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
44


본문내용
1
① 적응증
-중등도에서 중증의 알츠하이머병 치료
② 금기증
-이 약의 성분에 과민성이 있는 환자
-중증의 간장애 환자
-중증의 신장애 환자 (크레아티닌 청소율 < 5 mL/min)
③ 주의사항
-이상반응은 대체로 경미함에서 중등도의 강도를 보였다. 위약 투여군에 비해 이 약 투여군에서 발생율이 높은 이상반응 중 가장 빈번히 발생한 이상반응은 어지러움, 두통, 변비, 졸림, 고혈압의 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
5. 간호과정 적용
1) 대상자의 간호진단 목록 작성
간호진단 목록
문제번호
진단명(원인요소 진술 - 관련된 - 간호진단)
발생일
종료일
1
수술과 관련된 급성통증
9/23
2
수술 전 흉통과 관련된 불안
9/22
3
치료적요법에 대한 불충분한 지식과 관련된 비효과적 건강관리
9/24
9/26
4
오심과 관련된 영양부족 위험성
9/24
9/29
5
고혈당과 관련된 감염위험성
9/21
2) 간호과정 기록지
#1. Nursing Diagnosis : 수술과 관련된 급성통증 ( 9월 23일)
Subjective Data
“나 가슴이 너무 아파....”
“(수술한 부위를 가르치며) 여기가 찢어지는 느낌이야”
Objective Data
- 수술명 : off pump CABG
- NRS 통증척도점수 6점
주호소 : chest pain, dizzy
대상자는 식은땀을 흘리고 있다.
RR : 23회/분
plan
<장기목표>
대상자는 퇴원 시까지 가슴통증(Chest pain)을 느끼지 않는다.
<단기목표>
대상자는 2시간 이내 NRS 점수가 2점 이하로 줄어든다.
2. 대상자는 6hr 이내에 통증이 줄어들었다고 말로 표현할 것이다.
Implementation
<진단적 계획>
1. 대상자의 통증을 사정한다.
2. 처방받은 마약성 진통제를 투약한다.
3. 대상자의 V/S을 1시간 단위로 측정한다.
<치료적 계획>
4. 마약성 진통제 투약 후 통증을 재사정한다.
5. 대상자에게 진통제 요청에
대해 설명한다.
<교육적 계획>
6. 진통제 투여 후 약물의 효과를 관찰한다.
7. 통증완화와 안위 증진을 위해 체위를 변경하고 신체적 지지를 해준다.
8. 통증 일기를 작성하는 방법에 대해 교육한다.
<진단적 계획>
1. 정확한 사정은 대상자의 상태파악에 도움을 주며, 간호 및 중재에 도움을 주는 기초 자료가 된다.
2. 마약성 진통제는 대상자의 통증을 줄여주는 효능이 있다. 하지만 부작용이 있기 때문에 대상자의 관찰을 시간간격을 두고 해 줘야한다.
3. V/S의 측정은 대상자의 기초상태를 파악하고 치료에 도움을 주는 기초자료이다.
<치료적 계획>
4. 진통제 투여 후 환자의 상태를 파악하여 통증 완화가 부족하면 원인을 찾아 적절한 중재를 제공해야 할 것이며 통증 감소가 효과적으로 일어났다면 조기이상, 심호흡, 객담 제거 등의 간호활동을 할 수 있는 적절한 시기이므로 진통제 투여 후의 재 사정은 매우 중요한 간호이다.
5. 통증 악화 전의 진통제 투여는 통증을 최소화하도록 돕는다. 왜냐하면 심한 통증보다 약간의 통증이나 중증도의 통증이 더욱 빠르게 효과적으로 조절되기 때문이다.
<교육적 계획>
6. 진통제 사용으로 통증이 조절 되었는지 효과를 확인하기 위함이다. 진통제의 내성을 파악, 약제의 용량을 조절하기 위함이다.
