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에는 예상 가능한 학습 순서가 있다.
4. 연습이 완벽을 가져오지는 않는다.
5. 언어규칙을 '안다'는 것이 실제 의사소통 상황에서 '사용'할 수 있음을 뜻하진 않는다.
6. 명시적 오류의 개별적 수정은 언어행동 변화에 효과적이지 못하다.
7. 대부분의 성인 2언어 학습자는 완벽하게 2언어를 통달하진 못한다. - fossilization
8. 하루아침에 완벽한 2언어 구사능력을 성취할 수는 없다.
9. 언어는 극도록 복잡하기 때문에, 학습자의 임무 또한 방대하다.
10. 유의미 학습 상황에서 2언어를 이해하는 능력이 매우 중요하다.
▶Krashen's Input Hypothesis ?
·조정모형 : 2언어를 배우는데는 '습득'과 '학습'의 두 가지 방법이 있다. (상호배타적)
습득은 무의식적/직관적으로 언어를 배우는 것.
학습은 언어 형태/규칙에 관심 갖고 의식적으로 언어를 배우는 것.
조정은 학습 과정의 한 측면, 학습자 자신의 산출을 감시, 전환, 수정 역할.
*교실內- 많은 양의 습득 활동 일어나야 하고 조정의 역할은 줄어들어야 한다.
cf)유창성이 먼저 획득된 연후에 적절량의 조정이 이뤄져야 한다.
·입력가설 ; 입력되는 언어는 학습자 현 단계보다 약간 높은 i + 1 수준이어야 한다.
말하기 학습은 충분 양의 이해 가능한 입력을 구축한 이후에 실시해야 한다.
·비판 :
① Barry Maclauglin - 무의식/의식 구분 모호. 자각 못한 채로는 장기 기억 불가능.
② Gregg-습득/학습 상호배타적이란 말은 모순. 무의식적 input→의식적 output 되니까
③ 이해 가능한 입력 통해서만 2언어 습득 가능하다란 Krashen 주장은 틀림
; 2언어 학습자의 활동적 노력을 경시하는 입장.
④ Selinger는 input→intake과정 설명 통해 입력가설을 보완하는 산출가설을 제시
⑤ i + 1개념은 Ausubel의 유의미 학습에서 이미 제시된 것. i 나 1의 개념도 모호
⑥ 특정 교실內 발화'출현'시기의 차이 or 영원히 발화하지 않는 경우 등은 문제.
▶Maclaughlin's Attention-Processing Model ?
·의식/무의식 개념 지양
·정보처리를 controlled/automatic 처리로 나누고, 주의집중을 focal/ peripheral로 나눔.
*controlled 처리 : 제한적이고 일시적인 '능력'
automatic 처리 : 비교적 지속적인 처리 과정 - 재구조화 과정 통해 달성
※ controlled 처리가 계속 수행되다보면 automatic 처리로 넘어간다.
cf) 재구조화: 특정 과제 구성 요소들이 조합/통합 or 새로운 단위로 재조직됨으로써 예전의 단위를 대처하는 일련의 활동.
*focal attention : 한 방향으로만 주의 집중
peripheral 〃 : 여러 방향으로 주의 집중
▶Bialystok's Analysis/Automaticity Model ?
·명시적 언어 지식과 암시적 언어 지식의 구별이 핵심.
*명시적 언어 지식: 학습자가 2언어에 관해 지니는 사실이며, 인위적으로 조작 가능.
암시적 언어 지식: 언어 과제 수행時 자동적이고 동시적으로 사용되는 정보.
·1978년 Bialystok은 2언어 습득의 개념화를 위한 종래 그녀의 틀을 수정했다.
→ analysis와 automaticity가 상호 작용하는 2차원적 틀을 만듬.
· analysis 개념 - 정신적 표상들은 분석될 수 있는 것과 분석될 수 없는 것으로 구분.
분석될 수 없는 지식은 학습자가 자각하지 못한 채 알고있는 지식.
·automaticity개념- 신속하고 용이하게 회상 될 수 있는 언어 지식은 자동적.
회상 위해선 일정의 시간과 노력이 필요한 언어 지식은 비 자동적.
자동적 처리에는 통제가 거의 일어나지 않음.
cf)통제 :특정 문제의 해결점 도달 위해 투입되는 의도적 주의 집중
·시사점: 학습자는 언어항목 분석능력 정도뿐만 아니라, 언어자료 처리 시간 영향도 받음.
▶Variability Models ?
·'2언어 학습자 중간언어 능력에 나타나는 variability(변이형)설명 모형들.
