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대상자의 건강문제 고찰
1. 대상자 간략소개
2. NSVD (정상 질식 분만)에 대한 문헌고찰
Ⅱ. 간호 사정 도구(Nursing assessment tool)
1. 산부 간호 사정 도구(분만실)
2. 임상 검사결과 보고
3. 사용약물 보고
4. 간호과정
5. 퇴원개요
Ⅲ. 참고문헌
1. 대상자 간략소개
2. NSVD (정상 질식 분만)에 대한 문헌고찰
Ⅱ. 간호 사정 도구(Nursing assessment tool)
1. 산부 간호 사정 도구(분만실)
2. 임상 검사결과 보고
3. 사용약물 보고
4. 간호과정
5. 퇴원개요
Ⅲ. 참고문헌
본문내용
한 둥근 뼈로 골반입구와 골반강, 골반출구로 나뉘어져 있다. 임신 3기의 골반 검진은 질 분만 여부를 파악하는데 중요한 자료가 된다.
연산도
신축성이 좋은 자궁하부, 자궁목(경관), 골반상 근육, 질, 질구를 포함한다.
자궁 상부는 능동적으로 자궁수축을 하여 점차 두꺼워지고 수용공간이 감소되는 반면, 자궁하부는 수동적 자궁수축을 하여 점차 팽창되고 얇아진다. 이 결과 자궁상부와 자궁 하부의 경계선에 원이 형성되는데, 이를 생리적구축륜(physiologic retraction ring)이라 한다.
또한 수축 시 자궁목(경관)은 소실되고 개대되며 질은 태아가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팽창된다.
① 골반의 구조
a. 뼈
골반은 양측과 전면을 이루는 2개의 무명골 또는 관골(innominate bone, hip bone), 후면에 위치한 1개의 천골과 1개의 미골로 구성된다. 해부학적으로 무명골은 장골, 좌골, 치골 등의 3개의 뼈가 소아기까지는 연골로 이어져 있으나 사춘기 이후에는 견고하게 융합된다.
b. 관절
치골결합 (symphysis pubis(1)) : 두덩뼈 결합, 2개의 치골을 연결한다. 임신 후반기에 약간 벌어져 임부가 걸으면 약간의 통증을 초래하기도 한다.
천장골 관절 (sacroiliac articulation(2)) : 엉치엉덩관절, 천골과 장골을 연결한다. 임신 중에는 이 관절이 상당히 긴장되어 다산부에게 요통을 일으키기도 한다.
천미관절 (sacrococccygeal articulation(1)) : 엉치꼬리관절, 천골과 미골을 연결한다. 부분적으로 가동성이 있어 아두 만출 시 미골을 후면으로 움직이게 하여 골반출구의 전후경선이 넓어져 아두의 하강이나 배출을 돕는다.
② 골반의 구분
골반은 골반 분계선(line of terminalis)을 중심으로 가골반(false pelvis)과 진골반(true pelvis)으로 나눈다.
a. 가골반
진골반보다 넓고 얕다.
임신 중 태아와 자궁을 지지하고 비임신 중에는 내장을 지지한다.
산과적으로는 진골반의 크기를 가늠하는 기준이 된다. (가골반의 크기로 진골반 크기를 파악)
b. 진골반
골반경계선 하연에 해당하는 부분으로, 골반입구골반강골반출구로 구분된다.
진골반의 경선
1,. 골반입구의 주요경선
1) 전후경선(conjugate diameter)
(1) 대각결합선
(diagonal conjugate)
12.5~13cm
치골결합 하연에서 천골갑까지의 거리, 내진에 의해 직접 측정이 가능한 임상적으로 중요한 경선
(2) 산과적 진결합선
(dbstetric conjugate)
10.5cm
치골결합 상연내면 최돌출부에서 천골갑까지(10cm 이상이면 정상)의 거리
입구의 가장 짧은 전후경선으로 선진부의 골반강 내 함입여부를 결정하는 중요한 경선
(3) 진결합선
(true conjugate)
11cm
치골결합 상연에서 천골갑까지의 거리, 대각결합선에서 1.5~2cm을 뺀 길이와 같다.