7. 앙와위는 복부 통증을 증진시킬 수 있으므로 반좌위, 좌위를 통해 복부 통증과 함께 통증으로 인한 호흡곤란도 해결될 수 있도록 한다.
8. 환자가 통증일기를 작성하면 시간대와 어떠한 치료법에 따라 완화되는지 요인을 본인이 명확히 알 수 있고, 이는 통증 완화에도 도움이 되는 방법이다.
#2. Nursing Diagnosis : 수술전 흉통과 관련된 불안 ( 9월 22일)
Subjective Data
\"나 여기가 계속 아파..“
“약은 언제주나요? 지금 주세요”
“저 지금 너무 불안해요. 수술해도 이렇게 아픈거 아닌가요?”
Objective Data
- 대상자는 식은땀을 흘리는 것이 관찰된다.
- 목소리가 떨리고 얼굴에 불안한 기색이 역력한 것이 관찰된다.
- 집중이 되지 않으며 반복되는 질문을 하는 것이 관찰된다.
plan
<장기목표>
1. 대상자는 퇴원시 까지 불안을 경험하지 않는다.
<단기목표>
1. 대상자는 4시간 이내에 증상에 대해 이해하며 불안해 하지 않는다.
2. 대상자는 스스로 불안 자가조절을 시행 할 수 있다.
Implementation
<진단적 계획>
1. 대상자의 언어적, 비언어적 행위를 수시로 관찰하고, Beck의 불안척도를 사용하여 불안의 척도를 사정한다.
2. 4시간마다 V/S을 측정하여 신체적 반응을 사정한다. (빈맥, 빈호흡 등..)
<치료적 계획>
3. 필요시 주치의의 처방에 따라 진정제를 투여한다.
4. 필요시 대상자에게 정서적 지지를 제공해 준다.
<교육적 계획>
5. 대상자에게 질환에 대한 설명을 진행하여 대상자가 협심증에 관한 증상을 설명할 수 있도록 한다.
6. 간호사는 보호자에게 정서적 지지를 교육한다.
<진단적 계획>
1. 대상자의 불안에 대한 원인사정은 정확한 간호중재 계획에 기초가 된다. 사정을 통해 불안의 정도를 알 수 있고 이를 완화시킬 수 있는 방법을 계획하고 중재할 수 있다.
2. V/S은 대상자의 신체적, 환경적, 심리적 스트레스원과 상태변화를 빠르게 반영하며 치료에 근본적인 지분이 되는 기초적인 자료로 활용된다.
<치료적 계획>
3. 주치의 처방에 따른 진정제는 대상자의 불안효과를 낮출 수 있다.
4. 필요시 대상자에게 정서적 지지를 제공함으로써, 대상자는 약물에 대한 의존도가 낮아 질 수 있다.
<교육적 계획>
5. 대상자에게 협심증에 대한 증상을 설명하며 불안을 완화시켜 줄 수 있고, 스스로 교육된 내용을 이야기 하며 대상자는 불안완화를 시행할 수 있다.
6. 대상자에게 가장 친근감 있고 불안함이 덜어지는 존재인 보호자를 교육하여 대상자의 불안을 완화시킨다.
