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
44
-
45
-
46
-
47
-
48
-
49
-
50
-
51
-
52


목차
< 목차 >
Ⅰ. 서론
ⅰ.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ⅱ. 자료 및 방법
ⅲ. 문헌 고찰
1. 정의
2. 원인 및 위험요소
3. 병태생리
4. 임상증상
5. 진단검사
6. 치료 및 간호
Ⅱ. 본론
ⅰ. 간호사정
1) 개인력
2) 건강력
3) 간호력
4) 각 기관별 문진
ⅱ. 진단검사
ⅲ. 입원 중 투약과 처치
ⅳ. 치료 내용 및 진행사항
ⅴ. 간호과정
1) 건강문제
2) 자료수집 (주관적 자료, 객관적 자료)
3) 간호진단 : 타당성(NANDA의 간호진단 참조)
4) 간호목표 (장기, 단기)
5) 간호계획 (이론적 근거)
6) 간호중재
7) 간호평가
Ⅲ. 결론
Ⅳ. 느낀 점
Ⅴ. 참고문헌
Ⅰ. 서론
ⅰ.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ⅱ. 자료 및 방법
ⅲ. 문헌 고찰
1. 정의
2. 원인 및 위험요소
3. 병태생리
4. 임상증상
5. 진단검사
6. 치료 및 간호
Ⅱ. 본론
ⅰ. 간호사정
1) 개인력
2) 건강력
3) 간호력
4) 각 기관별 문진
ⅱ. 진단검사
ⅲ. 입원 중 투약과 처치
ⅳ. 치료 내용 및 진행사항
ⅴ. 간호과정
1) 건강문제
2) 자료수집 (주관적 자료, 객관적 자료)
3) 간호진단 : 타당성(NANDA의 간호진단 참조)
4) 간호목표 (장기, 단기)
5) 간호계획 (이론적 근거)
6) 간호중재
7) 간호평가
Ⅲ. 결론
Ⅳ. 느낀 점
Ⅴ. 참고문헌
본문내용
(기도의 염증과 삼출물로 인해), 기관지 호흡음 (경화된 부위에서)
촉진 시 진동음 증가 (폐렴부위)
흉부 불편감 (흡기 시 흉부팽창이 감소 or 일정하지 않음.)
피로, 근육통, 두통, 매쓰꺼움.(→ 불안 증가 : 얼굴표정과 안면, 어깨근육의 긴장 여부를 통해 불안 정도 사정.)
기립저혈압, 약한 맥박 : 저산소혈증, 탈수, 쇼크 가능성 의미
피부발진 시 mycoplasma 감염, cytomegalovirus 감염, 로키산반점열인지 검사.
5. 진단검사
(1) 객담과 혈액검사
① 객담검사 : 객담을 받아 그람염색검사, 배양 및 민감도 검사를 한다.
→ 원인균의 50% 정도를 확인하고 민감도 검사로 각 항생제에 대한 세균의 내성이나 민감성을 알 수 있다. 혈액 배양검사로 혈류에 세균이 침입하였는지 알 수 있다.
② 혈액검사
- 전혈구 검사 : 백혈구 증가 확인함.
- 소변검사 → 혈뇨, 농뇨, 단백뇨를 확인함.
- 동맥혈가스분석, 혈청 전해질, 혈액요소질소(BUN), 크레아티닌 수준을 측정한다.
조직의 이화작용 증가와 토리여과율의 감소로 BUN 수치가 증가한다.
발열과 수분섭취 부족으로 인한 탈수로 고나트륨혈증이 발생할 수 있다.
(2) 흉부 X-선검사
폐분절, 폐엽, 한쪽 허파 또는 양쪽 허파의 밀도 증가를 보인다.
노인은 증상이 모호할 수 있으므로 폐렴의 조기 진단에 흉부 x-선 검사 필수.
※ 참고 : 폐렴과 폐결핵의 차이
- 폐렴의 주증상은 고열과 기침 가래가 특징적이며 가래 색깔도 병의 원인균에 따라 다양합니다. 이때는 장기간의 식욕부진이 동반되지 않았다면 체중의 감소는 관찰되지 않습니다.
- 결핵의 증상은 미열(열이 있으나 폐렴과는 달리 환자가 힘들어 하지 않는 특징이 있습니다), 피곤과 전신쇠약감, 체중감소, 가래에 묻어 나오는 혈담, 기침등이 있습니다. 처음 발병한 결핵때는 각혈의 양이 많지 않습니다.
