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어 문법 <형태론>
본 자료는 6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해당 자료는 6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6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국어 문법 <형태론>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단어의 형성
1. 형태소
<1> 형태소-일정한 뜻을 가진 가장 작은 말의 단위(최소의 유의미적 단위)
<2> 형태와 이형태
<3> 형태소에 관한 문제점
<4> 중세 국어의 형태소 분석
<5> 단어-자립할 수 있는 말이나 자립할 수 있는 형태소에 붙어서 쉽게 분리할 수 있는 말
<6> 단어의 정립 기준
2. 단어의 형성
<1> 단어
<2> 접사의 기능과 분포
<3> 파생어

2. 품사
<1> 품사: 공통된 성질을 지닌 단어끼리 모아 놓은 단어의 갈래.
<2> 품사 분류의 기준
<3> 품사의 통용
<4> 체언
<5> 관계언
<6> 용언
<7> 수식언

본문내용

>덧붙여서<덧+붙+이+어+서>)접미사(-이)는 문법적 관계를 나타내지만 접두사(덧-)은 그런 기능을 하지 못한다 이들이(덧-, -이) 가지고 있는 더함, 피동이라는 의미는 문법적 의미보다는 어휘적 의미에 가깝다.
. 하지만 어휘의 의미가 단독적으로 실질 의미를 가지고 있음에 비해서 접사의 의미는 어근인 실질 의미를 덧붙여 주는 보조적 역할을 할 뿐이다. 따라서 접사는 넓은 의미에서 형식 형태소에 해당한다고 말할 수 있다.
3>형태론적으로 제약된 이형태 중 {-거라, -너라} 문제
이형태 중에 형태론적 이형태의 개념을 설명하는 예를 들 때 아직도 {-거라, -너라}를 동사 ‘가다, 오다’ 류에만 쓰인다고 하면서 {-아라}의 형태론적 이형태로 본 것은 고쳐져야 할 것이다. {-거라, -너라}는 옛말투의 보수적 명령형 어미로서 예전에는 ‘오다, 가다’ 단어에서만 쓰여 다른 동사 어간들이 취하는 {-아라/-어라}의 형태론적 이형태로 보는 편이었지만 오늘날은 이러한 경향이 사라지고 보수적 명령형어미로서 일부 세대에서 나타나는데 그 중에 {-거라}는 ‘오다, 가다’를 포함한 모든 동사 어간에 붙어 쓰일 수 있는 규칙 어미로 변한 것이 현실이다. 또한 ‘오다, 가다’도 이제는 {-아라}를 더 잘 쓰기 때문에 {-아라/-어라}와 {-거라}는 문체적 차이를 지닌 별개 명령형 어미, 즉 문체론적 이형태로 보아야지 형태론적 이형태로 보면 안 될 것이다.
<4>중세 국어의 형태소 분석
①中世어는 이어 적기(연철)로 적혔으므로 끊어 적기(분철)로 바꾸라.
②축약, 탈락된 것은 이미 없어진 것이므로 형태소나 단어로 볼 수 없다.
-불휘 기픈 남에서불휘+ㅣ로 분석해서 주격조사ㅣ를 가정할 수 있지만 표기상 탈 락되었으므로 ㅣ는 형태소의 자격도 단어의 자격도 없음에 주의하라.
③용언은 기본형을 파악하라-다(사무치다)와 같이 소멸되어 현대어에 없는 어형은 반드시 암기하라
④문장에 표기될 때 생긴 발음상의 변화는 무시하고 분석하라.
예>히요미(구별함이)→히(어간)+옴(명사형 어미)+이(주격 조사)
⑤각 형태소나 단어의 의미는 현대어에서 유추하라.
<5>단어-자립할 수 있는 말이나 자립할 수 있는 형태소에 붙어서 쉽게 분리할 수 있는 말
<6>단어의 정립 기준
1>자립성-홀로 쓰일 수 있느냐
2>분리성-앞의 말과 쉽게 불리 될 수 있느냐
3>보편성
ㄱ.사람들이 많이 모였다.→*하늘들을 쳐다보아라.
ㄴ.철수만이 동화를 읽었다.→하늘만 쳐다보아라.
ㄱ에서들은 자립 형태소사람에 붙었다는 점에서 ㄴ의철수만이의만과 차이가 없다. 하지만 ㄴ의만은 모든 명사류에 다 붙을 수 있으나들은 그렇지 않다. 이처럼 아무리 체언에 붙는 말이라고 하더라도 보편성이 결여되어 있으면 단어의 자격이 없다.
