형태론의 정의 완전굴절법(활용), 준굴절법(곡용), 단어형성법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형태론의 정의 완전굴절법(활용), 준굴절법(곡용), 단어형성법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들어가며
1. 정의

본격적으로
2. 완전굴절법(활용)
① 동사
② 형용사
③ 보조용언
④ 활용의 불완전성
⑤ 활용의 규칙성과 불규칙성
3. 준굴절법(곡용)
① 명사
② 대명사
③ 수사
④ 체언과 복수
⑤ 조사
4. 단어형성법
① 파생법
② 합성법

마무리

본문내용

는 명사나 기타 다른 성분에 주어가 붙어 복수임을 표시하는 기능도 있다(예 빨리 물들 떠 오너라, 어서들 오너라). 이런 점에서 ‘-들’을 보조사로 보는 견해도 있다.
⑤ 조사
조사는 자립성이 있는 말에 붙어 그 말과 다른 말과의 관계를 표시하거나 어떤 뜻을 더해주는 것이라 정의할 수 있는데, 조사가 자립성이 있는 말과 어울릴 때는 스스로 형태를 바꾸어 앞의 말에 영향을 미칠 수도 있다.
조사의 갈래에는 격조사와 접속조사, 보조사가 있다.
격조사는 원칙적으로 체언에 붙어 그 말의 다른 말에 대한 관계를 표시하는 것으로 체언으로 하여금 일정한 자격을 같도록 하는데, 이러한 격조사에는 주격, 서술격, 목적격, 보격, 관형격, 부사격, 호격의 일곱 격이 있다.
주격조사는 체언을 주어의 자격을 주는 조사인데, ‘가’가 주격조사이고, 자음으로 된 체언 아래에서는 ‘이’로 바뀌며, 높임의‘께서’, 단체의 ‘에서’, 인수의‘서’등 특수한 형태가 많다.
서술격조사에는 대표적으로 ‘이다’가 있다. ‘이다’를 지정사 또는 잡음씨라 부르는 이도 있다. 이다가 주어의 내용을 확인지정하는 기능이 없으면 순수한 의미의 서술격 조사로 보기 어렵다.
목적격조사에는 ‘을’이 있으며, 모음으로 된 명사아래에서는 ‘를’로 형태가 바뀐다. 보격조사는 형태상 주격조사와 차이가 없다. 서술격조사의 부정어인 형용사 ‘아니다’와 동사‘되다’의 지배를 받는 ‘이/가’가 보격조사이다.
관형격조사에는 ‘-의’가 있다. 관형격조사는 선행하는 체언으로 하여금 후행하는 체언에 대해 관형어가 되게 하는 기능을 띠고 있다.
부사격조사는 부사격조사가 붙는 체언으로 하여금 부사어가 되도록 하는 것인데, 형태가 많고 의미가 또한 다의적(多義的)이어서 정확히 파악하기가 쉽지 않다. 대표적으로는 처소의 의미를 나타내는 ‘-에’(낙착점), ‘-에서’(출발점), ‘-로’(지향점), ‘-에’등이 있다. ‘-로써’는 도구의 의미를 나타내며, ‘-처럼’, ‘-만큼’은 비교의 대상을, ‘-와’는 동반의 뜻을, ‘-로’는 변성을 나타낸다. -라고는 인용조사로 나타난다.
호격조사에는 ‘-야’가 있는데 선행하는 체언을 부름의 자리에 놓이게 하는 독립어가 되도록 한다. 자음으로 된 말 아래서는 ‘-아’가 선택된다.
접속조사는 격조사와 성격이 비슷한데, 둘 이상의 체언을 같은 자격으로 접속시켜 준다. 그리고 격조사와 접속조사는 생략할 수 있다.
조사는 단순한 자격이외에도 특수한 뜻을 더해주는 조사가 있는데, 이를 보조사라 한다. 격조사는 이러한 특수성으로 인해 격조사내에서도 쓰일 수 있다. 그리고 보조사 가운데 문장의 끝에서만 쓰이는 종결조사도 있다(~요, -그려 등)
조사에는 예외적 규칙도 발견되는데, 의존명사에 하나의 격조사만 해당하는 경우(예. 저도 풀 수가 있습니다.), 자립명사와 조사가 결합할 때 제약을 받는 경우(예. 대우 고무적인 일입니다)도 있다.
4. 단어형성법
단어는 그 짜임새가 단일할 수도 있고, 복합적일 수도 있는데, 그 짜임새가 단일한 것을 단일어라 하고, 복합적인 것을 복합어라 한다. 복합어를 다시 둘로 나눌 수 있는데 실질형태소에 형식형태소가 붙어서 만들어진 것을 파생어라 하고, 실질형태소의 결합을 합성어라 하며, 파생법을 만드는 절차를 파생법, 합성어를 만들어내는 절차를 합성법이라 하며, 이 모두를 조어법이라 한다.
① 파생법
파생법은 접두파생법과 접미파생법으로 크게 나눌 수 있다.
접두사는 어근의 품사를 바꾸는 지배적 기능은 없고, 어근의 의미를 제한하는 한정적 기능만 띠고 있다. 한정적 접사에 의한 파생법을 어휘적 파생법이라 하는데, 접두파생법에 의해 형성되는 품사에는 명사, 동사, 형용사가 있다.
접미사는 한정적 기능분만 아니라 지배적 기능도 띠고 있는데, 지배적 접사에 의한 파생법을 통사적 파생법이라 하며, 통사적 파생법이란 접사가 붙음으로써 품사를 바꾸거나 통사구조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말한다. 접미파생법은 모든 품사에서 고루 확인된다.
이외에도 명사(체언)파생법, 동사파생법, 형용사파생법, 부사 파생법 등이 있다.
체언파생법에는 어휘적 파생법과, 통사적 파생법, 동사의 명사화 등이 있다.
동사파생법에는 동사에 -치가 붙어 다른 동사가 되는 경우, 통사적 파생법이 있는데, 앞의 예는 감치다, 걸치다 등이 있다. 통사적 파생법에는 다른 품사가 동사가 된 경우를 말하는데, 동작성을 띤 명사에 -하다가 붙는 경우, 형용사를 동사화하는 경우, 부사를 동사화하는 경우가 있다.
형용사파생법에는 형용사의 어근에, ‘

키워드

  • 가격1,0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08.10.12
  • 저작시기2008.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8481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