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탈북자들은 군비축소(15.7%), 평화협정 체결(9%)을 꼽았다.
통일에 대한 열망 남북한 모두 높아
또한 통일을 이루기 위해 선행해야 할 교류에 대해서도 남한주민들은 38.6%가 이산가족만남을 답변했고, 탈북자들은 56.2%가 경제협력을 우선적으로 꼽았다.
반면 이산가족만남은 탈북자들이 21.5%를, 경제협력은 남한주민들이 29.6%를 꼽았다.
통일에 대한 열망은 남북한 모두에게 매우 높게 나타났다. 탈북자의 경우 98.9%, 남한주민은 83.4%가 통일을 희망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통일을 희망하지 않는 비율은 남한주민의 14.6%에 이르렀으나, 탈북자들은 단 한명도 없었다.
통일이 됐을 때 혜택에 대해 탈북자들은 국가적으로 정치경제적 발전(87.9%)을, 개인적으로는 생활수준의 향상(44%)을 꼽았다. 반면 남한주민들은 국가적으로 정치경제적 발전(53.6%)을, 개인적으로는 전쟁공포로부터 해방(35.8%)를 꼽았다. 북한주민들이 잘 살게 될 것이란 기대감이 많음을 알 수 있다.
홍장기 기자
hjk30@naeil.com
Copyright 1999 Naeilshinmoon. All rights reserved.E-mail :
info@naeil.com
통일에 대한 열망 남북한 모두 높아
또한 통일을 이루기 위해 선행해야 할 교류에 대해서도 남한주민들은 38.6%가 이산가족만남을 답변했고, 탈북자들은 56.2%가 경제협력을 우선적으로 꼽았다.
반면 이산가족만남은 탈북자들이 21.5%를, 경제협력은 남한주민들이 29.6%를 꼽았다.
통일에 대한 열망은 남북한 모두에게 매우 높게 나타났다. 탈북자의 경우 98.9%, 남한주민은 83.4%가 통일을 희망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통일을 희망하지 않는 비율은 남한주민의 14.6%에 이르렀으나, 탈북자들은 단 한명도 없었다.
통일이 됐을 때 혜택에 대해 탈북자들은 국가적으로 정치경제적 발전(87.9%)을, 개인적으로는 생활수준의 향상(44%)을 꼽았다. 반면 남한주민들은 국가적으로 정치경제적 발전(53.6%)을, 개인적으로는 전쟁공포로부터 해방(35.8%)를 꼽았다. 북한주민들이 잘 살게 될 것이란 기대감이 많음을 알 수 있다.
홍장기 기자
hjk30@naeil.com
Copyright 1999 Naeilshinmoon. All rights reserved.E-mail :
info@naeil.com
추천자료
남북 경제협력의 현황과 전망 (남북경협 북한문제)
김대중 대통령과 노벨평화상
동북아시아 공동의 집을 읽고
한국의 대북한 외교의 현황과 문제점
[북한핵문제][북핵문제][한반도정책][대북정책][대남전략]북한핵문제(북핵문제)에 따른 한반...
[남북경협][남북경제협력]남북경협(남북경제협력)의 의미, 추진과정과 남북경협(남북경제협력...
[외교정책]김정일정권 하 북한 외교정책의 특징 및 평가
이명박 대북정책 조사
[남북통일정책][통일정책][남북통일][통일]통일의 의미, 남북통일 희망의 역사, 역대정권의 ...
남북관계와 북미관계의 상호의존
전두환 정부의 통일 정책 분석
『동북아 국제정세 변화와 통일에 대비한 한국 외교안보정책의 방향과 과제』
북한의 통일론에서의 민족 자주 평화의 개념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