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본문내용
콜렛등 철분흡수방해식품제한
엽산결핍성 빈혈
- 신선야채나, 다량의 동물성 지방함유음식 먹지않는 여성
- 쌍태임신
Rh 동종면역
Rh+인 남편과 Rh-인 부인 → Rh+태아 임신
증상: Rh+인 둘째태아에게 나타남
RhoGAM투여
ABO부적합증
첫 번째 임신의 태아에서부터 영향을 미치며 산전간호 없음
전신성 홍반성 낭창
임신오조증
입덧이 심하여 탈수, 전해질불균형, 영양결핍, 체중저하가 심한 상태
원인: hCG호르몬, estrogen 증가
분만관련 건강문제: 난산
난산의 원인
정상분만 5대 필수요소의 이상
1. 만출력 이상
:자궁기능부전
1. 고긴장성 자궁수축
-자궁저부수축 < 자궁체부수축
- 옥시토신 투여 절대 금기
- 정맥 내 수액공급, 처방된 진정제 투여
2. 저긴장성 자궁수축
- 옥시토신 정맥투여
병리적 견축륜
자궁파열 위험
→ 몰핀 근육주사 후 신속히 제왕절개
수축제 투여, 관장 절대 금지
급속분만
분만이 급속도로 진행되어 3시간 이내에 끝나는 경우
태아측 위험: 저산소증, 경막하출혈, 뇌외상, 저체온증
산모측 위험: 산도열상, 산후출혈, 태박조기박리, 자궁파열, 양수색전
2. 태아이상
선진부 및 태향 이상
→질분만 시도는 가능하나 제왕절개 적용
거대아
다태임신
3. 산도이상
협소골반
-전후경: 10cm이하
-대각결합선: 11.5cm 이하
-횡경: 12cm 이하
아두골반 불균형
(Cephalo-pelvic diameter,BPD)
- 아두와 골반의 크기가 균형을 이루지 못하는 경우
분만관련 건강문제: 조산
정의
조기진통: 임신37주 이전에 진통 시작되는 것
조산: 조기진통이 분만에 이르는 것
조기진통의 임상증상
질분비물의 변화 및 증가
질출혈
파막
설사
32주 이전에 태아 하강감
조기진통:
치료 및 간호중재
관찰 및 절대안정
부동의 합병증 주의
성행위 금기
혈액성 질 분비물, 양수관찰
분만 억제제: Yutopar, 등
조기파막
premature rupture of membrane
PROM
분만이 시작되기 24시간 전 파수되는 것
(정상: 분만1기말~2기초, 완전개대 후)
조기파막 증상
1. Nitrazine test
- 파막시→ 청록색~청색(pH6.5~7.5)
- 정상(파막x)은 노란색~올리브로 약산성(pH5.0~6.0)
복부촉진 시 태아부분이 잘 촉지됨
2. 양치검사
- 질 분비물을 현미경으로 검사
- 양치검사(+) → 고사리(양치)모양
; 양수에 염화나트륨성분 있기 때문
조기파막 합병증
산도 내 상행성 감염
- 융모양막염, 자궁내막염 등
제대탈출
조기파막
치료 및 간호중재
양수색 변한 경우: 72시간 이내 산부 패혈증 위험→무조건 유도분만 시도(진전 없으면 C/S)
분만관련 건강문제: 지연임신과 과숙아분만
지연임신
재태기간이 42주 이상인 경우
좌측 앙와위
→자궁태반관류 최적, 태아에게 산소공급
태아심음이상하면
→고농도 산소투여
조산과 지연분만
조산: 임신 20주~37주 분만
지연분만: 42주 이후 분만
유도분만의 종류
1. 옥시토신
- 태아에게는 직접적인 작용 없으며 예측가능
- 약물의 항이뇨효과로 인해 요배설 감소
- 선행조건 → 종위, 두위, 경부거상시작/ 태아생존력있을때(폐성숙도 측정)/ 아두골반 불균형 없을때(대횡경선측정)
- 정맥투여,3분지속(근육투여금지!!!!!1시간 지속)
- 옥시토신 주입 중 중단해야 하는 경우
→ 후기감퇴!!!