2) 횡경선(transeverse diameter)
13cm
골반입구 양측 최대경선
3) 사경선(oblique diameter)
12.75cm
천장골 관절에서 반대쪽 장치융기까지의 거리
2. 골반강의 주요경선
1) 전후경선
(anteroposterior diameter)
11.5cm
치골결합 중간지점에서 좌골극 수준을 통과하는 천골까지의 거리(천골 2번째와 3번째 융합되는 부위)
2) 횡경선(극간경선)
10.5cm
좌골극간의 거리(가장 짧은 횡경선)
(9.5cm이하일 때는 제왕절개술을 시행함)
아두가 이곳을 통과할 때 내회전이 일어나게 된다.
3) 후시상경선
(posterior sagittal diameter)
4.5cm
좌골극결합선과 전후경선이 직각으로 교차되는 점에서 천골까지의 거리
이 경선의 단축시 난산이 예측된다.
3. 골반출구의 주요경선
1) 전후경선
11.9cm
치골결합 하연에서 천미관절까지의 거리, 미골이 아두만출시에 약간 젖혀지기 때문에 실제 전후경의 길이는 늘어나 13cm 정도 된다.
이곳에서 아두가 외회전 된다.
2) 횡경선(결절간경선)
8cm
양측 좌골결절 내연간의 거리
3) 후시상직경
9cm
좌골결절결합선과 전후경선이 직각으로 교차되는 점에서 천골단까지의 거리
이 경선의 단축은 난산이 예측된다.
③ 골반의 종류
구분
여성형(50%)
남성형(23%)
유인원형(24%)
편평형(3%)
모양
약간 난형, 횡타원형
각이 진 심장모양
전후경선이 긴 난형
전후경선이 짧고 횡경선이 길다
골반강
적당하다
깊다
깊다
얕다
양벽
일직선이다
점차로 모아진다
일직선이다
일직선이다
좌골극
무디고 넓게 분리
돌출, 극간경이 좁다
돌출, 극간경이 좁다
무디고 넓게 분리되어 있다
천골
넓고 잘 만곡되어 있다
약간 만곡되고 새의 부리 모양이다.
약간 만곡
약간 만곡
치골궁
넓다
좁다
좁다
넓다
분만형태
질분만(자연분만), 전방두정위
수술분만, 질분만, 겸자사용이 힘들다.
겸자분만
후방두정위 또는 전방두정위
자연분만
여성형 유인원형
남성형 편평형
(3) Power (만출력)
① 1차 만출력 : 불수의적 자궁수축 → 자궁경부의 소실(effacement), 개대(dilatation), 태아하강
소실(effacement) 혹은 거상 : 분만 1기에 자궁 경부의 길이가 짧아지고 경관의 두께가 얇아지는것, 정상적으로 2~3cm 길이이며 두께는 1cm인 자궁경관이 분만이 진행되면서 자궁상부쪽으로 당겨져 소실되는 것을 말한다. 초산부는 개대가 일어나기 전에 소실이 먼저 일어나고, 경산부는 경관 소실 및 개대가 동시에 일어난다. 소실의 정도는 비율(percentage)로 표시한다.(ex. 경관길이가 1cm이면 50% 소실된 것)
개대(dilatation) : 분만 1기에 자궁 경부가 확장되는 것. 1cm에서 10cm까지 개대되며 경관이 완전히 확장되었을 때는 질 검진시 더 이상 촉진되지 않는다. 개대의 정도는 cm로 표시한다.
*자궁수축 : 16주경 브랙스턴 힉스 수축이 분만에 이르러 가진통, 진진통으로 이행
a. 주기성
자궁각에서 시작하여 자궁저부, 하부로 수축이 전달
자궁저부는 근육층이 두꺼워지고 자궁경관은
연산도
신축성이 좋은 자궁하부, 자궁목(경관), 골반상 근육, 질, 질구를 포함한다.