·대표적 연구
① Elaine Tarone : 'capacity continuum paradigm'
-설명할 수 없는 듯한 변인들을 언어적·상황적 문맥을 통해 어느 정도까지 체계적으로 묘사할 수 있는지에 연구의 초점을 맞추었다.
ex) 1. "He must paid for the insurance." (과거)
2. "He must pay the parking fee." (현재)
→ 이처럼, 언어적(=개념적) 문맥을 통해 중간언어 변인을 설명할 수 있다.
※ 중간언어에 관한 최근 연구들은 교실 상황과 자연 상황의 불일치로 빚어진 중간언어 변인에 초점을 두고 있다. 이러한 연구 결과에 따르면, 교수가 2언어 학습자의 성공 비율을 향상시켜 줄뿐만 아니라, 교실 상황 또한 상당량의 학습자 산출 변인을 설명해준다.
② Rod Ellis ; 'variable competence'
- 중간언어 변인 설명 위해 계획된 담화와 비계획된 담화를 뚜렷이 구분하였다.
계획된 담화는 덜 자동적이기 때문에, 2언어 학습자들은 중간언어 규칙에 의존.
⇒시사점: 2언어 학습자의 언어 산출에는 일련의 체계가 존재한다.
▶The Believing and Doubting Games ?
·2언어 습득 연구에서는 believing game이 필요할 것이다.
▶From Theory to Practice ?
·지난 30년간 언어 교수 접근법의 특징
① 신중한 절충주의 ② 전통적 학문고찰 통해 언어/인간행동/교육학에 대한 통찰 가짐.
③ 2언어 습득에 대한 방대한 연구 ④ 언어 교수-학습의 정의적 측면에 관심.
▶Intuition : The Search for Relevance ?
·2언어 이론과 실제와의 관련성 맺기 : → 직관을 이용 !
·직관을 통해 최상의 2언어 학습 방법을 도출해 낼 수 있다.
→ 훌륭한 교사는 뛰어난 직관을 지닌다.
·직관을 기르는 방법 ?
① 이론의 본질적 기초를 내재화
② 지식과 경험간 시행착오를 통해 직관이 형성된다.
③ 위험을 무릎쓰는 자세 가짐.
4. 연습이 완벽을 가져오지는 않는다.
5. 언어규칙을 '안다'는 것이 실제 의사소통 상황에서 '사용'할 수 있음을 뜻하진 않는다.
6. 명시적 오류의 개별적 수정은 언어행동 변화에 효과적이지 못하다.
7. 대부분의 성인 2언어 학습자는 완벽하게 2언어를 통달하진 못한다. - fossilization
8. 하루아침에 완벽한 2언어 구사능력을 성취할 수는 없다.
9. 언어는 극도록 복잡하기 때문에, 학습자의 임무 또한 방대하다.
10. 유의미 학습 상황에서 2언어를 이해하는 능력이 매우 중요하다.
▶Krashen's Input Hypothesis ?
·조정모형 : 2언어를 배우는데는 '습득'과 '학습'의 두 가지 방법이 있다. (상호배타적)
습득은 무의식적/직관적으로 언어를 배우는 것.
학습은 언어 형태/규칙에 관심 갖고 의식적으로 언어를 배우는 것.
조정은 학습 과정의 한 측면, 학습자 자신의 산출을 감시, 전환, 수정 역할.
*교실內- 많은 양의 습득 활동 일어나야 하고 조정의 역할은 줄어들어야 한다.
cf)유창성이 먼저 획득된 연후에 적절량의 조정이 이뤄져야 한다.
·입력가설 ; 입력되는 언어는 학습자 현 단계보다 약간 높은 i + 1 수준이어야 한다.
말하기 학습은 충분 양의 이해 가능한 입력을 구축한 이후에 실시해야 한다.
·비판 :
① Barry Maclauglin - 무의식/의식 구분 모호. 자각 못한 채로는 장기 기억 불가능.
② Gregg-습득/학습 상호배타적이란 말은 모순. 무의식적 input→의식적 output 되니까
③ 이해 가능한 입력 통해서만 2언어 습득 가능하다란 Krashen 주장은 틀림
; 2언어 학습자의 활동적 노력을 경시하는 입장.
④ Selinger는 input→intake과정 설명 통해 입력가설을 보완하는 산출가설을 제시
⑤ i + 1개념은 Ausubel의 유의미 학습에서 이미 제시된 것. i 나 1의 개념도 모호
⑥ 특정 교실內 발화'출현'시기의 차이 or 영원히 발화하지 않는 경우 등은 문제.
▶Maclaughlin's Attention-Processing Model ?
·의식/무의식 개념 지양
·정보처리를 controlled/automatic 처리로 나누고, 주의집중을 focal/ peripheral로 나눔.
*controlled 처리 : 제한적이고 일시적인 '능력'
automatic 처리 : 비교적 지속적인 처리 과정 - 재구조화 과정 통해 달성
※ controlled 처리가 계속 수행되다보면 automatic 처리로 넘어간다.
cf) 재구조화: 특정 과제 구성 요소들이 조합/통합 or 새로운 단위로 재조직됨으로써 예전의 단위를 대처하는 일련의 활동.
