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소년심리및상담 ) 영화 빌리 엘리어트를 본 후 청소년의 흥미와 적성 발견, 자아정체감 형성을 위한 성인(부모,청소년지도사)의 효과적인 역할에 대해 논하시오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청소년심리및상담 ) 영화 빌리 엘리어트를 본 후 청소년의 흥미와 적성 발견, 자아정체감 형성을 위한 성인(부모,청소년지도사)의 효과적인 역할에 대해 논하시오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Ⅲ. 결론
Ⅳ. 참고문헌

본문내용

수 있다.
Ⅲ. 결론
청소년 시기에 부모와 청소년 지도사의 역할을 조력자라고 생각할 수 있다. 자아정체성, 적성, 진로를 결정하는 주체가 학생이고 이를 옆에서 돕는 역할이라고 인식될 수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역할의 영향력을 고려했을 때 부모와 지도사는 동반자라고 보는 것이 더 합리적이다. 당장의 도움을 주는 것에 집중할 수도 있겠지만 앞서 논의된 연구와 부모, 지도사들의 역할을 고려해 본다면 궁극적으로 청소년들 인생 전반의 설계 중 가장 중요한 초석을 닦는다는 의미가 있다고 생각한다. 그렇기 때문에 부모와 청소년 지도사들은 돕는다는 인식으로 역할을 국한하기 보다는 가능한 다양한 방면에서 적극적으로 함께 자아와 진로를 형성하는 데 도움을 준다면 청소년들의 성장에 있어 건설적인 초석을 마련할 수 있을 것이다.
Ⅳ. 참고문헌
고성희, & 박은아. (2018). 남녀청소년의 성역할정체감에 대한 인식. 수산해양교육연구, 30(1), 116122. http://www.dbpia.co.kr/journal/articleDetail?nodeId=NODE07367833
김소정. (2008). 청소년 성역할 고정관념에 관한 연구 -성 차이를 중심으로-.pdf. 사회복지연구, 36, 129149.
김하은. (2020). 성역할 고정관념의 장기적 변화가 청소년의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영향.
박가화, & 이지민. (2014). 부모의 양육행동이 남녀 청소년의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자아정체감과 학교생활적응의 매개효과. Korean Journal of Family Welfare, 19(4), 9971013. https://doi.org/10.13049/kfwa.2014.19.4.997
성미경, & 이희영. (2007). 양성평등 진로교육프로그램이 중학생의 직업관련 양성평등의식 및 진로정체감에 미치는 효과. 수산해양교육연구, 19(1), 121128. http://www.dbpia.co.kr/journal/articleDetail?nodeId=NODE01201433
염서영, & 진정. (2017). 부모의 기대수준이 초기청소년의 진로정체감 형성에 미치는 영향: 자아정체감 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홀리스틱융합교육연구, 21(2), 6785.
임선아. (2012). 적성에 맞는 진로선택과 부모의 진로선택 지지, 진로선택 역경극복 의지가 학업성취동기에 미치는 영향. 미래청소년학회지, 9(4), 221238.
탁진국, 강지연, 조지연, 경일수, & 송미애. (2015). 진로 안내를 위한 흥미와 강점의 통합에 관한 탐색적 연구. 청소년학연구, 22(10), 237259. http://www.dbpia.co.kr/journal/articleDetail?nodeId=NODE06662524
Kulik, Liat. (2002). The Impact of Social Background on Gender-Role Ideology. Journal of Family Issues - J FAM ISS. 23. 53-73. 10.1177/0192513X02023001003.
  • 가격3,7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22.08.31
  • 저작시기2022.8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18227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