(3) 기타
저산소혈증을 사정하기 위해 맥박산소측정을 한다.
기관지 흡인, 기관지경검사, 바늘 흡인천자 등과 같은 침습적인 검사를 통해 하부기도의 검사물을 수집한다.
가슴막 삼출액이 있으면 흉강천차를 시행한다.
6. 치료 및 간호
(1) 치료
혈액, 객담배양 및 항생제 민감성 결과에 따라 항생제를 선택하여 투여한다.
치료기간은 세균의 특성에 따라 최소 5일까지 걸릴 수 있다. 항생제 부작용인 설사, 구토, 구역, 가려움증, 발진, 과민성 쇼크 등을 관찰한다.
- 폐렴의 원인균에 따른 항생제
< 그람양성 감염 >
ticarcillin/clavulanate
vancomycin
imilenem/cilastatin
piperacillin/tazobactan
cefepime/metronidazole
< 그람음성 감염 >
ciprofloxacin
aminoglycoside(amikacin, gentamicin)(콩팥기능이 안정되었다면)
ceftazidime
aztreonam
ticarcillin
기관지경련이 발생하면, 기관지 확장제, 특히 B- 교감신경차단제를 처음에는 분무기로 투약하고, 이후 용량흡입기로 흡입하게 한다. 수액은 적어도 3~4일동안 증가시킨다.
(2) 간호
간호진단
· 비효과적 호흡양상
· 가스교환장애
· 지식부족
간호진단 : 비효과적 호흡양상
(정의 : 적절한 환기가 이루어지지 않는 흡기/호기??)
< 비효율적인 호흡양상 개선 >
· 간호
활력징후와 신체상태를 관찰한다.
호흡의 횟수, 리듬, 깊이, 노력을 관찰한다.
흉부의 움직임과 대칭 여부, 보조근의 사용, 빗장뼈 움직임, 늑간근 수축을 관찰한다.
호흡양상을 관찰한다. : 빠른호흡, 빠른맥, 과도환기, Kussmaul 호흡, Cheyne-Stokes 호흡, 지속성 흡식(apneustic) 호흡, Biot 호흡, 실조성(ataxic) 호흡 등
가로막의 근육피로를 관찰한다.
호흡음을 청진하여 환기 감소나 결핍부위, 진동음이 들리는 부위를 기록한다.
거품소리(악설음과 수포음)를 청진하여 흡인이 필요한지 결정한다.
동맥혈가스분석 결과를 확인하고, 안절부절못함, 불안 등의 산소부족 증상을 관찰한다.
효과적인 기침능력을 관찰한다 : 기침의 시작, 특징, 기간
호흡기 분비물을 관찰한다.
호흡곤란을 완화시키거나 악화시키는 요인을 모니터한다.
흉부 x-선 결과를 확인한다.
심호흡으로 흉곽 내 압력을 상승시켜 강하게 숨을 내뱉는 기침을 하도록 권장한다.
유발폐활량계를 사용하도록 권장한다.
충분한 수분을 공급하고 섭취량과 배설량을 측정한다.
간호진단 : 가스교환 장애
(정의 : 폐포-모세혈관막에서 산소와 이산화탄소의 제거가 결핍 또는 과잉된 상태??)
< 부적절한 가스교환 상태 개선 >
· 간호
- 휴식, 운동, 수면 시 호흡곤란을 사정한다.
구강, 비강, 기관지 등의 분비물을 제거하여 기도개방을 유지한다.
금연한다.
가온 · 가습기구를 통해 산소를 지시대로 투여한다.
대상자와 가족에게 산소요법 원리를 설명한다.
식사 시 산소공급기구를 마스크에서 비강캐뉼러로 바꾸어준다.
저환기 징후를 관찰한다.- 산소독성과 무기폐 징후를 관찰한다.
대상자가 이동할 때 산소를 제공한다.
간호진단 : 지식제공
< 질병과 관련된 지식제공 >
폐렴의 위험요인, 치료, 합병증의 예방과 조기발견 방법에 대하여 교육한다.
