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시대 교육 - 조선사회의 기본적 성격, 교육의 개관, 조선시대 관학, 사학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조선시대 교육 - 조선사회의 기본적 성격, 교육의 개관, 조선시대 관학, 사학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조선사회의 기본적인 성격
1) 정치 : 중앙집권적인 관료제도
2) 경제 : 농본주의 사회
3) 사회 : 신분사회
4) 문화 : 유교문화

2. 조선시대 교육의 개관

3. 조선시대 관학
1) 성균관
2) 향교
3) 4학(4부학당)
4) 종학
5) 잡과 교육

4. 조선시대의 사학
1) 서원
2) 서당

본문내용

서원의 특권화, 붕당화로 여러 가지 폐단
㉠ 모여서 잡담이나 하면서 유식 장화를 함
㉡ 양민이 서원의 원노(院奴)가 되어 군역을 도피함
㉢ 우민 위해 군림, 우민을 착취하는 종배양성
㉣ 정권에서 물러난 자, 과거에 낙방한 자들이 모여 불평 불만을 일삼아 행정 질서를 문란하게 하고 정권 다툼의 소굴이 됨
⑥ 서원 철폐 : 홍선 대원군(1871)에 의해 697개의 서원이 47개로 축소됨
2) 서당
(1) 성격
① 고려 시대에 설립하여 조선시대에 계승 발전한 사설 초등교육 기관
② 설립의 규제가 없었고, 기본 자산을 필요로 하지 않음
③ 마을에서 자치적으로 운영한 민주적 교육제도라 할 수 있음
(2) 교육 내용
① 강독(읽기) : 천자문, 동몽선습, 소학, 사서삼경, 통감
② 제술(글짓기) : 5·7언절구, 4율, 고풍18구시 작문(규모가 작은 서당은 제외)
③ 습자(쓰기) : 해서→행서→초서
(3) 교육과정
① 강독(읽기) : 천자문, 동몽선습, 소학, 사서삼경, 통감, 당송문, 당률
② 제술(글짓기) : 5·7언절구, 4율, 고풍18구시 작문(규모가 작은 서당은 제외)
③ 습자(쓰기) : 해서→행서→초서
(4) 교육 방법
① 개별 지도와 완전 암송(숙독, 백독)
② 강독의 순서 : 초학서를 놓고 한 자씩 가르치고, 음독(音讀)이 가능하면 구독(口讀)과 문리(文理)를 가르치고, 그 다음에 대의(大義)를 가르침
③ 학생들의 개인적 능력에 따라 진도가 서로 다르며, 반복 암송하여 문장을 혼자서 읽고 그 의미를 이해하는 것이 유일한 방법이었음
④ 교과의 진도는 훈장이 박문강독(博文講讀), 암송(暗誦), 문장해석(文章解釋)을 강(講 ; 평가)할 때 합격해야만 그 다음 내용으로 넘어가게 함
⑤ 계절에 따라 교육내용을 달리하는 방법을 사용
㉠ 여름에는 머리를 쓰지 않는 학습, 즉 시(詩)나 율(律)을 읽고 짓는 것을 많이 함
㉡ 봄과 가을에는 사기(史記)난 고문(古文) 간은 것을 읽음
㉢ 겨울에는 경서(經書)를 읽게 하고 때로는 머리를 쉬게 하며 학습하게 하는 놀이를 함
(5) 유형
① 훈장 자영서당
② 유지 독영서당
③ 유지 조합서당
④ 향촌 조합서당
⑤ 동족 조합서당
⑥ 관립서당
(6) 특징
① 경당을 계승한 민간의 초등교육 기관
② 조직은 훈장, 접장, 학도로 구성
㉠ 훈장 : 교육주체(학력은 일정치 않음)
㉡ 접장 : 우수한 학도의 교수보조자
㉢ 학도 : 7,8세, 15,6세 중심(20, 25세인 사람도 있었음)

키워드

조선시대,   교육,   관학,   사학,   성균관,   서원
  • 가격1,3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02.08.07
  • 저작시기2002.08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0081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