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받은 조현병 (schizophrenia) 케이스입니다. 진단 3개 과정 2개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A+받은 조현병 (schizophrenia) 케이스입니다. 진단 3개 과정 2개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rmal)
bipolar spectrum diagnostic scale(BSDS) - 21점(abnormal)
mood disorder questionnaire(MDQ) - 11점
사고 및 판단능력에 대한 평가 - 타인이 자신을 해치려 한다는 피해망상을
갖고 있음. 이 때문에 타인의 동기를 의
심하고 타인이 자신에게 부당하게 대우한
다고 생각
정서적인 상태에 대한 평가 - 좌절적인 상황에 대해 우울감과 불안감을
호소. 피해적사고로 인하여 주변대상에 대한
분노감 및 적대감을 가짐.
대인관계 및 사회적응 능력 - 환자는 현저한 정신병적 증상 및 피해적
사고 때문에 현실을 왜곡하고 주변대상을
의심하고 경계함
11. 질환에 대한 치료(약물 및 요법들)
약물치료
약품명
투여용량
적응증
예상 부작용
대상자가 느끼는 부작용
Abilify
15mg/Tab
정신분열병
구역, 구토, 변비, 불안
소화불량
Zyprexa zydis
10mg/Tab
정신분열병
졸음, 체중증가, 어지러움, 무력증, 변비 등
졸음, 체중증가
Polybutine
100ng/Tab
소화불량, 구토, 구역
설사, 구역, 구토, 소화장애, 최면, 현기증
-
Loravan
1mg/Tab
불안, 긴장, 우울
불안, 흥분, 우울, 착한, 두통 등
-
Benztropine
1mg/Tab
파킨스 증
환각, 구역, 구토, 변비,
-
Stilnox CR
12.5mg
불면증
설사, 오심, 구토, 피로
-
프로그램(요법)속의 대상자 변화
평소 병동에서의 모습
프로그램(요법) 속의 변화된 모습
자주 걸어다니며 친한 환자분과 함께 병실에서 이야기 하거나 잠을 잠
다른 환자 분들을 챙기시는 모습도 보이고
환자분께서 좋아하는 분은 잘 대화함
병동생활에 따라 잘 생활하며 요가, 노래방 요법, 산책 등 잘 따라하고, 노래도 부르고 적극적인 참여활동을 보이심
12. 의학적 진단(DSM-V)
DSM - Ⅳ (Multiaxial Diagnosis)
Axis Ⅰ
schirophrenia
Axis Ⅱ
delusional disorder
Axis Ⅲ
bipolar disorder
Axis Ⅳ
NONE
Axis Ⅴ
NONE
13. 대상자 강점 및 취약점
강점
취약점
사회적 기 능
일 상 생 활
직업적 기 술
가족의 태 도
치료이행 및 반응
경제적 지원
폭력적 행위
지역사회 자원 활용
예후에 대한 기대
친하신 환자분께 웃으며 농담도함
걸어다니고 다른 환자분과
대화
생산직에 근무하신 경력 있음
약물치료 및 요법치료 이행
가족들의 경제적 지원
-
-
치료 잘 받아 퇴원 원함
낯선 사람에게 적대감을 품음
병실에 누워있는 경우도 많음
남편을 의심함
-
-
요법에 능동적이지는 않음
-
-
-
재발 가능성
14. 문제 목록 및 우선 순위번호
문제목록
우선순위 선정
1
적대감으로 인한 사회적 고립
1
2
타인의 퇴원에 의한 무력감
2
3
조현병과 관련된 체중 증가
3
15. 간호과정
주관적 자료
‘알아서 뭐하게요?’
‘.....’
객관적 자료
병실 침상에 누워계시거나, 혼자 복도를 걸어다님
간호 진단
적대감으로 인한 사회적 고립
장기 목표
대상자는 대인관계가 향상되어 사회적 고립감이 해소된다.
