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자료
S1: “내일 수술 때문에 잠이 잘 안와요”
S2:\"어제까지만 해도 괜찮을 것 같았는데 너무 긴장되고 떨리네요\"
S3:\"괜찮겠죠? 얼마나 걸릴까요.?\"
S4: \"수술한데가 심하게 아파요\"
S5: “수술한 부분이 너무 아파서 잠 못 자크 라, 옆에 애들도 시끄럽고..”
O1: OP후 PCA 투여
O2: OP후 이송시에 얼굴을 찡그리고, 신음소리 를 냄.
O3: BP : 130/80, PR : 64, RR : 20, BT : 37.2
O4: 수술 후 대변을 보지 못함.
O5: 약간의 안면경직을 보였으며, 초조하게 보임
O6: 불안한 표정을 지음
O7: 12/23일 9am OP예정
간호진단
수술과 관련된 통증
간호목표
장기목표: 대상자는 퇴원시 까지 더 이상의 통증이 없다고 말한다.
단기목표: 대상자는 12/26일까지 통증을 호소하지 않고 PCA를 제거한다.
간호중재
이론적근거
치료적
①진통제를 투여한다.
PCA(Demerol)
-진통제는 통증을 경감시키는 약물이다. 통증지각을 감소시키고 불편함에 대한 반응을 변화시키는 기능을 한다.
마약성 진통제는 그 효능 때문에 중정도의 통증부터 심각한 통증관리에 이용되는 대부분의 진통제를 의미한다. 마약성 진통제는 뇌에 있는 마약 수용체에 부착하여 진통효과를 나타낸다.
②수술부위에 모래주머니를 대준다.
-통증감소와 수술후 합병증 방지
③3시간마다 체위변경을 한다.
-통증감소와 수술 후 합병증 방지 위해하는 것이라고 설명하고, 자세를 편안하게 하여 신체 각 부분에 긴장을 주지 않도록 하고, 몸을 움직일 때는 수술부위를 양손으로 지지하거나 복대를 착용하게 하여 긴장을 줄여줌
④이완요법을 실시한다.(심호흡)
-숨을 깊게 들이시고 입으로 ‘후’하고 내뱉도록 하고 심호흡을 꾸준히 하도록 교육함.
⑤통증에 대해 대상자가 표현 할 수 있도록 격려한다.
⑥자극을 최소화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한다.
-필요시 스크린 치도록 교육
-방문시마다 문을 닫아줌
⑦피부자극요법으로 열요법을 시행한다.
-상해 후 72시간 내에 열찜질을 할 때 혈관확장으로 삼출액 제거가 용이해진다. 따라서 조직 내의 압력은 감소되고 호기성대사가 쉬워지므로 근육 경축과 근육 긴장으로 인한 통증이 감소된다.
교육적
①통증을 꼭 의료진에게 표현하도록 교육한다.
②통증이 심할시에는 심호흡을 하도록 교육한다.
③최대한 활동을 삼가고 안정을 취할 것을 교육한다.
-수술 첫째날은 최대한 활동을 삼가고 침상 안정을 하도록 교육하고,소 변줄은 수술 후 1일 지나고 방광훈련 후에 제거할 것이라고 설명함.
-체위는 되도록 semifolwer\'s position 유지토록 함.(기도흡인 방지.)
④ PCA(자가진통조절기) 사용법과 부작용을 설명함.
-동통완화의 효과가 있다고 설명하였고 통증이 강하게 느껴지면 손목에 부착된 버튼을 누르면 진통제의 양이 늘어나 통증 감소 효과가 더 크다고 설명. 또한 너무 과도히 사용하면 오심 ,구토 유발한다고 교육
진단적
①통증 정도,빈도 사정(통증 척도 이용)
②활력증후 측정
간호평가
-대상자는 12/26일 통증을 호소하는 양이 줄어 들어 PCA를 제거하여 간호계획은 성공적 이였다고 평가한다.
