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환아의 일반적 사항
Ⅱ. 환아의 질병에 대한 이해
Ⅲ. 간호 사정
Ⅳ. 간호과정
Ⅴ. 참고문헌
Ⅱ. 환아의 질병에 대한 이해
Ⅲ. 간호 사정
Ⅳ. 간호과정
Ⅴ. 참고문헌
본문내용
또한 두 개내압 상승, 발작, 뇌부종, 수두증, 경막하 삼출액, 그리고 농흉의 치료를 포함한다.
외과적 치료는 두 개내압 상승, 뇌실비대, 수두증, 경막하 삼출물, 농흉 등 심각한 문제를 가진 아동에게 시행되며, 감염되거나 폐쇄된 액의 배액을 위해 뇌실문합술(ventriculostomy)을 한다.
세균성 뇌막염의 예방책으로는 상기도 감염, 중이염, 부비동염, 유양돌기염 등의 감염이 특히 어린 영아나 아동에게 왔을 경우 신속한 치료를 해주는것이다. H. 인플루엔자 B형 백신으로 균혈증을 dPqkdgkadmfhTJ 뇌막염을 예방할 수 dLTsmsep, 이는 18개월 혹은 2세 아동에게 권장된다.
N. meningitidis나 H. influenza에 감염된 영아나 아동과 가까이 접촉하는 아동은 예방적으로 Rifampin을 쓰기도 한다.
6) 간호
뇌막염으로 의심되는 환아에게 가장 우선적으로 필요한 간호는 처방이 나오는 대로 항생제를 투여하는 것이다. 배양결과가 나오고 항생제에 의한 효과가 보일 때까지 적어도 24시간은 아동을 격리시켜야 한다. 대부분의 환아들이 밝은 빛이나 소음, 자극에 대하여 매우 민감하기 때문에 가능한 조용하게 해주고 환경자극을 감소시킨다. 아동들은 베개를 qpr지 않은 채로 침대를 약간 높여준 상태를 편안해 하며 목의 경직 때문에 측위로 눕힌 자세를 자주 취해준다. 통증이나 불편감을 발생시키므로 아동의 머리를 들어 올리는 행동은 피한다. 첫 24-72시간의 통증을 편가하고 통증을 감소시키는 적절한 간호를 수행한다.
뇜가염 환아는 신경학적 증상, 의식수준, 소변량, 합병증과 관련한 증상, 특히 두 개내압의 상승, 쇽, 호흡곤라을 세심하게 관찰한다. 경막하 삼출이나 폐쇄성 뇌수종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영아인 경우에는 두위를 측정한다. 수분과 영양공급은 아동의 상태에 의해서 결정된다. 아동의 감각이 둔하면 구강으로 아무것도 줄 수 없다. 일반적으로 처음에는 유동식으로 시작하며 나이에 따라 적절한 음식으로 바꾸어준다. 섭취량과 배설량에 대해서 기록함으써 뇌부종이나 경막하 삼출등과 같은 수분축적, 쇽의 발생 위험을 확인할 수 있다.
뇌막염 환아를 간호하는데 있어서 가장 어려운 문제중의 하나는 항생제를 투여하기 위하여 오랜 시간동안 정맥주사를 유지하는 일이다. 정맥으로 지속적인 수분공급이 필요하지 않기 때문에 heparin-lock device와 같은 도구가 활용되기도 한다.
가족지지 : 갑작스럽게 질병이 발생함으로 인하여 아동과 부모는 정서적 지지가 매우 필요하다. 부모는 매우 상심하여 아동의 상태에 대해서 걱정하고 질병을 보다 더 일찍 인식하지 못했다는 것 때문에 죄의식을 느낀다. 뇌막염은 갑작스럽게 발병하는 질병이라는 것을 인식시키고 그들이 적절하게 대처하였다고 부모를 격려한다. 간호사는 부모들이 비난과 죄의식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자신의 느낌을 털어놓고 의논하게 하며, 질병의 진행이나 수행되는 모든 과정, 치료에 대한 정보를 제공한다.
