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보기의 표기형을 한글 맞춤법 총칙 1장 1항으로 설명하시오.
[보기] ‘볶고/볶으면/떡볶이’
‘웃고/웃음/우습다’
‘덥고/더우면’
2. 보기의 표기형을 이용하여 사이시옷 표기 기준에 관해 설명하시오.
[보기] ‘윗방/위층/위쪽’
‘셋방/월세방/전세방/전셋집’
‘햇살, 해님’
‘최댓값/최대치’
3. 보기의 표기형을 이용하여 띄어쓰기 기준에 관해 설명하시오.
[보기] ‘우리나라/우리 집’
‘있는 대로, 나는 나대로’
‘부모와 자식 간/부자간/이틀간’
[보기] ‘볶고/볶으면/떡볶이’
‘웃고/웃음/우습다’
‘덥고/더우면’
2. 보기의 표기형을 이용하여 사이시옷 표기 기준에 관해 설명하시오.
[보기] ‘윗방/위층/위쪽’
‘셋방/월세방/전세방/전셋집’
‘햇살, 해님’
‘최댓값/최대치’
3. 보기의 표기형을 이용하여 띄어쓰기 기준에 관해 설명하시오.
[보기] ‘우리나라/우리 집’
‘있는 대로, 나는 나대로’
‘부모와 자식 간/부자간/이틀간’
본문내용
이 또한 앞의 사례와 같이 원형을 밝혀 적는다면 ‘덥우면’이 된다. 하지만 이렇게 표현할 경우 현실 발음과 멀어지기 때문에 한글 맞춤법 총칙 중 소리대로를 적용하여 더우면이라고 적는다.
2. 보기의 표기형을 이용하여 사이시옷 표기 기준에 관해 설명하시오.
[보기] ‘윗방/위층/위쪽’
‘셋방/월세방/전세방/전셋집’
‘햇살, 해님’
‘최댓값/최대치’
첫째, 윗방/위층/위쪽이다. 윗방과 달리 위층에 사이시옷이 들어가지 않는 이유는 뒷말의 첫소리가 평음이 아닌 격음이기 때문이다. 위쪽에 사이시옷이 들어가지 않는 이유는 뒷말의 처음부터 된소리가 나기 때문이다. 이러한 경우에는 사이시옷을 사용하지 않는다.
둘째, 셋방/월세방/전세방/전셋집이다. 전셋집은 전세와 집이 결합한 합성명사이다. 이를 발음할 경우 [전세찝/전
2. 보기의 표기형을 이용하여 사이시옷 표기 기준에 관해 설명하시오.
[보기] ‘윗방/위층/위쪽’
‘셋방/월세방/전세방/전셋집’
‘햇살, 해님’
‘최댓값/최대치’
첫째, 윗방/위층/위쪽이다. 윗방과 달리 위층에 사이시옷이 들어가지 않는 이유는 뒷말의 첫소리가 평음이 아닌 격음이기 때문이다. 위쪽에 사이시옷이 들어가지 않는 이유는 뒷말의 처음부터 된소리가 나기 때문이다. 이러한 경우에는 사이시옷을 사용하지 않는다.
둘째, 셋방/월세방/전세방/전셋집이다. 전셋집은 전세와 집이 결합한 합성명사이다. 이를 발음할 경우 [전세찝/전
추천자료
[한글 맞춤법][맞춤법 사례]한글 맞춤법과 맞춤법 사례(한글 맞춤법 역사와 다른 언어와의 비...
[맞춤법과표준어]현행 한글 맞춤법의 원리 분석
(맞춤법과표준어)현행 한글 맞춤법의 원리에 대한 심층적 고찰
2009년 1학기 맞춤법과표준어 기말시험 핵심체크
[한글맞춤법][한글][맞춤법][표준어]한글맞춤법의 원리, 한글맞춤법의 역사, 한글맞춤법의 총...
(방송통신대 맞춤법과표준어 기말시험)다음 각 예들의 묶음은 동일한 범주의 표기 기준/규칙...
2020년 2학기 맞춤법과표준어 출석수업대체시험 과제물(한글 창제 이전의 표기법 등)
맞춤법과표준어 국2 목차 1. 다음 각 예들의 묶음은 동일한 범주의 표기 기준/규칙의 ...
한국어어문규범_한글 맞춤법 총칙은 (1) 한글 맞춤법은 표준어를 소리대로 적되, 어법에 맞도...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