자궁 상부는 능동적으로 자궁수축을 하여 점차 두꺼워지고 수용공간이 감소되는 반면, 자궁하부는 수동적 자궁수축을 하여 점차 팽창되고 얇아진다. 이 결과 자궁상부와 자궁 하부의 경계선에 원이 형성되는데, 이를 생리적구축륜(physiologic retraction ring)이라 한다.
또한 수축 시 자궁목(경관)은 소실되고 개대되며 질은 태아가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팽창된다.
① 골반의 구조
a. 뼈
골반은 양측과 전면을 이루는 2개의 무명골 또는 관골(innominate bone, hip bone), 후면에 위치한 1개의 천골과 1개의 미골로 구성된다. 해부학적으로 무명골은 장골, 좌골, 치골 등의 3개의 뼈가 소아기까지는 연골로 이어져 있으나 사춘기 이후에는 견고하게 융합된다.
b. 관절
치골결합 (symphysis pubis(1)) : 두덩뼈 결합, 2개의 치골을 연결한다. 임신 후반기에 약간 벌어져 임부가 걸으면 약간의 통증을 초래하기도 한다.
천장골 관절 (sacroiliac articulation(2)) : 엉치엉덩관절, 천골과 장골을 연결한다. 임신 중에는 이 관절이 상당히 긴장되어 다산부에게 요통을 일으키기도 한다.
천미관절 (sacrococccygeal articulation(1)) : 엉치꼬리관절, 천골과 미골을 연결한다. 부분적으로 가동성이 있어 아두 만출 시 미골을 후면으로 움직이게 하여 골반출구의 전후경선이 넓어져 아두의 하강이나 배출을 돕는다.
② 골반의 구분
골반은 골반 분계선(line of terminalis)을 중심으로 가골반(false pelvis)과 진골반(true pelvis)으로 나눈다.
a. 가골반
진골반보다 넓고 얕다.
임신 중 태아와 자궁을 지지하고 비임신 중에는 내장을 지지한다.
산과적으로는 진골반의 크기를 가늠하는 기준이 된다. (가골반의 크기로 진골반 크기를 파악)
b. 진골반
골반경계선 하연에 해당하는 부분으로, 골반입구골반강골반출구로 구분된다.
진골반의 경선
1,. 골반입구의 주요경선
1) 전후경선(conjugate diameter)
(1) 대각결합선
(diagonal conjugate)
12.5~13cm
치골결합 하연에서 천골갑까지의 거리, 내진에 의해 직접 측정이 가능한 임상적으로 중요한 경선
(2) 산과적 진결합선
(dbstetric conjugate)
10.5cm
치골결합 상연내면 최돌출부에서 천골갑까지(10cm 이상이면 정상)의 거리
입구의 가장 짧은 전후경선으로 선진부의 골반강 내 함입여부를 결정하는 중요한 경선
(3) 진결합선
(true conjugate)
11cm
치골결합 상연에서 천골갑까지의 거리, 대각결합선에서 1.5~2cm을 뺀 길이와 같다.
2) 횡경선(transeverse diameter)
13cm
골반입구 양측 최대경선
3) 사경선(oblique diameter)
12.75cm
천장골 관절에서 반대쪽 장치융기까지의 거리
2. 골반강의 주요경선
1) 전후경선
(anteroposterior diameter)
11.5cm
치골결합 중간지점에서 좌골극 수준을 통과하는 천골까지의 거리(천골 2번째와 3번째 융합되는 부위)
2) 횡경선(극간경선)
10.5cm
좌골극간의 거리(가장 짧은 횡경선)
(9.5cm이하일 때는 제왕절개술을 시행함)
아두가 이곳을 통과할 때 내회전이 일어나게 된다.
