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단원명 : 자유창작
2. 단원 설정의 이유
3. 단원 학습목표
4. 단원 지도계획
2. 단원 설정의 이유
3. 단원 학습목표
4. 단원 지도계획
본문내용
완성된 작품은 개인적으로 가지고 나와 지도교사의 조언을 듣고 평가 받는다.
- 교사의 질문에 성실히 대답한다.
- 작품 제작 과정상 의문점은 항시 질문한다.
3. 작품을 제작하면서 교사의 훈화를 경청한다.
정리∧
5
분∨
1. 각자 주변을 정리하도록 지시한다.
2. 차시예고: 미술감상용 비디오 시청
1. 작품 제작에 따라 어지러진 주변을 정리한다.
2. 교사의 전달사항을 잘 들은 다음 종소리가 나면 나간다.
6. 지도상 유의사항
① 자유창작의 시기는 2학기가 좋고, 일년 내내 지정실기와 병행하여 시행하는 방법도 있으며, 저학년 보다는 고학년에서 자유창작의 비중을 높이는 것이 좋다.
② 자유창작 첫 시간에 자유창작 수업의 의의나 목적, 수업 진행방법과 평가 방 법 등에 대해 반드시 설명한다.
③ 학생이 자유로운 분위기에서 창작활동을 할 수 있도록 하고 충분한 시간과 공간을 제공하며, 학생이 자신의 욕구에 의해 어떠한 미술활동을 하여도 최소 한의 조건만 지키면 되도록 한다. 협동작품도 할 수 있도록 한다.
④ 명화나 미술서적, 학생작품 등의 자료를 미술실에 비치하여 수시로 찾아보고 작품구상에 도움이 되도록 한다.
⑤ 작품의 주제와 소재는 가까이서 찾도록 하고, 늘 생활 속에서 보고 듣고 느낀 점을 자유로이 작품화 할 수 있도록 유도한다.
⑥ 미술실에 찰흙, 찰흙판, 소조주걱, 고무망치, 붓, 자, 가위, 펜치, 목조용 조각 도, 수도시설, 도자기 가마, 작품 보관대, 멀티미디어, 미술서적, 앰프 등 최소 한의 설비, 도구 및 재료를 구비하고 학생의 요구에 부응한다.
⑦ 평가시 학생과 많은 대화를 하고 수용적 입장에서 격려와 칭찬을 겸한다. 작 품의 평가가 단순히 점수를 주는 것이라든가, 미술기법의 지도에 머물러서는 안되며, 작품을 매개로 학생의 정서적 발달과 행동변화에 영향을 줄 수 있도 록 대화에 각별히 신경을 써야 한다.
⑧ 평가시 좀 지나친 면이 있는 작품이라도 즉각적인 부정적 반응을 보이지 말 고, 왜 이러한 작품이 무가치한지 대화를 통하여 이해시킨다.
⑨ 작품의 소재나 내용, 형식면에서 같은 작품만 반복하지 말고 다양한 작품을 하도록 지도한다.
⑩ 매우 무능하거나 수동적이어서 자유창작 활동을 제대로 하지 못하는 학생에 게는 별도의 대책을 세운다.
※ 이상의 자유창작 수업지도안은 현재 대구 현풍여자중학교에 재직하고 계시는 박희탁 선생님의 연구논문 \'자유창작 수업\'(2000 한국교원대)을 참고하였습니다.
- 교사의 질문에 성실히 대답한다.
- 작품 제작 과정상 의문점은 항시 질문한다.
3. 작품을 제작하면서 교사의 훈화를 경청한다.
정리∧
5
분∨
1. 각자 주변을 정리하도록 지시한다.
2. 차시예고: 미술감상용 비디오 시청
1. 작품 제작에 따라 어지러진 주변을 정리한다.
2. 교사의 전달사항을 잘 들은 다음 종소리가 나면 나간다.
6. 지도상 유의사항
① 자유창작의 시기는 2학기가 좋고, 일년 내내 지정실기와 병행하여 시행하는 방법도 있으며, 저학년 보다는 고학년에서 자유창작의 비중을 높이는 것이 좋다.
② 자유창작 첫 시간에 자유창작 수업의 의의나 목적, 수업 진행방법과 평가 방 법 등에 대해 반드시 설명한다.
③ 학생이 자유로운 분위기에서 창작활동을 할 수 있도록 하고 충분한 시간과 공간을 제공하며, 학생이 자신의 욕구에 의해 어떠한 미술활동을 하여도 최소 한의 조건만 지키면 되도록 한다. 협동작품도 할 수 있도록 한다.
④ 명화나 미술서적, 학생작품 등의 자료를 미술실에 비치하여 수시로 찾아보고 작품구상에 도움이 되도록 한다.
⑤ 작품의 주제와 소재는 가까이서 찾도록 하고, 늘 생활 속에서 보고 듣고 느낀 점을 자유로이 작품화 할 수 있도록 유도한다.
⑥ 미술실에 찰흙, 찰흙판, 소조주걱, 고무망치, 붓, 자, 가위, 펜치, 목조용 조각 도, 수도시설, 도자기 가마, 작품 보관대, 멀티미디어, 미술서적, 앰프 등 최소 한의 설비, 도구 및 재료를 구비하고 학생의 요구에 부응한다.
⑦ 평가시 학생과 많은 대화를 하고 수용적 입장에서 격려와 칭찬을 겸한다. 작 품의 평가가 단순히 점수를 주는 것이라든가, 미술기법의 지도에 머물러서는 안되며, 작품을 매개로 학생의 정서적 발달과 행동변화에 영향을 줄 수 있도 록 대화에 각별히 신경을 써야 한다.
⑧ 평가시 좀 지나친 면이 있는 작품이라도 즉각적인 부정적 반응을 보이지 말 고, 왜 이러한 작품이 무가치한지 대화를 통하여 이해시킨다.
⑨ 작품의 소재나 내용, 형식면에서 같은 작품만 반복하지 말고 다양한 작품을 하도록 지도한다.
⑩ 매우 무능하거나 수동적이어서 자유창작 활동을 제대로 하지 못하는 학생에 게는 별도의 대책을 세운다.
※ 이상의 자유창작 수업지도안은 현재 대구 현풍여자중학교에 재직하고 계시는 박희탁 선생님의 연구논문 \'자유창작 수업\'(2000 한국교원대)을 참고하였습니다.
추천자료
특수학교 직업 교육과정의 장애학생 전환과정 지원요인 탐색연구 비교요약분석
'대한민국 사이버 신인류’를 읽고
얼짱문화, 나쁘게만 볼 것인가?
창의성 계발을 위한 사회 문화 조성 방안
제 7차 교육 과정
제7차 교육과정 - 교육과정기, 기념 및 기본방향, 국민 공통 기본교육과정, 수준별 교육과정
제8차 교육과정
미국과 영국의 ICT(정보통신기술)활용교육, 싱가폴과 호주의 ICT(정보통신기술)활용교육, 캐...
도덕과교육(수업, 학습)의 특성, 도덕과교육(수업, 학습)의 목적, 도덕과교육(수업, 학습)의 ...
우리나라 교육과정 변천과 시대적 상황과의 관련성
무상급식 도입배경 및 특징, 현황, 예산현황, 정책전략, 고용 근무실태, 문제점 및 원인분석,...
청년기 약물복용사례 (사례개요, ct의 발달사, 가족력, 사정, 청년기약물복용사례, 사례개입...
염상섭
중고등학교 수필 모음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