2. 무균성 뇌막염(Aseptic meningitis, Nonbacterial meningitis)
1) 질병의 정의
무균성 뇌막염은 바이러스성, 림프구성 또는 장액성 뇌막염이라고도 한다. 무균성 뇌막염과 관련된 바이러스는 Enterovirus(가장 흔함), Coxsackivirus, Echovirus 등이다. 뇌막의 염증은 수두(varicella)감염, 포진(herpes) 감염, 홍역과 같은 발진성 질환과 연관되기도 한다. 무균성 뇌막염은 일반적으로 양성 질환이며, 점진적으로 완전한 회복을 하는 질환이다.
2) 질병의 원인과 병태생리
뇌신경이나 말초신경에 바이러스혈증(viremia)이 온 후 바이러스는 전신순환을 통해 중추신경계로 간다. 그 후 바이러스는 성장과 생식을 위해 뇌막세포를 침입해 들어가서 염증과 부종을 일으킨다. Enterovirus는 장과 구강 경로를 통해 들어가며 하절기 동안 가장 높은 빈도를 보인다. 림프구성 뇌막염 바이러스는 감염된 쥐나 모기, 진드기와 같은 병원균 매개체에 물림으로써 전달되어 바이러스가 사람에게로 옮겨진다.
3) 진단검사
최근 바이러스성 질환이나 세균성 뇌막염과 무균성을 구별하기 위한 뇌척수액 검사에 기초하여 내리게 된다. 무균성 뇌막염의 경우 뇌척수액에는 정상보다 많은 양의 백혈구가 있으나 세균성보다는 작다.
4) 증상
세균성 뇌막염과 유사하나 증상이 급속히 진행되지는 않으며 보통 덜 심하다. 증상으로는 발열, 두통, 구토, 목의 뻣뻣함이 있다. 발작빈도는 세균성인 경우보다 빈도가 적으며, 불안정, 기면상태는 뇌염보다는 경미하다.
증상은 보통 3~14일 정도 지속된다.
5) 치료
일차적으로 대증요법을 실시하며 환아를 입원시킨다. 관리목표는 체액과 전해질 균형, 고체온증조절, 지지적 간호, 통증조절, 영양유지를 포함한다. 만일 심한 신경학적 증상과 징후가 계속되면 진단을 재평가한다.
6) 간호
바이러스성 뇌막염 아동간호의 초점은 지지적인 간호로 안위를 제공하는데 있다. 조용한 환경, 정맥이나 구강으로 수액 제공, 열, 두통, 근육통 감소를 위해 투약을 한다. 신경계 사정과 발열과 같은 문제를 신속하게 치료할 수 있도록 활력징후를 측정하는 것이다. 진통제와 안위법은 불편을 해소시키고 휴식을 취할 수 있게 한다. 섭취배설량 측정과 생화학검사 결과는 체액과 전해질을 정상으로 유지시키는 데 도움이 된다. 진토제와 금식은 발병초기에 구토를 감소시켜 주며, 간호사는 구토가 진정된 후 아동에게 적은 양의 영양가 있는 음식을 자주 주고 발작의 가능성도 항상 염두에 두어야 한다.
3. 결핵성 뇌막염(Tuberculous meningitis)
1) 질병의 원인과 병태생리
결핵성 뇌막염은 소아 결핵의 가장 중한 합병증의 하나이다. 결핵의 초기 감염 후 3~6개월 내에 잘 발생하고, 성인이나 학령기보다는 5세 미만의 영ㆍ유아에서 잘 발생한다. 치료하지 않으면 평균 20일 후에 사망하며, 약 25~50%에서는 속립결핵이 병발되어 있다.
결핵균이 혈행성 파급에 의해 뇌막에 가서 결절성 병변을 형성하며, 이것이 어떤 자극에 의하여 터지면서 건락성 물질이 지주막하로 나가서 뇌막염 증상을 일으킨다.
병리적으로 수막뇌
외과적 치료는 두 개내압 상승, 뇌실비대, 수두증, 경막하 삼출물, 농흉 등 심각한 문제를 가진 아동에게 시행되며, 감염되거나 폐쇄된 액의 배액을 위해 뇌실문합술(ventriculostomy)을 한다.
