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종문학분석) 메밀꽃 필 무렵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줄거리

2.어휘 및 구절 이해

3.작품 해제

4.작품 해설

5.작품 이해

본문내용

대표한다고 할 수 있다. 지은이는 그러기에 아이들의 나귀에 대한 놀림이나 '허 생원은 모르는 결에 낯이 뜨거워졌다.' 등의, 주막에서의 묘사를 통해 허 생원을 늙고 볼품없는 나귀의 몰골에 자주 비유하고 있는 것이다. 즉, 주인공 허 생원의 성격이나 작품상의 효과를 위해서 나귀의 과거 내력이나 초월(超越)적 운명과 함께, 그 형태상의 외모나 행동의 양상까지도 유사하게 설정했는데, 이는 소설의 예술성을 한껏 높이고 있다. 결국 양자 사이에는 깊은 공통점이 있게 되는데 정서적 융합까지 가능했기 때문에 서정적 정감을 더 한층 효과적으로 전달하고 소설의 주제를 이끌어가는데 중요한 역할을 담당한다. '나귀' 의 목 뒤 털과 눈곱 낀 젖은 눈은 바로 허 생원의 모습이고, 암나귀를 보고 발광하는 늙은 나귀의 행위는 충줏집을 찾아간 허 생원의 행위와 부합(符合)되며, 단 한 번의 일로써 강릉집 피마에게 새끼를 보게 한 나귀의 운명은 허 생원이 성 서방네 처녀와 단 하룻밤의 인연에서 동이를 얻게 된 것과 같다. 그런데 중요한 것은 이러한 허 생원과 나귀의 등식 관계가 단순한 묘사에만 머물러 있지 않고 주제와 결합하고 있다는 점이다. 다시 말해 원초적인 삶과 본능의 세계를 추구(追求)함으로써 자연과 인간의 합일점(合一點)을 발견하고 거기서 인간의 참된 모습을 찾으려는 이 작품의 기본적인 관념과 일치(一致)하고 있다 할 것이다.
■ "메밀꽃 필 무렵"의 배경
봉평 장터와 봉평에서 대화로 가는 길의 달빛과 메밀꽃 그리고 개울은 하나의 산수화를 연상시킨다. 따라서 공간적 배경은 자연과 인간의 친화 또는 조화를 의미하는 낭만적 공간이다. 시간적 배경은 현재의 시간에 허 생원의 과거와 동이와 그의 어머니의 과거가 삽입되고 거기에 다시 동이와 허 생원 그리고 조 선달의 미래가 중첩되어 나타나는 일상적 시간이다. 공간적 배경은 강원도 봉평 장터와 봉평에서 대화에 이르는 메밀꽃이 흐드러진 밤길. 메밀꽃 핀 개울가는 단순한 자연적 정경에 그치는 배경이 아니라, '인생의 인연'을 상징하여 작품 주제에 직접 관여하고 있다. 그리고, 메밀꽃 핀 산길의 달밤은 낭만적인 자연 배경으로, 허 생원의 옛이야기를 꺼내는 데 효과적이다. 이런 낭만적인 배경은 작품의 주제를 애수(哀愁)에 찬 그리움으로 이끌어 간다.
■ "메밀꽃 필 무렵"의 구성
작품의 시작 부분에서 발생한 허 생원과 동이 사이의 갈등이 해소되는 과정과 둘이 부자 사이임이 확인되는 과정이 동일 선상에서 진행되는 단일 구성이다. 허 생원이 봉평장과 대화로 가는 길에 겪은 일과 그가 회상한 과거의 일이 뒤섞여 나타난다. 그런데 두 개의 다른 사건이 존재하나 서로 유기적으로 결합되어 있는 단일 구성인 것이다.
■ "메밀꽃 필 무렵"의 표현