Ⅱ. 본론
ⅰ. 간호사정
1) 개인력
· 이름 : -○○ · 연령 : 72세 · 성별 : F
· 주소 : -- 등록번호 : 00000 삭제
· 결혼 상태 : 기혼 / 유 · 종교 : 무교 · 직업 : 무직 · 학력 : 중졸
· 진료비 지불능력 : 유 · 혈액형 : B+
· 입원일 : 20191018 · 정보 제공자 : 자녀, 딸
· 신장 : 149cm · 몸무게 : 70kg
· 진단명 : ① Aspiration Pneumonia (NOS)
② Acute respiratory failure, type unspecified
2) 건강력
(1) 헌병력
- 주증상 : altered mentality, fever, tachypnea
주증상 언제 처음 나타났는지? : -- 요양병원 입원하면서부터 나타남.
얼마나 자주 나타나는지, 얼마나 오래 지속되는지? : 2019.10.11.부터 발열, 의식저하 계속 나타나 지속
촉진 시 진동음 증가 (폐렴부위)
흉부 불편감 (흡기 시 흉부팽창이 감소 or 일정하지 않음.)
피로, 근육통, 두통, 매쓰꺼움.(→ 불안 증가 : 얼굴표정과 안면, 어깨근육의 긴장 여부를 통해 불안 정도 사정.)
기립저혈압, 약한 맥박 : 저산소혈증, 탈수, 쇼크 가능성 의미
피부발진 시 mycoplasma 감염, cytomegalovirus 감염, 로키산반점열인지 검사.
5. 진단검사
(1) 객담과 혈액검사
① 객담검사 : 객담을 받아 그람염색검사, 배양 및 민감도 검사를 한다.
→ 원인균의 50% 정도를 확인하고 민감도 검사로 각 항생제에 대한 세균의 내성이나 민감성을 알 수 있다. 혈액 배양검사로 혈류에 세균이 침입하였는지 알 수 있다.
② 혈액검사
- 전혈구 검사 : 백혈구 증가 확인함.
- 소변검사 → 혈뇨, 농뇨, 단백뇨를 확인함.
- 동맥혈가스분석, 혈청 전해질, 혈액요소질소(BUN), 크레아티닌 수준을 측정한다.
조직의 이화작용 증가와 토리여과율의 감소로 BUN 수치가 증가한다.
발열과 수분섭취 부족으로 인한 탈수로 고나트륨혈증이 발생할 수 있다.
(2) 흉부 X-선검사
폐분절, 폐엽, 한쪽 허파 또는 양쪽 허파의 밀도 증가를 보인다.
노인은 증상이 모호할 수 있으므로 폐렴의 조기 진단에 흉부 x-선 검사 필수.
※ 참고 : 폐렴과 폐결핵의 차이
- 폐렴의 주증상은 고열과 기침 가래가 특징적이며 가래 색깔도 병의 원인균에 따라 다양합니다. 이때는 장기간의 식욕부진이 동반되지 않았다면 체중의 감소는 관찰되지 않습니다.
- 결핵의 증상은 미열(열이 있으나 폐렴과는 달리 환자가 힘들어 하지 않는 특징이 있습니다), 피곤과 전신쇠약감, 체중감소, 가래에 묻어 나오는 혈담, 기침등이 있습니다. 처음 발병한 결핵때는 각혈의 양이 많지 않습니다.
(3) 기타
저산소혈증을 사정하기 위해 맥박산소측정을 한다.
기관지 흡인, 기관지경검사, 바늘 흡인천자 등과 같은 침습적인 검사를 통해 하부기도의 검사물을 수집한다.
가슴막 삼출액이 있으면 흉강천차를 시행한다.
6. 치료 및 간호
(1) 치료
혈액, 객담배양 및 항생제 민감성 결과에 따라 항생제를 선택하여 투여한다.
치료기간은 세균의 특성에 따라 최소 5일까지 걸릴 수 있다. 항생제 부작용인 설사, 구토, 구역, 가려움증, 발진, 과민성 쇼크 등을 관찰한다.
- 폐렴의 원인균에 따른 항생제
< 그람양성 감염 >
ticarcillin/clavulanate
vancomycin
imilenem/cilastatin
piperacillin/tazobactan
cefepime/metronidazole
< 그람음성 감염 >
ciprofloxacin
aminoglycoside(amikacin, gentamicin)(콩팥기능이 안정되었다면)
ceftazidime
aztreonam
ticarcillin
기관지경련이 발생하면, 기관지 확장제, 특히 B- 교감신경차단제를 처음에는 분무기로 투약하고, 이후 용량흡입기로 흡입하게 한다. 수액은 적어도 3~4일동안 증가시킨다.
(2) 간호
간호진단
· 비효과적 호흡양상
· 가스교환장애
· 지식부족
간호진단 : 비효과적 호흡양상
(정의 : 적절한 환기가 이루어지지 않는 흡기/호기??)