2. 질식분만위한 경관연화법
2-1. 라미나리아
2-2. 프로스타글란딘 이용한 경관성숙
3. 인공파막술(aminiotomy)
회음절개술의 목적
(Episiotomy)
열상방지
분만2기 단축
손상예방, 치유촉진
질강확대
회음절개술의 형태
1. 정중회음절개술
- 신생아가 아주 큰 경우
- 쉽게 치유, 동통경미
-3,4도(항문괄약근, 직장) 열상 위험
2. 중측방 회음 절개술
- 정상분만시
- 출혈량 많음, 치유어려움, 동통심함
- 4도열상 흔하지 않으나 3도열상 종종 발생
자궁내막 소파술
Dilatation&Curettage
D&C
자궁내막을 기계로 긁어내는 수술
자궁내막 조직 생검
양수과다증
양수과소증의 원인
양수과다증: 태아의 소화기계 이상
양수과소증: 태아의 요로계 이상
제대탈출
아두만출 전 제대가 선진부 앞부분으로 밀려나온 것
증상
- 가변성 감퇴현상
- 산부는 별다른 증상 못 느낌
제대탈출 치료
자궁근 이완제: 자궁활동을 감소
→태반관류 항진, 산소공급 증진
제대탈출 간호중재
태아 심음 사정
골반 고위 자세
노출된 제대 건조방지 위해 생리식염수 거즈로 덮기
응급성 분만 관련 건강문제
파종성 혈관 내 응고장애
Dissminated intravascular coagulation, DIC
응고요소 소모로 인한 열액응고 장애로 나타나는 출혈상태
양수색전증
태지,솜털,태변이 섞인 다량의 양수가 모체 순환에 유입되어 폐순환 차단
증상
- 갑작스러운 호흡곤란, 빈맥, 저혈압, 청색증, 출혈 및 쇼크, 의식불명
자궁파열
Uterine rupture
완전자궁파열 증상
- 하복부의 예리하고 강한 통증
- 자궁수축 정지
1. 진통 시
- “찢어지는 듯한 느낌”
- 제대와 심와부위 산재성 또는 어깨 방사통
2. 파열 시
- 파열부위 날카로운 통증, 복부강직, 오심구토, 쇼크
3. 파열 후
- 선명한 질출혈, 자궁수축 정지, 태아사망
자궁내번증
Uterine inversion
자궁이 뒤집혀서 내면이 바깥으로 빠져나온 상태
원인 : 제대를 잡아당길 경우, 태반배출 위해 자궁저부 압박할 때
몰핀 근육주사, 극심한 통증 있으므로
자궁탈수증
자궁과 그 주위조직이 질 사이로 탈수된 상태
증상 경미하면,
페서리(pessary)로 밀어 고정시킴
고위험 산모 간호
산후출혈
방광팽만 간호
→ 산후 8시간 이내 자연배뇨 실시하게 함
방광팽만의 증후
→ 자궁 저부가 중앙선에서 옆으로 밀림
조기산후출혈
분만 24시간 이내에 산도를 통해 500ml이상 출혈
원인: 자궁이완(자궁무력증)
후기산후출혈
분만 24시간 이후부터~ 6주사이
산후출혈 간호중재
자궁저부 마사지
→ 자궁이완 촉진
저혈량성 쇼크 관찰
→ 쇼크시, 산모를 옆으로
엽산결핍성 빈혈
- 신선야채나, 다량의 동물성 지방함유음식 먹지않는 여성
- 쌍태임신
Rh 동종면역
Rh+인 남편과 Rh-인 부인 → Rh+태아 임신
증상: Rh+인 둘째태아에게 나타남
RhoGAM투여
ABO부적합증
첫 번째 임신의 태아에서부터 영향을 미치며 산전간호 없음
전신성 홍반성 낭창
임신오조증
입덧이 심하여 탈수, 전해질불균형, 영양결핍, 체중저하가 심한 상태
원인: hCG호르몬, estrogen 증가
분만관련 건강문제: 난산
난산의 원인
정상분만 5대 필수요소의 이상
1. 만출력 이상
:자궁기능부전
1. 고긴장성 자궁수축
-자궁저부수축 < 자궁체부수축
- 옥시토신 투여 절대 금기
- 정맥 내 수액공급, 처방된 진정제 투여
2. 저긴장성 자궁수축
- 옥시토신 정맥투여
병리적 견축륜
자궁파열 위험
→ 몰핀 근육주사 후 신속히 제왕절개
수축제 투여, 관장 절대 금지
급속분만
분만이 급속도로 진행되어 3시간 이내에 끝나는 경우
태아측 위험: 저산소증, 경막하출혈, 뇌외상, 저체온증
산모측 위험: 산도열상, 산후출혈, 태박조기박리, 자궁파열, 양수색전
2. 태아이상
선진부 및 태향 이상
→질분만 시도는 가능하나 제왕절개 적용
거대아
다태임신
3. 산도이상
협소골반
-전후경: 10cm이하
-대각결합선: 11.5cm 이하
-횡경: 12cm 이하
아두골반 불균형
(Cephalo-pelvic diameter,BPD)
- 아두와 골반의 크기가 균형을 이루지 못하는 경우
분만관련 건강문제: 조산
정의
조기진통: 임신37주 이전에 진통 시작되는 것
조산: 조기진통이 분만에 이르는 것
조기진통의 임상증상
질분비물의 변화 및 증가
질출혈
파막
설사
32주 이전에 태아 하강감