간호진단
예정된 수술과 관련된 불안(O1, O2, O3, S5, S6, S7)
간호목표
장기목표: 대상자는 수술일까지 불안감을 호소하지 않는다.
단기목표: 대상자는 12/23일(OP일)까지 불안에 대해 표현하고 극복한다.
간호중재
이론적근거
치료적
①조용하고 차분한 환경을 제공한다
외적인 자극을 감소시켜 이완을 촉진시킨다.
②환자의 이야기를 경청하고 대화하는 시간을 갖는다.
환자의 불안감을 최소화시킨다.
교육적
①수술의 필요성, 수술과정, 예견되는 준비사항 을 설명하고 정보를 제공 한다.
환자와 가족에게 수술에 대한 필요성, 절차등을 자세히 설명함으로써 환자의 불안을 감소시킨다.
② 환자교육과 함께 가족에게 수술의 필요성, 수술절차를 설명하여 가족적 지지를 얻는다.
진단적
①환자의 불안정도를 사정한다.
불안정도를 사정함으로써 그에 따른 간호를 수행할 수 있다.
②환자의 수면양상을 사정한다.
간호평가
-대상자는 수술의 필요성과 절차를 자세히 알고 불안에 대해 적절히 표현하며 극복하여 간호계획이 성공적이였다고 평가한다.
참고문헌
2021년 정담미디어 여성간호학Ⅱ
www.gmcheil.co.kr/section/clinic/jagung.asp
http://www.kshp.or.kr
http://www.medcity.com/jakungkj.html
S1: “내일 수술 때문에 잠이 잘 안와요”
S2:\"어제까지만 해도 괜찮을 것 같았는데 너무 긴장되고 떨리네요\"
S3:\"괜찮겠죠? 얼마나 걸릴까요.?\"
S4: \"수술한데가 심하게 아파요\"
S5: “수술한 부분이 너무 아파서 잠 못 자크 라, 옆에 애들도 시끄럽고..”
O1: OP후 PCA 투여
O2: OP후 이송시에 얼굴을 찡그리고, 신음소리 를 냄.
O3: BP : 130/80, PR : 64, RR : 20, BT : 37.2
O4: 수술 후 대변을 보지 못함.
O5: 약간의 안면경직을 보였으며, 초조하게 보임
O6: 불안한 표정을 지음
O7: 12/23일 9am OP예정
간호진단
수술과 관련된 통증
간호목표
장기목표: 대상자는 퇴원시 까지 더 이상의 통증이 없다고 말한다.
단기목표: 대상자는 12/26일까지 통증을 호소하지 않고 PCA를 제거한다.
간호중재
이론적근거
치료적
①진통제를 투여한다.
PCA(Demerol)
-진통제는 통증을 경감시키는 약물이다. 통증지각을 감소시키고 불편함에 대한 반응을 변화시키는 기능을 한다.
마약성 진통제는 그 효능 때문에 중정도의 통증부터 심각한 통증관리에 이용되는 대부분의 진통제를 의미한다. 마약성 진통제는 뇌에 있는 마약 수용체에 부착하여 진통효과를 나타낸다.
②수술부위에 모래주머니를 대준다.
-통증감소와 수술후 합병증 방지
③3시간마다 체위변경을 한다.
-통증감소와 수술 후 합병증 방지 위해하는 것이라고 설명하고, 자세를 편안하게 하여 신체 각 부분에 긴장을 주지 않도록 하고, 몸을 움직일 때는 수술부위를 양손으로 지지하거나 복대를 착용하게 하여 긴장을 줄여줌
④이완요법을 실시한다.(심호흡)
-숨을 깊게 들이시고 입으로 ‘후’하고 내뱉도록 하고 심호흡을 꾸준히 하도록 교육함.
⑤통증에 대해 대상자가 표현 할 수 있도록 격려한다.
⑥자극을 최소화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한다.
-필요시 스크린 치도록 교육
-방문시마다 문을 닫아줌
⑦피부자극요법으로 열요법을 시행한다.
