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문헌고찰 - 만성 신부전(CRF, Chronic Renal Failure)의 졍의, 원인, 증상, 진단, 치료, 간호
2. 자료수집 - 개인력, 건강력, 간호문제 사정(영역별), 신체사정, 진단검사 결과,치료, 투약
3. 간호진단 (낙상 케이스, 변비 케이스, 불면증 케이스) 만성신부전 케이스
4. 간호과정
5. 참고문헌
2. 자료수집 - 개인력, 건강력, 간호문제 사정(영역별), 신체사정, 진단검사 결과,치료, 투약
3. 간호진단 (낙상 케이스, 변비 케이스, 불면증 케이스) 만성신부전 케이스
4. 간호과정
5. 참고문헌
본문내용
이상 말 할 수 있다.
2일 이내에 대상자는 낙상 방해 요인(손잡이에 빨래, 미끄러운 바닥, 미끄러운 신발, 보행에 장애가 되는 물건 및 기구 등)을 제거한다.
간호중재에 대한 계획 (간호지시)
이론적 근거(간호중재의 이유)
진단적 중재
낙상요인 또는 낙상 유발요인을 사정한다.
치료적 중재
- 활력징후 검사를 위해 침대난간을 내린 경우 환자를 주의깊게 관찰하고 검사 후 즉시 침대난간을 올림.
- 야간에 조명이 너무 어둡지 않게 함.
- 병실에 비치되어 있는 대상자와 대상자 옆 침대 환자의 휠체어 및 이동식 링겔대를 보행에 방해가 되지 않도록 벽 쪽으로 정리했다.
- 병실의 낙상 방지 손잡이에 걸려있는 빨래를 정리하도록 하게 함.
- 화장실 등 물기 있는 곳의 물기를 제거함.
- 미끄러지지 않기 위한 고무 밑창이나 골이 깊은 신발을 착용하도록 하게함.
- 필요한 물건은 항상 가까이에 두도록 하게함.
- 처방받은 Peridol 0.5@ 투여한다.
대상자에게 지남력을 제공한다.
교육적 중재
환자 및 간병인에게 낙상고위험 환자임을 알리고 낙상예방활동을 교육함.
호출벨 사용방법을 교육함.
휠체어 탑승 시 휠체어 잠금장치를 잠근 후 탑승하도록 교육함.
화장실 및 목욕실에 다녀올 때 타인의 보조를 받도록 교육하였다.
수면 중 이동 시 타인의 보조를 받도록 교육하였다.
진단적 중재
대상자의 낙상 과거력, 활동수준, 통증 등 낙상 요인에 근거하여 효과적인 낙상 예방 간호를 실시한다.
치료적 중재
- 침대난간 적용은 낙상 위험을 낮춰준다.
지나치게 어두우면 낙상 위험이 높아진다.
- 보행하는 데 장애물이 있으면 낙상 위험이 높아진다.
- 낙상 방지 손잡이에 물건이 있으면 안된다.
- 물기가 있으면 미끄러지기가 쉬워져서 낙상 위험이 높아진다.
- 마찰력 있는 신발은 덜 미끄러지게 한다.
- 필요한 물건이 가까이 있으면 의미없는 움직임을 줄여 낙상 위험을 낮춰준다.
섬망 증상을 완화하기 위해 약물적 중재를 사용한다.
순간적인 섬망 증상을 완화하기 위해 즉시 대상자에게 지남력을 제공한다.
교육적 중재
낙상 예방에 대한 이해를 높여 낙상 위험성을 줄인다.
도움이 필요할 시 간호사를 불러서 낙상 위험을 낮춘다.
휠체어 잠금장치를 잠그지 않은 채 휠체어에 탑승하면 바퀴가 미끄러져 낙상이 발생하기 쉽다.
화장실 및 목욕실은 바닥의 물기 때문에 미끄러지기 쉬우므로 타인의 보조를 받는 것이 좋다.
수면 중 이동 시에는 낙상 위험이 높기 때문에 타인의 보조를 받는 것이 좋다.
간호수행
진단적 중재
낙상요인 또는 낙상 유발요인을 사정한다.
치료적 중재
활력징후 검사를 위해 침대난간을 내린 경우 환자를 주의 깊게 관찰하고 검사 후 즉시 침대난간을 올림.
야간에 조명이 너무 어둡지 않게 함.