인간의 삶을 운명적으로 표현한 세 가지로서, 단 한번의 연애에 대한 추억과, 동행하는 '동이'가 아들이라는 생각과, 등장하는 세 인물들이 모두 불행하고 외로우며 가난하다는 것이다. 그리고 다양한 진술 방법을 사용하여 표현하고 있는데, 사건을 전개시키는 기본적인 진술 방법과, 메밀꽃이 피어 있는 밤길의 감각적인 묘사와, 사건의 전개 및 성격과 심리 등의 표출과, 허 생원의 과거 행적 등 서술자가 필요한 부분만 간추려 해설하고 있다. 덧붙여 표현상 특징으로는 애욕과 혈육에 얽힌 인간의 정과 그 신비성을 서정적인 필치로 그리고 있다는 것이고, 사실적인 배경 묘사는 소설 전체의 분위기를 지배한다고 할 수 있다. 또한 전체적 진행은 대화 중심으로 이루어지며, 암시와 추리 기법이 동원되고 있다. 아울러 문체에서도 간결한 대화와 사실적인 문체와 함께, 토착어와 순수한 우리말을 통해 토속적인 분위기를 자아내고 있으며, 한결 시적 분위기 연출하면서 사실적으로 묘사하고 있다.
■ '나귀'의 상징성
허 생원과 나귀가 장돌뱅이 20년의 생활을 함께 지냈다는 점, '가스러진 목덜미'나 '개진 젖은 눈' 등의 외모가 서로 닮았다는 점뿐만 아니라, 나귀가 암탕나귀를 보고 욕정을 부리며 발광하는 것이 허 생원이 충줏집을 대하는 태도와 일치하고 있다. 이것으로 보아 나귀는 허 생원과 불가분의 관계를 가진 동물로 허 생원의 상징적인 존재라고 볼 수 있다.
"메밀꽃 필 무렵"에는 주인공 '허 생원'과 함께 그와 정서적으로 융합하는 동물로 '나귀'를 상징적으로 등장시켜 이 소설의 예술성을 한껏 높이고 있다. 즉, 주인공 '허 생원'의 성격이나 작품상의 효과를 위해서, '나귀'의 과거 내력이나 초월적 운명과 함께, 그 형태상의 외모나 행동의 양상까지도 유사하게 설정된 것이 그것이다. 이리하여 양자 사이엔 공통점이 있게 되며, 정서적인 융합까지도 가능했기 때문에 서정적 정감을 더 한층 효과적으로 전달하고, 소설의 주제를 이끌어 가는 데 중요한 역할을 담당한다. '나귀'의 목 뒤 털과 눈곱 낀 젖은 눈은 바로 '허 생원'의 모습이요, 암나귀를 보고 발광한 늙은 '나귀'의 행위는 충줏집을 찾아간 '허 생원'의 행위와 부합되고, 단 한 번의 일로써 강릉집 피마에게 새끼를 보게 한 '나귀'의 운명은 '허 생원'이 성 서방네 처녀와 단 하룻밤의 인연에서 동이를 얻게 된 것과 같다. 그런데 중요한 것은 이러한 '허 생원'과 '나귀'의 등식 관계가 단순한 묘사 관계에 머물지 않고, 주제와 결합하고 있다는 점이다. 즉, 원초적인 삶과 본능의 세계를 추구함으로써 자연과 인간의 합일점을 발견하고, 거기서 인간의 참된 모습을 찾으려는 이 작품의 기본 관념과 일치하고 있다.
■ 문학사적 의의
이효석의 "메밀꽃 필 무렵"은 그의 다른 소설인 "돈"이나 "산" 그리고 "들"에서 볼 수 있는 향토색 짙은 서정성이 드러나 있다. 그런데, 앞의 작품들과 다른 점은 분명한 스토리를 가진 것이다. 허 생원이 봉평장을 떠나 대화로 가는 길에서 젊은 시절에 성서방네 처녀와 가진 정사를 생각하며 이야기를 하다가 동이가 성서방네 처녀가 낳은 자기 자식임을 확인하는 내용에 성서방네 처녀의 가출과 사생아의 출산, 그리고 동이의 가출 등이 에피소드 형식으로 첨가된다. 허 생원은 자연에 동화된 원시적인 인간의 삶을 살아간다. 자연의 일부가 되어 살아가는 그의 삶은 반사회적이고 반문명적인 성격을 지닌다.

키워드

  • 가격2,300
  • 페이지수12페이지
  • 등록일2002.06.19
  • 저작시기2002.0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9638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