<8>단어를 정의 할 때의 문제점
예>그들은 촛불을 밝혀 들었다.
1>위 예문에서은, 을같은 조사는 혼자 자립하여 쓰일 수 있는 말이 아닌데 단어로 인정
2>단어는 어절과 밀접한 관련을 맺고 있다. 한 어절이 그대로 한 단어가 되는가 하면 두 단어가 모여서 한 어절이 되기도 한다.들었다는한 어절 한 단어인데그들은, 촛불을은한 어절 두 단어가 된다. 이것은 단어의 구성에서 일관성이 없는 것이다.
2.단어의 형성
<1>단어
단어┌단일어(單一語)--------하나의 형태소(어근)
└복합어┌파생어(派生語)---{접사+어근, 어근+접사}-파생법 →실질 형태소+형식 형태소
└합성어(合成語)---{어근+어근}----------합성법 →실질 형태소+실질 형태소
<2>접사의 기능과 분포
기능┌★지배적 접사 : 문장의 통사 구조를 바꾸어 주는 접사 예>크+기(형용사→명사)
└한정적 접사 : 뜻만 첨가 해주는 접사 예>맨+손(명사→명사)-어근의 뜻을 한정
분포┌접두사: 어근 앞에 붙는 접사 예>덧+버선
└접미사: 어근 뒤에 붙는 접사 예>덮+개
<3>파생어
1>접두사에 대한 문제점(접두파생어)
①국어의 접두사는 어근의 품사를 바꾸는 지배적 기능은 없고 어근의 의미를 제한하는 한정적 기능만 띠고 있다.
ㄱ.메마르다, 강마르다. 숫되다, 엇되다
하지만 ㄱ의 예에서처럼 극소수이기는 하지만 품사를 바꾸는 통사적 접두사도 존재한다. 즉,메-, 강-접두사는 동사인마르다를 형용사로 바꾸어 주고 있다.
②★관형사성 접두사, 부사성 접두사 VS 관형사, 부사와의 구별
㉠관형사, 부사는 거의 모든 피수식어와 연결될 수 있으나 접두사는 몇몇 어근에만 결합
예>새 옷, 새 집, 새 연필-관형사 -*맨 옷, *맨 집, *맨 연필-접두사
㉡관형사, 부사+피수식어의 사이에는 새로운 관형사나 부사가 끼어 들 수 있으나 접두사+어근의 사이에는 끼어 들 수 없다.
예>잘 많이 볶다(←잘 볶다):부사 *들 많이 볶다(←들볶다):접두사
2>접미사에 대한 문제점(접미파생어)
①★파생 명사와 용언의 명사형의 구별
┌파생 명사: 용언의 어간에-(으)ㅁ이나-기가 붙어 이루어진 말로서 명사로 굳어짐
└용언의 명사형: 용언의 어간에-(으)ㅁ이나-기가 붙어 명사로 굳어지지 않은 말
예>얼음이 얼음은 날씨가 춥기 때문이다.
㉠구별 기준
용언의 명사형은 서술성이 있어 주어를 서술하며, 선어말 어미를 취할 수 있고, 그 앞에 깊이, 크게등의 부사적 표현이 쓰일 수 있다. 파생 명사는 서술성이 없으므로 부사적 표현이 쓰일 수 없고 대신 명사를 수식하는 관형어는 올 수 있다. 따라서 접사와 어미의 형태가 같을 때 부사의 수식 여부에 따라 그것을 구분한다.
㉡공통점
┌조사와 결합 가능→명사로 쓰이고 있다.
└형태가 같다.<-(으)ㅁ/-기>
cf> 중세 국어와의 비교
1>현대는 파생 명사나 용언의 명사형은 형태가 같지만 중세 국어는
┌파생 명사: /음 예>어름,
└용언의 명사형: 옴/움 예>됴 여름 여루미(열+움+이 >좋은 열매 여는 것이), 머굼(먹+움)
으로 형태가 달랐다. 하지만우룸(울+움), 춤(츠+움), 오름(올+옴 >졸음)같은 경우는 명사 파생 접미사로-움이 쓰이고 있다. 이는 활용형이 명사 형성의 접사로 굳어진 예이다.
2>파생 명사와 파생 부사의 구별
┌현대-높이를 재어라(파생 명사) 높이 날아라(파생 부사)처럼 형태가 구별되지 않는다.
└중세 국어┌파생 명사: /의 예>노(높+ >높이), 기
  • 가격2,500
  • 페이지수19페이지
  • 등록일2024.01.04
  • 저작시기2024.0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23491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