병실에 비치되어 있는 대상자와 대상자 옆 침대 환자의 휠체어 및 이동식 링겔대를 보행에 방해가 되지 않도록 벽 쪽으로 정리했다.
병실의 낙상 방지 손잡이에 걸려있는 빨래를 정리하도록 하게 함.
화장실 등 물기 있는 곳의 물기를 제거함.
미끄러지지 않기 위한 고무 밑창이나 골이 깊은 신발을 착용하도록 하게함.
필요한 물건은 항상 가까이에 두도록 하게함.
교육적 중재
환자 및 간병인에게 낙상고위험 환자임을 알리고 낙상예방활동을 교육함.
호출벨 사용방법을 교육함.
휠체어 탑승 시 휠체어 잠금장치를 잠근 후 탑승하도록 교육함.
화장실 및 목욕실에 다녀올 때 타인의 보조를 받도록 교육하였다.
수면 중 이동 시 타인의 보조를 받도록 교육하였다.
간호평가
1일 이내에 대상자는 낙상 예방법을 3가지 이상 말 할 수 있다. (달성)
- ‘야간에 조명을 어둡게 하면 안 됨, 휠체어 탑승시 잠금장치를 잠그고 탐, 필요한 물건은
가까이 둠’ 3가지를 말함.
2일 이내에 대상자는 낙상 방해 요인(손잡이에 빨래, 미끄러운 바닥, 미끄러운 신발, 보행에 장애가 되는 물건 및 기구 등)을 제거한다. (달성)
- 손잡이, 대상자 보행 경로에 장애되는 물건들이 모두 치워짐.
- 바닥에 물기가 없고, 신발은 고무 밑창 신발로 바뀜.
간호사정
내 용
주관적 자료
간병인 - “밤에 깊게 못 주무세요.”
“낮에 낮잠을 많이 주무세요.”
“할머니가 숨을 쉬기 힘들어하세요. 똑바로 누워 못 계시고 이렇게
앉혀 드려야해요.“
”앉아서 주무시고, 밤에도 깊게 못 주무세요.“
“피곤하네요.”
“더 자고 싶었는데 중간에 깨서 못 잤어요.”
“많이 못자니까 몸에 힘이 없어요.”
“너무 일찍 잠에서 깨고 잠에 드는데도 오래 걸려요. 잠드는데 1시간 걸린 것 같아요.”
“침대에 누워있으면 숨쉬기 힘들어요.”라고 말하며 휠체어에 계속 앉아있음.
객관적 자료
00/00 휠체어에 앉아서 8:00-10:30동안 자는 것을 관찰함.
낮 시간(혈압을 재러 갈 때 마다) 동안 앉아서 자는 것을 여러 차례 관찰함.
00/00 낮에 혈압계 커프를 팔에 감아도 잠에서 깨지 못하는 것을 관찰함.
00/00 낮에 대상자가 숨을 쌕쌕이면서 들썩거리자 간병인이 70°였던 침상머리를 90°로 올림
잘 때 누워서 자지 않고 침상각도를 30° 이상 올려서 잠.
꼭 필요할 때만 활동을 함. 침대에 앉거나 누워서 많은 시간을 보냄.
흉곽을 크게 부풀리면서 숨 쉬는 것을 관찰함.
숨소리가 들릴 정도로 입으로 크게 숨을 쉬는 것을 관찰함.
General weakness(전반적인 허약) 있음. - EMR
하루 평균 수면시간 : 5시간00/00
00/00
00/00
00/00
5시간
5.5시간
5시간
4.5시간
간호진단
적은 수면시간, 피로 호소, 기좌호흡으로 나타나는 호흡 곤란과 관련된 불면증
간호계획
목표
대상자는 중간에 깨는 것 없이 6시간 이상 충분히 숙면한다.
기대되는 결과
1주일 이내에 대상자의 수면시간은 6시간 이상으로 늘어날 것이다.
1주일 이내에 대상자는 잠에 들기까지 걸리는 시간이 20분 이하로 줄어들 것이다.
1주일 이내에 대상자는 낮 동안의 활동시간이 30분 이상으로 늘어날 것이다.
간호중재에 대한 계획 (간호지시)
이론적 근거(간호중재의 이유)
진단적 중재
매일 아침 지난 밤 수면의 양과 질에 대해 묻는다.
대상자에게 수면을 방해하는 요소에 대해 묻는다.