세균성 뇌막염의 예방책으로는 상기도 감염, 중이염, 부비동염, 유양돌기염 등의 감염이 특히 어린 영아나 아동에게 왔을 경우 신속한 치료를 해주는것이다. H. 인플루엔자 B형 백신으로 균혈증을 dPqkdgkadmfhTJ 뇌막염을 예방할 수 dLTsmsep, 이는 18개월 혹은 2세 아동에게 권장된다.
N. meningitidis나 H. influenza에 감염된 영아나 아동과 가까이 접촉하는 아동은 예방적으로 Rifampin을 쓰기도 한다.
6) 간호
뇌막염으로 의심되는 환아에게 가장 우선적으로 필요한 간호는 처방이 나오는 대로 항생제를 투여하는 것이다. 배양결과가 나오고 항생제에 의한 효과가 보일 때까지 적어도 24시간은 아동을 격리시켜야 한다. 대부분의 환아들이 밝은 빛이나 소음, 자극에 대하여 매우 민감하기 때문에 가능한 조용하게 해주고 환경자극을 감소시킨다. 아동들은 베개를 qpr지 않은 채로 침대를 약간 높여준 상태를 편안해 하며 목의 경직 때문에 측위로 눕힌 자세를 자주 취해준다. 통증이나 불편감을 발생시키므로 아동의 머리를 들어 올리는 행동은 피한다. 첫 24-72시간의 통증을 편가하고 통증을 감소시키는 적절한 간호를 수행한다.
뇜가염 환아는 신경학적 증상, 의식수준, 소변량, 합병증과 관련한 증상, 특히 두 개내압의 상승, 쇽, 호흡곤라을 세심하게 관찰한다. 경막하 삼출이나 폐쇄성 뇌수종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영아인 경우에는 두위를 측정한다. 수분과 영양공급은 아동의 상태에 의해서 결정된다. 아동의 감각이 둔하면 구강으로 아무것도 줄 수 없다. 일반적으로 처음에는 유동식으로 시작하며 나이에 따라 적절한 음식으로 바꾸어준다. 섭취량과 배설량에 대해서 기록함으써 뇌부종이나 경막하 삼출등과 같은 수분축적, 쇽의 발생 위험을 확인할 수 있다.
뇌막염 환아를 간호하는데 있어서 가장 어려운 문제중의 하나는 항생제를 투여하기 위하여 오랜 시간동안 정맥주사를 유지하는 일이다. 정맥으로 지속적인 수분공급이 필요하지 않기 때문에 heparin-lock device와 같은 도구가 활용되기도 한다.
가족지지 : 갑작스럽게 질병이 발생함으로 인하여 아동과 부모는 정서적 지지가 매우 필요하다. 부모는 매우 상심하여 아동의 상태에 대해서 걱정하고 질병을 보다 더 일찍 인식하지 못했다는 것 때문에 죄의식을 느낀다. 뇌막염은 갑작스럽게 발병하는 질병이라는 것을 인식시키고 그들이 적절하게 대처하였다고 부모를 격려한다. 간호사는 부모들이 비난과 죄의식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자신의 느낌을 털어놓고 의논하게 하며, 질병의 진행이나 수행되는 모든 과정, 치료에 대한 정보를 제공한다.
2. 무균성 뇌막염(Aseptic meningitis, Nonbacterial meningitis)
1) 질병의 정의
무균성 뇌막염은 바이러스성, 림프구성 또는 장액성 뇌막염이라고도 한다. 무균성 뇌막염과 관련된 바이러스는 Enterovirus(가장 흔함), Coxsackivirus, Echovirus 등이다. 뇌막의 염증은 수두(varicella)감염, 포진(herpes) 감염, 홍역과 같은 발진성 질환과 연관되기도 한다. 무균성 뇌막염은 일반적으로 양성 질환이며, 점진적으로 완전한 회복을 하는 질환이다.