-상해 후 72시간 내에 열찜질을 할 때 혈관확장으로 삼출액 제거가 용이해진다. 따라서 조직 내의 압력은 감소되고 호기성대사가 쉬워지므로 근육 경축과 근육 긴장으로 인한 통증이 감소된다.
교육적
①통증을 꼭 의료진에게 표현하도록 교육한다.
②통증이 심할시에는 심호흡을 하도록 교육한다.
③최대한 활동을 삼가고 안정을 취할 것을 교육한다.
-수술 첫째날은 최대한 활동을 삼가고 침상 안정을 하도록 교육하고,소 변줄은 수술 후 1일 지나고 방광훈련 후에 제거할 것이라고 설명함.
-체위는 되도록 semifolwer\'s position 유지토록 함.(기도흡인 방지.)
④ PCA(자가진통조절기) 사용법과 부작용을 설명함.
-동통완화의 효과가 있다고 설명하였고 통증이 강하게 느껴지면 손목에 부착된 버튼을 누르면 진통제의 양이 늘어나 통증 감소 효과가 더 크다고 설명. 또한 너무 과도히 사용하면 오심 ,구토 유발한다고 교육
진단적
①통증 정도,빈도 사정(통증 척도 이용)
②활력증후 측정
간호평가
-대상자는 12/26일 통증을 호소하는 양이 줄어 들어 PCA를 제거하여 간호계획은 성공적 이였다고 평가한다.
간호진단
예정된 수술과 관련된 불안(O1, O2, O3, S5, S6, S7)
간호목표
장기목표: 대상자는 수술일까지 불안감을 호소하지 않는다.
단기목표: 대상자는 12/23일(OP일)까지 불안에 대해 표현하고 극복한다.
간호중재
이론적근거
치료적
①조용하고 차분한 환경을 제공한다
외적인 자극을 감소시켜 이완을 촉진시킨다.
②환자의 이야기를 경청하고 대화하는 시간을 갖는다.
환자의 불안감을 최소화시킨다.
교육적
①수술의 필요성, 수술과정, 예견되는 준비사항 을 설명하고 정보를 제공 한다.
환자와 가족에게 수술에 대한 필요성, 절차등을 자세히 설명함으로써 환자의 불안을 감소시킨다.
② 환자교육과 함께 가족에게 수술의 필요성, 수술절차를 설명하여 가족적 지지를 얻는다.
진단적
①환자의 불안정도를 사정한다.
불안정도를 사정함으로써 그에 따른 간호를 수행할 수 있다.
②환자의 수면양상을 사정한다.
간호평가
-대상자는 수술의 필요성과 절차를 자세히 알고 불안에 대해 적절히 표현하며 극복하여 간호계획이 성공적이였다고 평가한다.
참고문헌
2021년 정담미디어 여성간호학Ⅱ
www.gmcheil.co.kr/section/clinic/jagung.asp
http://www.kshp.or.kr
http://www.medcity.com/jakungkj.html
추천자료
(모성간호) myoma uterine Case study 자궁근종 케이스스터디
[모성간호학] 자궁근종 (진단명 : Ut. Myoma -> L- Myomectomy (multiple)) 실습
자궁근종(LAVH) 간호과정
성인간호학 여성간호학 수술실 자궁근종케이스스터디
A+ ) 자궁근종 (Uterine myoma) - 자궁근종 케이스 스터디, 자궁근종 CASE STUDY, 자궁근종 ...
모성실습: 자궁근종 케이스스터디, 문헌고찰 및 간호과정 <>
급성충수돌기염(Acute appendicitis) 케이스스터디(간호진단,과정 2개 포함), A+받은 자료입...
A+ 칭찬받은 정상분만 케이스/ TAH 케이스 / 감염위험성, 통증, 낙상위험성 케이스 / 간호과...
모성간호,모성간호학,모성간호케이스,모성간호학케이스,모성간호케이스스터디,모성간호학케이...
A+받은 Liver Cirrhosis 간경변 케이스 스터디 간호과정 2개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