대상자에게 무엇이 수면에 도움이
2일 이내에 대상자는 낙상 방해 요인(손잡이에 빨래, 미끄러운 바닥, 미끄러운 신발, 보행에 장애가 되는 물건 및 기구 등)을 제거한다.
간호중재에 대한 계획 (간호지시)
이론적 근거(간호중재의 이유)
진단적 중재
낙상요인 또는 낙상 유발요인을 사정한다.
치료적 중재
- 활력징후 검사를 위해 침대난간을 내린 경우 환자를 주의깊게 관찰하고 검사 후 즉시 침대난간을 올림.
- 야간에 조명이 너무 어둡지 않게 함.
- 병실에 비치되어 있는 대상자와 대상자 옆 침대 환자의 휠체어 및 이동식 링겔대를 보행에 방해가 되지 않도록 벽 쪽으로 정리했다.
- 병실의 낙상 방지 손잡이에 걸려있는 빨래를 정리하도록 하게 함.
- 화장실 등 물기 있는 곳의 물기를 제거함.
- 미끄러지지 않기 위한 고무 밑창이나 골이 깊은 신발을 착용하도록 하게함.
- 필요한 물건은 항상 가까이에 두도록 하게함.
- 처방받은 Peridol 0.5@ 투여한다.
대상자에게 지남력을 제공한다.
교육적 중재
환자 및 간병인에게 낙상고위험 환자임을 알리고 낙상예방활동을 교육함.
호출벨 사용방법을 교육함.
휠체어 탑승 시 휠체어 잠금장치를 잠근 후 탑승하도록 교육함.
화장실 및 목욕실에 다녀올 때 타인의 보조를 받도록 교육하였다.
수면 중 이동 시 타인의 보조를 받도록 교육하였다.
진단적 중재
대상자의 낙상 과거력, 활동수준, 통증 등 낙상 요인에 근거하여 효과적인 낙상 예방 간호를 실시한다.
치료적 중재
- 침대난간 적용은 낙상 위험을 낮춰준다.
지나치게 어두우면 낙상 위험이 높아진다.
- 보행하는 데 장애물이 있으면 낙상 위험이 높아진다.
- 낙상 방지 손잡이에 물건이 있으면 안된다.
- 물기가 있으면 미끄러지기가 쉬워져서 낙상 위험이 높아진다.
- 마찰력 있는 신발은 덜 미끄러지게 한다.
- 필요한 물건이 가까이 있으면 의미없는 움직임을 줄여 낙상 위험을 낮춰준다.
섬망 증상을 완화하기 위해 약물적 중재를 사용한다.
순간적인 섬망 증상을 완화하기 위해 즉시 대상자에게 지남력을 제공한다.
교육적 중재
낙상 예방에 대한 이해를 높여 낙상 위험성을 줄인다.
도움이 필요할 시 간호사를 불러서 낙상 위험을 낮춘다.
휠체어 잠금장치를 잠그지 않은 채 휠체어에 탑승하면 바퀴가 미끄러져 낙상이 발생하기 쉽다.
화장실 및 목욕실은 바닥의 물기 때문에 미끄러지기 쉬우므로 타인의 보조를 받는 것이 좋다.
수면 중 이동 시에는 낙상 위험이 높기 때문에 타인의 보조를 받는 것이 좋다.
간호수행
진단적 중재
낙상요인 또는 낙상 유발요인을 사정한다.
치료적 중재
활력징후 검사를 위해 침대난간을 내린 경우 환자를 주의 깊게 관찰하고 검사 후 즉시 침대난간을 올림.
야간에 조명이 너무 어둡지 않게 함.
병실에 비치되어 있는 대상자와 대상자 옆 침대 환자의 휠체어 및 이동식 링겔대를 보행에 방해가 되지 않도록 벽 쪽으로 정리했다.
병실의 낙상 방지 손잡이에 걸려있는 빨래를 정리하도록 하게 함.
화장실 등 물기 있는 곳의 물기를 제거함.
미끄러지지 않기 위한 고무 밑창이나 골이 깊은 신발을 착용하도록 하게함.
필요한 물건은 항상 가까이에 두도록 하게함.
교육적 중재
환자 및 간병인에게 낙상고위험 환자임을 알리고 낙상예방활동을 교육함.
호출벨 사용방법을 교육함.
휠체어 탑승 시 휠체어 잠금장치를 잠근 후 탑승하도록 교육함.
화장실 및 목욕실에 다녀올 때 타인의 보조를 받도록 교육하였다.