2) 질병의 원인과 병태생리
뇌신경이나 말초신경에 바이러스혈증(viremia)이 온 후 바이러스는 전신순환을 통해 중추신경계로 간다. 그 후 바이러스는 성장과 생식을 위해 뇌막세포를 침입해 들어가서 염증과 부종을 일으킨다. Enterovirus는 장과 구강 경로를 통해 들어가며 하절기 동안 가장 높은 빈도를 보인다. 림프구성 뇌막염 바이러스는 감염된 쥐나 모기, 진드기와 같은 병원균 매개체에 물림으로써 전달되어 바이러스가 사람에게로 옮겨진다.
3) 진단검사
최근 바이러스성 질환이나 세균성 뇌막염과 무균성을 구별하기 위한 뇌척수액 검사에 기초하여 내리게 된다. 무균성 뇌막염의 경우 뇌척수액에는 정상보다 많은 양의 백혈구가 있으나 세균성보다는 작다.
4) 증상
세균성 뇌막염과 유사하나 증상이 급속히 진행되지는 않으며 보통 덜 심하다. 증상으로는 발열, 두통, 구토, 목의 뻣뻣함이 있다. 발작빈도는 세균성인 경우보다 빈도가 적으며, 불안정, 기면상태는 뇌염보다는 경미하다.
증상은 보통 3~14일 정도 지속된다.
5) 치료
일차적으로 대증요법을 실시하며 환아를 입원시킨다. 관리목표는 체액과 전해질 균형, 고체온증조절, 지지적 간호, 통증조절, 영양유지를 포함한다. 만일 심한 신경학적 증상과 징후가 계속되면 진단을 재평가한다.
6) 간호
바이러스성 뇌막염 아동간호의 초점은 지지적인 간호로 안위를 제공하는데 있다. 조용한 환경, 정맥이나 구강으로 수액 제공, 열, 두통, 근육통 감소를 위해 투약을 한다. 신경계 사정과 발열과 같은 문제를 신속하게 치료할 수 있도록 활력징후를 측정하는 것이다. 진통제와 안위법은 불편을 해소시키고 휴식을 취할 수 있게 한다. 섭취배설량 측정과 생화학검사 결과는 체액과 전해질을 정상으로 유지시키는 데 도움이 된다. 진토제와 금식은 발병초기에 구토를 감소시켜 주며, 간호사는 구토가 진정된 후 아동에게 적은 양의 영양가 있는 음식을 자주 주고 발작의 가능성도 항상 염두에 두어야 한다.
3. 결핵성 뇌막염(Tuberculous meningitis)
1) 질병의 원인과 병태생리
결핵성 뇌막염은 소아 결핵의 가장 중한 합병증의 하나이다. 결핵의 초기 감염 후 3~6개월 내에 잘 발생하고, 성인이나 학령기보다는 5세 미만의 영ㆍ유아에서 잘 발생한다. 치료하지 않으면 평균 20일 후에 사망하며, 약 25~50%에서는 속립결핵이 병발되어 있다.
결핵균이 혈행성 파급에 의해 뇌막에 가서 결절성 병변을 형성하며, 이것이 어떤 자극에 의하여 터지면서 건락성 물질이 지주막하로 나가서 뇌막염 증상을 일으킨다.
병리적으로 수막뇌
추천자료
아동간호학실습 케이스스터디 (신생아 일과성 빈호흡 TTN) [간호진단 및 간호과정 4개]
아동간호학실습 케이스스터디 (폐렴) [간호진단 및 간호과정 6개]
아동간호학실습 케이스스터디 (패혈증) [간호진단 및 간호과정 2개]
아동간호학실습 케이스스터디 (헤노흐 쇤라인 자반병) [간호진단 및 간호과정 2개]
아동간호학실습 케이스스터디 (미숙아) [간호진단 및 간호과정 2개]
아동간호학실습 케이스스터디 (선천성 담도폐쇄증) [간호진단 및 간호과정 3개]
아동간호학실습 케이스스터디 (정상신생아) [간호진단 및 간호과정 7개]
아동간호학실습 케이스스터디 (로타바이러스 장염) [간호진단 및 간호과정 2개]
아동간호학 실습 뇌수막염 문헌고찰 및 간호과정 케이스스터디 1. 질병과 관련된 고체온 2. ...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