참고문헌
1. 성인간호학 상 , 황옥남, 현문사, 2017
2. 성인간호학 지침서, 김복랑ㆍ안혜정, 현문사, 2022
3. 의약품 사전
4. 서울대학병원 의학정보, 협심증
5. 국가건강정보포털 의학정보, 협심증
6. 삼성서울병원 건강컬럼, 협심증
① 적응증
-중등도에서 중증의 알츠하이머병 치료
② 금기증
-이 약의 성분에 과민성이 있는 환자
-중증의 간장애 환자
-중증의 신장애 환자 (크레아티닌 청소율 < 5 mL/min)
③ 주의사항
-이상반응은 대체로 경미함에서 중등도의 강도를 보였다. 위약 투여군에 비해 이 약 투여군에서 발생율이 높은 이상반응 중 가장 빈번히 발생한 이상반응은 어지러움, 두통, 변비, 졸림, 고혈압의 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
5. 간호과정 적용
1) 대상자의 간호진단 목록 작성
간호진단 목록
문제번호
진단명(원인요소 진술 - 관련된 - 간호진단)
발생일
종료일
1
수술과 관련된 급성통증
9/23
2
수술 전 흉통과 관련된 불안
9/22
3
치료적요법에 대한 불충분한 지식과 관련된 비효과적 건강관리
9/24
9/26
4
오심과 관련된 영양부족 위험성
9/24
9/29
5
고혈당과 관련된 감염위험성
9/21
2) 간호과정 기록지
#1. Nursing Diagnosis : 수술과 관련된 급성통증 ( 9월 23일)
Subjective Data
“나 가슴이 너무 아파....”
“(수술한 부위를 가르치며) 여기가 찢어지는 느낌이야”
Objective Data
- 수술명 : off pump CABG
- NRS 통증척도점수 6점
주호소 : chest pain, dizzy
대상자는 식은땀을 흘리고 있다.
RR : 23회/분
plan
<장기목표>
대상자는 퇴원 시까지 가슴통증(Chest pain)을 느끼지 않는다.
<단기목표>
대상자는 2시간 이내 NRS 점수가 2점 이하로 줄어든다.
2. 대상자는 6hr 이내에 통증이 줄어들었다고 말로 표현할 것이다.
Implementation
<진단적 계획>
1. 대상자의 통증을 사정한다.
2. 처방받은 마약성 진통제를 투약한다.
3. 대상자의 V/S을 1시간 단위로 측정한다.
<치료적 계획>
4. 마약성 진통제 투약 후 통증을 재사정한다.
5. 대상자에게 진통제 요청에
대해 설명한다.
<교육적 계획>
6. 진통제 투여 후 약물의 효과를 관찰한다.
7. 통증완화와 안위 증진을 위해 체위를 변경하고 신체적 지지를 해준다.
8. 통증 일기를 작성하는 방법에 대해 교육한다.
<진단적 계획>
1. 정확한 사정은 대상자의 상태파악에 도움을 주며, 간호 및 중재에 도움을 주는 기초 자료가 된다.
2. 마약성 진통제는 대상자의 통증을 줄여주는 효능이 있다. 하지만 부작용이 있기 때문에 대상자의 관찰을 시간간격을 두고 해 줘야한다.
3. V/S의 측정은 대상자의 기초상태를 파악하고 치료에 도움을 주는 기초자료이다.
<치료적 계획>
4. 진통제 투여 후 환자의 상태를 파악하여 통증 완화가 부족하면 원인을 찾아 적절한 중재를 제공해야 할 것이며 통증 감소가 효과적으로 일어났다면 조기이상, 심호흡, 객담 제거 등의 간호활동을 할 수 있는 적절한 시기이므로 진통제 투여 후의 재 사정은 매우 중요한 간호이다.
5. 통증 악화 전의 진통제 투여는 통증을 최소화하도록 돕는다. 왜냐하면 심한 통증보다 약간의 통증이나 중증도의 통증이 더욱 빠르게 효과적으로 조절되기 때문이다.
<교육적 계획>
6. 진통제 사용으로 통증이 조절 되었는지 효과를 확인하기 위함이다. 진통제의 내성을 파악, 약제의 용량을 조절하기 위함이다.
7. 앙와위는 복부 통증을 증진시킬 수 있으므로 반좌위, 좌위를 통해 복부 통증과 함께 통증으로 인한 호흡곤란도 해결될 수 있도록 한다.
8. 환자가 통증일기를 작성하면 시간대와 어떠한 치료법에 따라 완화되는지 요인을 본인이 명확히 알 수 있고, 이는 통증 완화에도 도움이 되는 방법이다.