3) 후시상경선
(posterior sagittal diameter)
4.5cm
좌골극결합선과 전후경선이 직각으로 교차되는 점에서 천골까지의 거리
이 경선의 단축시 난산이 예측된다.
3. 골반출구의 주요경선
1) 전후경선
11.9cm
치골결합 하연에서 천미관절까지의 거리, 미골이 아두만출시에 약간 젖혀지기 때문에 실제 전후경의 길이는 늘어나 13cm 정도 된다.
이곳에서 아두가 외회전 된다.
2) 횡경선(결절간경선)
8cm
양측 좌골결절 내연간의 거리
3) 후시상직경
9cm
좌골결절결합선과 전후경선이 직각으로 교차되는 점에서 천골단까지의 거리
이 경선의 단축은 난산이 예측된다.
③ 골반의 종류
구분
여성형(50%)
남성형(23%)
유인원형(24%)
편평형(3%)
모양
약간 난형, 횡타원형
각이 진 심장모양
전후경선이 긴 난형
전후경선이 짧고 횡경선이 길다
골반강
적당하다
깊다
깊다
얕다
양벽
일직선이다
점차로 모아진다
일직선이다
일직선이다
좌골극
무디고 넓게 분리
돌출, 극간경이 좁다
돌출, 극간경이 좁다
무디고 넓게 분리되어 있다
천골
넓고 잘 만곡되어 있다
약간 만곡되고 새의 부리 모양이다.
약간 만곡
약간 만곡
치골궁
넓다
좁다
좁다
넓다
분만형태
질분만(자연분만), 전방두정위
수술분만, 질분만, 겸자사용이 힘들다.
겸자분만
후방두정위 또는 전방두정위
자연분만
여성형 유인원형
남성형 편평형
(3) Power (만출력)
① 1차 만출력 : 불수의적 자궁수축 → 자궁경부의 소실(effacement), 개대(dilatation), 태아하강
소실(effacement) 혹은 거상 : 분만 1기에 자궁 경부의 길이가 짧아지고 경관의 두께가 얇아지는것, 정상적으로 2~3cm 길이이며 두께는 1cm인 자궁경관이 분만이 진행되면서 자궁상부쪽으로 당겨져 소실되는 것을 말한다. 초산부는 개대가 일어나기 전에 소실이 먼저 일어나고, 경산부는 경관 소실 및 개대가 동시에 일어난다. 소실의 정도는 비율(percentage)로 표시한다.(ex. 경관길이가 1cm이면 50% 소실된 것)
개대(dilatation) : 분만 1기에 자궁 경부가 확장되는 것. 1cm에서 10cm까지 개대되며 경관이 완전히 확장되었을 때는 질 검진시 더 이상 촉진되지 않는다. 개대의 정도는 cm로 표시한다.
*자궁수축 : 16주경 브랙스턴 힉스 수축이 분만에 이르러 가진통, 진진통으로 이행
a. 주기성
자궁각에서 시작하여 자궁저부, 하부로 수축이 전달
자궁저부는 근육층이 두꺼워지고 자궁경관은
추천자료
NSVD 케이스스터디 여성건강간호학
여성간호학실습 케이스스터디 (유도분만) [간호진단 및 간호과정 4개]
여성간호학실습 케이스스터디 (난소낭종) [간호진단 및 간호과정 4개]
여성간호학실습 케이스스터디 (조기양막파열 PPROM) [간호진단 및 간호과정 4개]
여성간호학실습 케이스스터디 (자궁내막 폴립) [간호진단 및 간호과정 3개]
여성간호학실습 케이스스터디 (전치태반 & 제왕절개) [간호진단 및 간호과정 4개]
여성간호학실습 케이스스터디 (골반염증성 질환 PID) [간호진단 및 간호과정 4개]
여성간호학실습 케이스스터디 (자궁 경관 무력증 IIOC) [간호진단 및 간호과정 4개]
여성간호학실습 케이스스터디 (정상분만) [간호진단 및 간호과정 4개]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