조기진통:
치료 및 간호중재
관찰 및 절대안정
부동의 합병증 주의
성행위 금기
혈액성 질 분비물, 양수관찰
분만 억제제: Yutopar, 등
조기파막
premature rupture of membrane
PROM
분만이 시작되기 24시간 전 파수되는 것
(정상: 분만1기말~2기초, 완전개대 후)
조기파막 증상
1. Nitrazine test
- 파막시→ 청록색~청색(pH6.5~7.5)
- 정상(파막x)은 노란색~올리브로 약산성(pH5.0~6.0)
복부촉진 시 태아부분이 잘 촉지됨
2. 양치검사
- 질 분비물을 현미경으로 검사
- 양치검사(+) → 고사리(양치)모양
; 양수에 염화나트륨성분 있기 때문
조기파막 합병증
산도 내 상행성 감염
- 융모양막염, 자궁내막염 등
제대탈출
조기파막
치료 및 간호중재
양수색 변한 경우: 72시간 이내 산부 패혈증 위험→무조건 유도분만 시도(진전 없으면 C/S)
분만관련 건강문제: 지연임신과 과숙아분만
지연임신
재태기간이 42주 이상인 경우
좌측 앙와위
→자궁태반관류 최적, 태아에게 산소공급
태아심음이상하면
→고농도 산소투여
조산과 지연분만
조산: 임신 20주~37주 분만
지연분만: 42주 이후 분만
유도분만의 종류
1. 옥시토신
- 태아에게는 직접적인 작용 없으며 예측가능
- 약물의 항이뇨효과로 인해 요배설 감소
- 선행조건 → 종위, 두위, 경부거상시작/ 태아생존력있을때(폐성숙도 측정)/ 아두골반 불균형 없을때(대횡경선측정)
- 정맥투여,3분지속(근육투여금지!!!!!1시간 지속)
- 옥시토신 주입 중 중단해야 하는 경우
→ 후기감퇴!!!
2. 질식분만위한 경관연화법
2-1. 라미나리아
2-2. 프로스타글란딘 이용한 경관성숙
3. 인공파막술(aminiotomy)
회음절개술의 목적
(Episiotomy)
열상방지
분만2기 단축
손상예방, 치유촉진
질강확대
회음절개술의 형태
1. 정중회음절개술
- 신생아가 아주 큰 경우
- 쉽게 치유, 동통경미
-3,4도(항문괄약근, 직장) 열상 위험
2. 중측방 회음 절개술
- 정상분만시
- 출혈량 많음, 치유어려움, 동통심함
- 4도열상 흔하지 않으나 3도열상 종종 발생
자궁내막 소파술
Dilatation&Curettage
D&C
자궁내막을 기계로 긁어내는 수술
자궁내막 조직 생검
양수과다증
양수과소증의 원인
양수과다증: 태아의 소화기계 이상
양수과소증: 태아의 요로계 이상
제대탈출
아두만출 전 제대가 선진부 앞부분으로 밀려나온 것
증상
- 가변성 감퇴현상
- 산부는 별다른 증상 못 느낌
제대탈출 치료
자궁근 이완제: 자궁활동을 감소
→태반관류 항진, 산소공급 증진
제대탈출 간호중재
태아 심음 사정
골반 고위 자세
노출된 제대 건조방지 위해 생리식염수 거즈로 덮기
응급성 분만 관련 건강문제
파종성 혈관 내 응고장애
Dissminated intravascular coagulation, DIC
응고요소 소모로 인한 열액응고 장애로 나타나는 출혈상태
양수색전증
태지,솜털,태변이 섞인 다량의 양수가 모체 순환에 유입되어 폐순환 차단
증상
- 갑작스러운 호흡곤란, 빈맥, 저혈압, 청색증, 출혈 및 쇼크, 의식불명
자궁파열
Uterine rupture
완전자궁파열 증상
- 하복부의 예리하고 강한 통증
- 자궁수축 정지
1. 진통 시
- “찢어지는 듯한 느낌”
- 제대와 심와부위 산재성 또는 어깨 방사통
2. 파열 시
- 파열부위 날카로운 통증, 복부강직, 오심구토, 쇼크
3. 파열 후
- 선명한 질출혈, 자궁수축 정지, 태아사망
자궁내번증
Uterine inversion
자궁이 뒤집혀서 내면이 바깥으로 빠져나온 상태
원인 : 제대를 잡아당길 경우, 태반배출 위해 자궁저부 압박할 때
몰핀 근육주사, 극심한 통증 있으므로
자궁탈수증
자궁과 그 주위조직이 질 사이로 탈수된 상태
증상 경미하면,
페서리(pessary)로 밀어 고정시킴
고위험 산모 간호
산후출혈
방광팽만 간호
→ 산후 8시간 이내 자연배뇨 실시하게 함
방광팽만의 증후
→ 자궁 저부가 중앙선에서 옆으로 밀림
조기산후출혈
분만 24시간 이내에 산도를 통해 500ml이상 출혈
원인: 자궁이완(자궁무력증)
후기산후출혈
분만 24시간 이후부터~ 6주사이
산후출혈 간호중재
자궁저부 마사지
→ 자궁이완 촉진
저혈량성 쇼크 관찰
→ 쇼크시, 산모를 옆으로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