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강조. 바울서신, 요한문서. 요한에 있어서 진리 개념은 지성적 요소를 내포하지만 그 이상이다. 진리는 말씀, 생명, 삶, 인격이다. 인격화된 진리이다.
요한에서 빛은 (요1;4-5) 생명이다. 빛은 인식의 문제가 아니라 생명, 삶의 문제이다. 진리는 지적 요소를 포함하면서도 행함, 삶을 내포하고 있다. 깔뱅도 신앙을 신지식으로 정의. 성령이 단순히 지적 활동이 아니라 우리를 그리스도와 연합하게 하는 띠인것이 중요하다.
하나님의 영과 인간영 사이에 인식론적 요소가 있다. 성령의 이해를 주지주의적으로 하는것도 편향하면 인식론으로 기우는데 이것은 ㄱ. 한 개인을 추상적으로 상정하는 것이고 개인주의화 되기에 문제가 있는 것이다. ㄴ. 주지주의적 편향은 메마른 공상과 사변에 빠질 우려도 있다. 역동적 모습이 있지 않고 논쟁적 요소만이 있을 수 있다.
주의주의
1. 성령과 하나님의 의지
아우구스티누스의 심리학적 삼위일체에서 성령과 하나님의 자신의 의지가 나타남. 하나님의 삼위일체의 흔적을 vestigim trinitatis
memoria, intellectus, voluntas
이런 분위기에서 분위기는 성화론으로 간다. 중세로 들어가면서 주지주의로 간다. 의지보다 이성으로 본다.(아퀴나스)
13c DUNS SCOTUS->의지가 중요하다. 하나님 안에 두가지 생산 방식이 있다.
ㄱ. BY nature(본성에 의하여) - 필연적, 결정론적으로 성자가 나오고
ㄴ. by will(의지에 의하여) - 자유롭게 이루어진다. 성령이 나온다.
ㄱ은 지성적 요소를 가지고 있고 성자가 나온것은 본성적인것. ㄴ은 하나님의 의지로 자유롭게 나온다. 성령이 나온것은 자유로운 의지에 의해.
안셀름 이후 filioque를 주장하는 논리적 근거는 성자와 성령을 구분하는 것이었다. 원천에 있어서 반대관계가 있지 않으면 양자는 구분되지 않는다. 그러나 duns는 다르다. 생산방식이 다르다는 것이다.
Edwards 성부는 하나님이 단순한 존재이다. 성자는 하나님이 자신에 대해 가지는 관념 이해이다. 성자는 하나님의 자기지식이다. 성령은 하나님이 자신에 대한 이해를 사랑하는 사랑이다. 성자가 하나님의 지성이면 성령은 하나님의 의지이다.
##3 예정론
펠라기우스 - 성령의 역사와 자유개념의 논쟁. 인간이 구원을 얻는것은 우리가 하나님의 율법, 그리스도의 교훈을 따라 선행을 해야 한다. 자유는 선택의 능력이다. 인간이 악을 행하든지 선을 행하든지 선택할 수 있다.
아우구스티누스는 인간에게 자유가 있다. 이것은 무조건적 선택이 아니다. 인간의 의지가 외적인 강제없이 자기를 표현할 수 있는 것이 자유이다. 아무도 하나님의 능력에의해 강요하지 않는다. 그런데 타락이후 인간은 그 본성 자체가 부패했기에 아무도 강제하지 않지만 죄지을 수 밖에 없는데 자기를 표현하는데 악을 택할 수밖에 없다. 그러나 은총으로 새롭게 되면 선을 행하게 된다.
펠라기우스가 볼때 아우구스티누스는 결정론자이다. 어거스틴은 펠라기우스가 어떻게 절대 선택을 할 수 있느냐? 그것은 fiction이다.
요한에서 빛은 (요1;4-5) 생명이다. 빛은 인식의 문제가 아니라 생명, 삶의 문제이다. 진리는 지적 요소를 포함하면서도 행함, 삶을 내포하고 있다. 깔뱅도 신앙을 신지식으로 정의. 성령이 단순히 지적 활동이 아니라 우리를 그리스도와 연합하게 하는 띠인것이 중요하다.