*focal attention : 한 방향으로만 주의 집중
peripheral 〃 : 여러 방향으로 주의 집중
▶Bialystok's Analysis/Automaticity Model ?
·명시적 언어 지식과 암시적 언어 지식의 구별이 핵심.
*명시적 언어 지식: 학습자가 2언어에 관해 지니는 사실이며, 인위적으로 조작 가능.
암시적 언어 지식: 언어 과제 수행時 자동적이고 동시적으로 사용되는 정보.
·1978년 Bialystok은 2언어 습득의 개념화를 위한 종래 그녀의 틀을 수정했다.
→ analysis와 automaticity가 상호 작용하는 2차원적 틀을 만듬.
· analysis 개념 - 정신적 표상들은 분석될 수 있는 것과 분석될 수 없는 것으로 구분.
분석될 수 없는 지식은 학습자가 자각하지 못한 채 알고있는 지식.
·automaticity개념- 신속하고 용이하게 회상 될 수 있는 언어 지식은 자동적.
회상 위해선 일정의 시간과 노력이 필요한 언어 지식은 비 자동적.
자동적 처리에는 통제가 거의 일어나지 않음.
cf)통제 :특정 문제의 해결점 도달 위해 투입되는 의도적 주의 집중
·시사점: 학습자는 언어항목 분석능력 정도뿐만 아니라, 언어자료 처리 시간 영향도 받음.
▶Variability Models ?
·'2언어 학습자 중간언어 능력에 나타나는 variability(변이형)설명 모형들.
·대표적 연구
① Elaine Tarone : 'capacity continuum paradigm'
-설명할 수 없는 듯한 변인들을 언어적·상황적 문맥을 통해 어느 정도까지 체계적으로 묘사할 수 있는지에 연구의 초점을 맞추었다.
ex) 1. "He must paid for the insurance." (과거)
2. "He must pay the parking fee." (현재)
→ 이처럼, 언어적(=개념적) 문맥을 통해 중간언어 변인을 설명할 수 있다.
※ 중간언어에 관한 최근 연구들은 교실 상황과 자연 상황의 불일치로 빚어진 중간언어 변인에 초점을 두고 있다. 이러한 연구 결과에 따르면, 교수가 2언어 학습자의 성공 비율을 향상시켜 줄뿐만 아니라, 교실 상황 또한 상당량의 학습자 산출 변인을 설명해준다.
② Rod Ellis ; 'variable competence'
- 중간언어 변인 설명 위해 계획된 담화와 비계획된 담화를 뚜렷이 구분하였다.
계획된 담화는 덜 자동적이기 때문에, 2언어 학습자들은 중간언어 규칙에 의존.
⇒시사점: 2언어 학습자의 언어 산출에는 일련의 체계가 존재한다.
▶The Believing and Doubting Games ?
·2언어 습득 연구에서는 believing game이 필요할 것이다.
▶From Theory to Practice ?
·지난 30년간 언어 교수 접근법의 특징
① 신중한 절충주의 ② 전통적 학문고찰 통해 언어/인간행동/교육학에 대한 통찰 가짐.
③ 2언어 습득에 대한 방대한 연구 ④ 언어 교수-학습의 정의적 측면에 관심.
▶Intuition : The Search for Relevance ?
·2언어 이론과 실제와의 관련성 맺기 : → 직관을 이용 !
·직관을 통해 최상의 2언어 학습 방법을 도출해 낼 수 있다.
→ 훌륭한 교사는 뛰어난 직관을 지닌다.
·직관을 기르는 방법 ?
① 이론의 본질적 기초를 내재화
② 지식과 경험간 시행착오를 통해 직관이 형성된다.
③ 위험을 무릎쓰는 자세 가짐.
추천자료
교육심리학의 이해 전장 정리
장애아 부모교육에 대한 심층적 논의[부모교육A형]
Waldorf 유아교육원리에 대한 고찰
구매관점에서본 통합적자원관리
사회복지실천의 관점-통합적 접근
언어의 이해를 읽고 줄거리 요약 및 감상문, 느낀점, 독후감, 나의 견해, 나의 소감, 시사점,...
[컴퓨터의이해-1학년공통] 1) 마이크로프로세서발전과정과 마이크로프로세서가 컴퓨터산업에 ...
화상환자의 이해 및 화상환자를 위한 프로그램
용인대 영상문화의 이해 중간,기말 시험 및 과제
[언어의 이해 E형] 인간 의사소통의 특징을 간략하게 서술하시오.
보육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과 보육교사로서 바람직한 역할
[언어의 이해 A형] 인간언어의 본질에 대해서 간략히 설명하시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