이 탄식한다. 참언은 군주를 가려 더욱 정신을 혼미하게 하며 부자간에 서로 죽여 가장 은혜의 적이 되게 한다.
一摘已稀偏再摘, 可憐皇嗣兩含!
일적이희편재적 가련황사양함원
한명을 따냄도 이미 드문데 2명을 따내니 가련한 황제아들은 두명이 원통함을 머금는다!
二庶人不得出頭, 太子廣得步進步, 更要做出逆天害理的大事來了。
이서인부득출두 태자광득보진보 경요주출역천해리적대사래료
得步步:한 걸음 한 걸음 나오다, 得望蜀1.농 땅을 얻으면 촉나라까지 갖고 싶다; 말타면 경마 잡히고 싶다 2.욕망은 한이 없다
2명 서인은 머리를 내밀지 못하고 태자 양광은 욕망이 끝이 없어 다시 하늘을 거스르고 이치를 해치는 큰 일을 저지르고 만다.
欲知他如何行事, 請看下回便知。
욕지타여하행사 청간하회변지
그가 어떻게 행사하려는지 알려면 아래 89회를 보면 곧 알리라.  
太子勇非無過失, 誤在無正人以輔導之。
태자용비무과실 오재무정인이보도지
태자 양용은 과실이 있지만 잘못은 바른 사람으로 인도하지 못해서이다.
如洗馬李綱言, 最爲切。
여세마이강언 최위개절
切[kiqie]① 사리에 합당하다 ② 적절하다
세마인 이강의 언어가 최고로 적절하다.
然有獨孤后之偏愛, 與晉王廣之詭謀, 就使勇無失德, 亦必致廢黜, 況更有楊素之助桀爲虐耶?
연유독고후지편애 여진왕광지궤모 취사용무실덕 역피치폐출 황경유양소지조걸위학야
助桀虐[zhu Jie wei nue]① 桀王을 도와 잔학한 짓을 하다 ② 악인을 도와 나쁜 일을 하다
그러나 독고황후의 편애에 진왕 양광의 속임수 음모로 양용이 실덕이 없어도 또 폐출다

키워드

  • 가격7,500
  • 페이지수73페이지
  • 등록일2020.04.06
  • 저작시기2020.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12852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