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생물학적 요인
2. 가족 관련 요인
3. 사회·문화적 요인
4. 학교 요인
2. 가족 관련 요인
3. 사회·문화적 요인
4. 학교 요인
본문내용
사소통 기능 습득이라는 교육의 효과 외에도 문제행동 감소라는 2차적 효과를 가져올 수 있다.
사회 및 의사소통 기술 교육을 위해서는 아동의 동기를 높여주어 자발적으로 의사소통 하려는 기회를 부여하는 것이 중요하다. 근래에는 또래를 통하여 긍정적인 모델을 제공하고 모방의 기회를 증가시켜 장애아동의 의사소통 기술과 사회 기술을 향상시키는 또래중재, 자연스러운 상황에서 모방의 기회를 주어 자발적이고도 자연스럽게 기능을 습득시키려는 NLP(natural language paradigm), 그리고 장애 아동 스스로 상호작용의 주제를 선택하게 하여 상황에 적절한 주도성을 가지도록 도와주는 PRT(pivotal response training) 등이 정서장애 아동의 사회 및 의사소통 기술 교육에 많이 적용된다.
사회 및 의사소통 기술 교육을 위해서는 아동의 동기를 높여주어 자발적으로 의사소통 하려는 기회를 부여하는 것이 중요하다. 근래에는 또래를 통하여 긍정적인 모델을 제공하고 모방의 기회를 증가시켜 장애아동의 의사소통 기술과 사회 기술을 향상시키는 또래중재, 자연스러운 상황에서 모방의 기회를 주어 자발적이고도 자연스럽게 기능을 습득시키려는 NLP(natural language paradigm), 그리고 장애 아동 스스로 상호작용의 주제를 선택하게 하여 상황에 적절한 주도성을 가지도록 도와주는 PRT(pivotal response training) 등이 정서장애 아동의 사회 및 의사소통 기술 교육에 많이 적용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