#2. Nursing Diagnosis : 수술전 흉통과 관련된 불안 ( 9월 22일)
Subjective Data
\"나 여기가 계속 아파..“
“약은 언제주나요? 지금 주세요”
“저 지금 너무 불안해요. 수술해도 이렇게 아픈거 아닌가요?”
Objective Data
- 대상자는 식은땀을 흘리는 것이 관찰된다.
- 목소리가 떨리고 얼굴에 불안한 기색이 역력한 것이 관찰된다.
- 집중이 되지 않으며 반복되는 질문을 하는 것이 관찰된다.
plan
<장기목표>
1. 대상자는 퇴원시 까지 불안을 경험하지 않는다.
<단기목표>
1. 대상자는 4시간 이내에 증상에 대해 이해하며 불안해 하지 않는다.
2. 대상자는 스스로 불안 자가조절을 시행 할 수 있다.
Implementation
<진단적 계획>
1. 대상자의 언어적, 비언어적 행위를 수시로 관찰하고, Beck의 불안척도를 사용하여 불안의 척도를 사정한다.
2. 4시간마다 V/S을 측정하여 신체적 반응을 사정한다. (빈맥, 빈호흡 등..)
<치료적 계획>
3. 필요시 주치의의 처방에 따라 진정제를 투여한다.
4. 필요시 대상자에게 정서적 지지를 제공해 준다.
<교육적 계획>
5. 대상자에게 질환에 대한 설명을 진행하여 대상자가 협심증에 관한 증상을 설명할 수 있도록 한다.
6. 간호사는 보호자에게 정서적 지지를 교육한다.
<진단적 계획>
1. 대상자의 불안에 대한 원인사정은 정확한 간호중재 계획에 기초가 된다. 사정을 통해 불안의 정도를 알 수 있고 이를 완화시킬 수 있는 방법을 계획하고 중재할 수 있다.
2. V/S은 대상자의 신체적, 환경적, 심리적 스트레스원과 상태변화를 빠르게 반영하며 치료에 근본적인 지분이 되는 기초적인 자료로 활용된다.
<치료적 계획>
3. 주치의 처방에 따른 진정제는 대상자의 불안효과를 낮출 수 있다.
4. 필요시 대상자에게 정서적 지지를 제공함으로써, 대상자는 약물에 대한 의존도가 낮아 질 수 있다.
<교육적 계획>
5. 대상자에게 협심증에 대한 증상을 설명하며 불안을 완화시켜 줄 수 있고, 스스로 교육된 내용을 이야기 하며 대상자는 불안완화를 시행할 수 있다.
6. 대상자에게 가장 친근감 있고 불안함이 덜어지는 존재인 보호자를 교육하여 대상자의 불안을 완화시킨다.
참고문헌
1. 성인간호학 상 , 황옥남, 현문사, 2017
2. 성인간호학 지침서, 김복랑ㆍ안혜정, 현문사, 2022
3. 의약품 사전
4. 서울대학병원 의학정보, 협심증
5. 국가건강정보포털 의학정보, 협심증
6. 삼성서울병원 건강컬럼, 협심증
추천자료
a++++ 칭찬받은 과제 성인간호학 수술실 or 케이스 실습 laparoscopic cholecystectomy 복강...
A+받은 결핵 케이스입니다 진단2 과정2개의 케이스
A+받은 위암 케이스 스터디입니다. 진단4개 과정2개
A+받은 급성 기관지염 케이스 스터디입니다. 진단4개 과정2개
A+받은 여성간호학 난소낭종 케이스입니다. 진단5개 과정2개 입니다.
A+받은 여성간호 자연분만 케이스입니다. 진단5개 과정3개 입니다.
A+받은조현병 케이스 스터디입니다. 진단2개 과정2개
A+받은 조현병 케이스 스터디입니다. 진단2개 과정2개
A+받은 양극성 장애 케이스 스터디입니다. 진단2개 과정2개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