수면 중 이동 시 타인의 보조를 받도록 교육하였다.
간호평가
1일 이내에 대상자는 낙상 예방법을 3가지 이상 말 할 수 있다. (달성)
- ‘야간에 조명을 어둡게 하면 안 됨, 휠체어 탑승시 잠금장치를 잠그고 탐, 필요한 물건은
가까이 둠’ 3가지를 말함.
2일 이내에 대상자는 낙상 방해 요인(손잡이에 빨래, 미끄러운 바닥, 미끄러운 신발, 보행에 장애가 되는 물건 및 기구 등)을 제거한다. (달성)
- 손잡이, 대상자 보행 경로에 장애되는 물건들이 모두 치워짐.
- 바닥에 물기가 없고, 신발은 고무 밑창 신발로 바뀜.
간호사정
내 용
주관적 자료
간병인 - “밤에 깊게 못 주무세요.”
“낮에 낮잠을 많이 주무세요.”
“할머니가 숨을 쉬기 힘들어하세요. 똑바로 누워 못 계시고 이렇게
앉혀 드려야해요.“
”앉아서 주무시고, 밤에도 깊게 못 주무세요.“
“피곤하네요.”
“더 자고 싶었는데 중간에 깨서 못 잤어요.”
“많이 못자니까 몸에 힘이 없어요.”
“너무 일찍 잠에서 깨고 잠에 드는데도 오래 걸려요. 잠드는데 1시간 걸린 것 같아요.”
“침대에 누워있으면 숨쉬기 힘들어요.”라고 말하며 휠체어에 계속 앉아있음.
객관적 자료
00/00 휠체어에 앉아서 8:00-10:30동안 자는 것을 관찰함.
낮 시간(혈압을 재러 갈 때 마다) 동안 앉아서 자는 것을 여러 차례 관찰함.
00/00 낮에 혈압계 커프를 팔에 감아도 잠에서 깨지 못하는 것을 관찰함.
00/00 낮에 대상자가 숨을 쌕쌕이면서 들썩거리자 간병인이 70°였던 침상머리를 90°로 올림
잘 때 누워서 자지 않고 침상각도를 30° 이상 올려서 잠.
꼭 필요할 때만 활동을 함. 침대에 앉거나 누워서 많은 시간을 보냄.
흉곽을 크게 부풀리면서 숨 쉬는 것을 관찰함.
숨소리가 들릴 정도로 입으로 크게 숨을 쉬는 것을 관찰함.
General weakness(전반적인 허약) 있음. - EMR
하루 평균 수면시간 : 5시간00/00
00/00
00/00
00/00
5시간
5.5시간
5시간
4.5시간
간호진단
적은 수면시간, 피로 호소, 기좌호흡으로 나타나는 호흡 곤란과 관련된 불면증
간호계획
목표
대상자는 중간에 깨는 것 없이 6시간 이상 충분히 숙면한다.
기대되는 결과
1주일 이내에 대상자의 수면시간은 6시간 이상으로 늘어날 것이다.
1주일 이내에 대상자는 잠에 들기까지 걸리는 시간이 20분 이하로 줄어들 것이다.
1주일 이내에 대상자는 낮 동안의 활동시간이 30분 이상으로 늘어날 것이다.
간호중재에 대한 계획 (간호지시)
이론적 근거(간호중재의 이유)
진단적 중재
매일 아침 지난 밤 수면의 양과 질에 대해 묻는다.
대상자에게 수면을 방해하는 요소에 대해 묻는다.
대상자에게 무엇이 수면에 도움이
추천자료
[모성간호학] 자궁외임신(ectopic pregnancy)
급성신우신염 케이스 스터디
성인간호학(암병동 케이스)
아동간호학acute bronchiolitis case study A+자료! 만점자료!
정형외과실습 대퇴경부 대퇴골 골절 케이스 스터디 femur neck fx fracture case study
성인간호실습 만성신부전CASE 문헌고찰 간호진단수행중재5개 NANDA간호진단
[A+보장, 44page] 만성신부전 케이스 Chronic Kidney Disease 간호과정 case study 간호진단8...
A+ 칭찬받은 신부전 케이스/ 낙상위험성 케이스 , 심박출량 감소 케이스 / 간호과정 2개, 간...
A+ 칭찬받은 정상분만 케이스/ TAH 케이스 / 감염위험성, 통증, 낙상위험성 케이스 / 간호과...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