하나님의 영과 인간영 사이에 인식론적 요소가 있다. 성령의 이해를 주지주의적으로 하는것도 편향하면 인식론으로 기우는데 이것은 ㄱ. 한 개인을 추상적으로 상정하는 것이고 개인주의화 되기에 문제가 있는 것이다. ㄴ. 주지주의적 편향은 메마른 공상과 사변에 빠질 우려도 있다. 역동적 모습이 있지 않고 논쟁적 요소만이 있을 수 있다.
주의주의
1. 성령과 하나님의 의지
아우구스티누스의 심리학적 삼위일체에서 성령과 하나님의 자신의 의지가 나타남. 하나님의 삼위일체의 흔적을 vestigim trinitatis
memoria, intellectus, voluntas
이런 분위기에서 분위기는 성화론으로 간다. 중세로 들어가면서 주지주의로 간다. 의지보다 이성으로 본다.(아퀴나스)
13c DUNS SCOTUS->의지가 중요하다. 하나님 안에 두가지 생산 방식이 있다.
ㄱ. BY nature(본성에 의하여) - 필연적, 결정론적으로 성자가 나오고
ㄴ. by will(의지에 의하여) - 자유롭게 이루어진다. 성령이 나온다.
ㄱ은 지성적 요소를 가지고 있고 성자가 나온것은 본성적인것. ㄴ은 하나님의 의지로 자유롭게 나온다. 성령이 나온것은 자유로운 의지에 의해.
안셀름 이후 filioque를 주장하는 논리적 근거는 성자와 성령을 구분하는 것이었다. 원천에 있어서 반대관계가 있지 않으면 양자는 구분되지 않는다. 그러나 duns는 다르다. 생산방식이 다르다는 것이다.
Edwards 성부는 하나님이 단순한 존재이다. 성자는 하나님이 자신에 대해 가지는 관념 이해이다. 성자는 하나님의 자기지식이다. 성령은 하나님이 자신에 대한 이해를 사랑하는 사랑이다. 성자가 하나님의 지성이면 성령은 하나님의 의지이다.
##3 예정론
펠라기우스 - 성령의 역사와 자유개념의 논쟁. 인간이 구원을 얻는것은 우리가 하나님의 율법, 그리스도의 교훈을 따라 선행을 해야 한다. 자유는 선택의 능력이다. 인간이 악을 행하든지 선을 행하든지 선택할 수 있다.
아우구스티누스는 인간에게 자유가 있다. 이것은 무조건적 선택이 아니다. 인간의 의지가 외적인 강제없이 자기를 표현할 수 있는 것이 자유이다. 아무도 하나님의 능력에의해 강요하지 않는다. 그런데 타락이후 인간은 그 본성 자체가 부패했기에 아무도 강제하지 않지만 죄지을 수 밖에 없는데 자기를 표현하는데 악을 택할 수밖에 없다. 그러나 은총으로 새롭게 되면 선을 행하게 된다.
펠라기우스가 볼때 아우구스티누스는 결정론자이다. 어거스틴은 펠라기우스가 어떻게 절대 선택을 할 수 있느냐? 그것은 fiction이다.
키워드
추천자료
주기도문 비교 분석
[칼빈][기독교 강요]칼빈의 기독교 강요(기독교 강요 집필동기와 목적, 기독교 강요 개정판의...
한국 개혁신학의 존 웨슬리 연구
[칼빈주의]칼빈주의에 관한 고찰(칼빈의 생애, 칼빈의 신학사상, 칼빈주의, 정통신학에 끼친 ...
역관사가의 문학세계
개혁신앙과 교회
종교다원주의에 대하여 개혁주의 입장에서 비판하라
삼위일체와 종교다원주의
[루터][루터의사상][루터의교육사상][루터의신학사상][루터의저술][루터의종교개혁]루터의 사...
기독교조직신학개론 요약
선지서 요약
성령강림주일의 기원 및 역사
밀라드 J 에릭슨의 <종말론>
[기독교 조직신학개론] 이해를 추구하는 신앙 _ 다니엘 L. 밀리오리 지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