< 비효율적인 호흡양상 개선 >
· 간호
활력징후와 신체상태를 관찰한다.
호흡의 횟수, 리듬, 깊이, 노력을 관찰한다.
흉부의 움직임과 대칭 여부, 보조근의 사용, 빗장뼈 움직임, 늑간근 수축을 관찰한다.
호흡양상을 관찰한다. : 빠른호흡, 빠른맥, 과도환기, Kussmaul 호흡, Cheyne-Stokes 호흡, 지속성 흡식(apneustic) 호흡, Biot 호흡, 실조성(ataxic) 호흡 등
가로막의 근육피로를 관찰한다.
호흡음을 청진하여 환기 감소나 결핍부위, 진동음이 들리는 부위를 기록한다.
거품소리(악설음과 수포음)를 청진하여 흡인이 필요한지 결정한다.
동맥혈가스분석 결과를 확인하고, 안절부절못함, 불안 등의 산소부족 증상을 관찰한다.
효과적인 기침능력을 관찰한다 : 기침의 시작, 특징, 기간
호흡기 분비물을 관찰한다.
호흡곤란을 완화시키거나 악화시키는 요인을 모니터한다.
흉부 x-선 결과를 확인한다.
심호흡으로 흉곽 내 압력을 상승시켜 강하게 숨을 내뱉는 기침을 하도록 권장한다.
유발폐활량계를 사용하도록 권장한다.
충분한 수분을 공급하고 섭취량과 배설량을 측정한다.
간호진단 : 가스교환 장애
(정의 : 폐포-모세혈관막에서 산소와 이산화탄소의 제거가 결핍 또는 과잉된 상태??)
< 부적절한 가스교환 상태 개선 >
· 간호
- 휴식, 운동, 수면 시 호흡곤란을 사정한다.
구강, 비강, 기관지 등의 분비물을 제거하여 기도개방을 유지한다.
금연한다.
가온 · 가습기구를 통해 산소를 지시대로 투여한다.
대상자와 가족에게 산소요법 원리를 설명한다.
식사 시 산소공급기구를 마스크에서 비강캐뉼러로 바꾸어준다.
저환기 징후를 관찰한다.- 산소독성과 무기폐 징후를 관찰한다.
대상자가 이동할 때 산소를 제공한다.
간호진단 : 지식제공
< 질병과 관련된 지식제공 >
폐렴의 위험요인, 치료, 합병증의 예방과 조기발견 방법에 대하여 교육한다.
Ⅱ. 본론
ⅰ. 간호사정
1) 개인력
· 이름 : -○○ · 연령 : 72세 · 성별 : F
· 주소 : -- 등록번호 : 00000 삭제
· 결혼 상태 : 기혼 / 유 · 종교 : 무교 · 직업 : 무직 · 학력 : 중졸
· 진료비 지불능력 : 유 · 혈액형 : B+
· 입원일 : 20191018 · 정보 제공자 : 자녀, 딸
· 신장 : 149cm · 몸무게 : 70kg
· 진단명 : ① Aspiration Pneumonia (NOS)
② Acute respiratory failure, type unspecified
2) 건강력
(1) 헌병력
- 주증상 : altered mentality, fever, tachypnea
주증상 언제 처음 나타났는지? : -- 요양병원 입원하면서부터 나타남.
얼마나 자주 나타나는지, 얼마나 오래 지속되는지? : 2019.10.11.부터 발열, 의식저하 계속 나타나 지속
추천자료
중환자실 실습 간호과정보고서
중환자실보고서( 1. aspiration pneumonia 2. uncontrolled diabetes mellituse ( type Ⅱ)
Esophageal diverticulum와 Aspiration pneumonia 환자의 간호
아동 간호학 CASE( 아동 병동 케이스 ) - 소아 폐렴(Pneumonia) 대상자 CASE
Aspiration Pneumonia(흡인성폐렴)
내과중환자실 MICU) Pneumonia 간호과정, AF 간호과정, 폐렴 간호과정, 폐렴 케이스 스터디, ...
흡인성 폐렴 케이스 (현병력 뇌출혈) , 흡인성 폐렴 케이스, 폐렴 케이스, 폐렴 간호과정, ...
폐렴 Aspiration pneumonia (케이스 스터디, 간호과정, 사례연구, CASE, STUDY)
노인간호학 Aspiration pneumonia case study, 간호과정2개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