단기 목표
1.대상자는 침대에 누워 보내는 시간이 감소한다.
2.다른 환자분들과 많은 대화를 나누신다.
중재 계획
1. 대상자에게 지속적으로 말을 걸고 관심을 보이며 신뢰감을 쌓는다.
2. 대상자와 라포를 형성하여, 의사표현을 할 수 있도록 돕는다.
3.대상자가 치료프로그램에 참여하여 환우들과 상호작용을 하도록 한다.
이론적 근거
신뢰감을
쌓고 라포를 형
성함으로써 상대
방의 적대감을
감소시
킨다.
수 행
1.대상자에게 인사를 하고 대화를 시도하였다.
2.대상자와 함께 tv를 복도를 걸으면서 대화를 나누었다.
고려사항
환자분이 인사나
같이 복도걷기조차 거부 할 때가 있어 무리하게 다가가지 않는다.
주관적 자료
‘퇴원 환자들을 볼 때 제 마음이 허탈합니다.’
‘저도 퇴원 날짜 정해놓고 병동생활을 하고 싶습니다.’
객관적 자료
1. 혼자서 복도를 걸어다니는 모습 보임
2. 병실침대에 혼자 앉아 계심
간호 진단
타인의 퇴원에 의한 무력감
장기 목표
1.대상자의 무력감이 감소한다.
단기 목표
1. 대상다가 다른 환자와 대화를 나눈다.
2. 대상자가 병실에서 나와 활동을 한다.
중재 계획
1. 대상자와 함께 걸으면서 대화를 나눈다.
2. 대상자가 병실에서 나와 활동하도록 한다.
3. 대상자의 퇴원날짜에 대해 의사 선생님과 면담한다.
이론적 근거
우울함이 덜해지고, 적절한 분위기를 만들어주면 심리적으로도 안정이 되어 대상자의 정신적인 상태에 도움이 된다.
수 행
1. 대상자와 복도를 걸으면서 대화를 나누었다.
2.대상자의 퇴원에 관해 지지해 드렸다.
3. 그룹 활동에 참여함으로써 환자들과 어울릴 수 있도록 정서적 지지를 하였다.
고려사항
대상자에게 너무 갑자기 다가갈 려고 하지 말고, 하루하루 천천히, 조금씩 다가가면서 라포를 형성한다.
16. 최종 평가(실습에 대한 평가)
처음 정신병동에 대한 실습이라 긴장도 많이 했지만 다른 과목과는 조금
다른 실습이었던 것 같아서 재미있었다.
다만, 정신질환에 대해 이론적으로도 공부하고 갔더라면 보는 시각이 좀더
달라졌지 않을까 생각한다. 인계를 들을 때는 약물이름도 잘 모르고
질환에 대해서도 잘 몰라 인계를 들을 때 무슨 말인지 몰라서 잘 못 알아듣는
경우가 많았다. 그리고 케이스 환자분과 제대로 라포를 형성하지 못해서
정보수집이 충분하지 못한 것 같아 아쉬움이 남는다. 나름 혼자서는 가까워졌다고 생각하여 이런저런 질문을 많이 하기도 했지만 잘 대답해주시다가는 어떤 날에는
인사조차 받아주시지 않아서 당황하기도 했다.
정신실습은 환자의 말과 행동하나하나가 증상을 나타내서 환자 관찰이 매우
중요하다는 것을 알았다.
이번 실습을 바탕으로 부족한 부분을 채워 다음 실습에는 더 잘 할 수 있도록
노력해야겠다.
17. 참고문헌
-이광자 외(2022). 정신간호총론(제6판). 수문사
http://www.kimsonline.co.kr/
http://www.druginfo.co.kr
http://health.naver.com/

키워드

25간호,   실습,   학점,   case,   정신과,   정신분열증,   스키조,   폐쇄,   SPR
  • 가격2,500
  • 페이지수11페이지
  • 등록일2023.05.03
  • 저작시기2023.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20537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