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으로 집단간의 대립과 갈등과 조화를 불러 올 것이다. 그러므로 구조화되어가는 사회 속에서 개인단위로 하나님의 복음을 증거한다는 것은 힘에 부치는 일이 될 것이다. 그리스도의 교회는 하나의 몸으로서 구조화되어 이 세상을 향해 도전하고 세속사회 속에 하나님의 복음을 증거해야 할 것이다. 그러기 위해서 교회의 영성훈련 프로그램은 교회 전체를 하나의 몸으로 구조화시키는 훈련 프로그램을 포함해야 한다.
① 지도자는 교회 전체를 하나로 묶을 수 있는 성경에 기초한 비전을 제시해야 한다. 이 비전은 성도들 개인 개인속에 스며들 수 있는 강력한 것이어야 한다. 이 비젼은 그 교회가 나아가야 할 방향과 목표(상징적일 수 있으나)와 삶의 의미등을 제시할 수 있는 것이어야 한다. 교회 공동체 형성을 위한 영성훈련 프로그램은 비젼을 통해 분명한 목표와 방향을 교인들에게 제시하여 교인들을 함께 묶는 훈련을 해야 한다.
② 교회공동체는 구체적으로 내다볼 수 있는 목표를 정하여야 한다. 물론 이 목표는 미래에 달성할 수 있는 구체성을 가져야 할 뿐 아니라 성경적인 기초와 기독교 역사의 맥락에 일치해야 하며, 성도들의 경험에 근거하며, 문화정보의 지혜를 활용하는 것이어야 한다.
③ 교회공동체는 목표를 달성하는 데 적절한 규범을 만들어서 그 규범 속에서 실천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만들어야 한다. 규범은 교인 전체의 가치를 집약할 수 있는 것이어야 하나 획일성보다는 탄력성을 율법적인 강제보다는 복음적인 이해와 수용의 사랑을 더한 것이어야 한다.
④ 교회는 하나의 공동체로서 하나님의 사역을 이 땅 위에 실천할 수 있는 목표달성과정들을 만들어내어야 한다. 여기에는 자료수집, 목표설정, 전략수립, 예산, 평가, 성찰, 축제등의 구체적인 과정등르 포함한다. 영성훈련, 단순히 우리로 하나님의 뜻대로 살아야 한다는 결심을 만들어주는 것으로 끝나선 안된다. 그 뜻을 구체적으로 실천할 수 있는 과정들까지 훈련시켜야 한다.
⑤ 교회는 전교인들이 가지고 있는 자원들을 조직하여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해야 한다. 어느 한 개인이나 엘리트 집단이나 당회나 치리기관등이 가지고 있는 자원들뿐 아니라 전교인 한 사람 한 사람의 자원들을 모두 하나의 목표와 전략과 규범 아래 조직해서 사용할 수 있게 하는 것에까지 이르러야 기독교 영성은 하나님을 체험하는 신비적 영성 뿐 아니라 현장속에서 역사하시는 하나님의 구체적인 역사창조사역에도 동참할 수 있을 것이다.
① 지도자는 교회 전체를 하나로 묶을 수 있는 성경에 기초한 비전을 제시해야 한다. 이 비전은 성도들 개인 개인속에 스며들 수 있는 강력한 것이어야 한다. 이 비젼은 그 교회가 나아가야 할 방향과 목표(상징적일 수 있으나)와 삶의 의미등을 제시할 수 있는 것이어야 한다. 교회 공동체 형성을 위한 영성훈련 프로그램은 비젼을 통해 분명한 목표와 방향을 교인들에게 제시하여 교인들을 함께 묶는 훈련을 해야 한다.
② 교회공동체는 구체적으로 내다볼 수 있는 목표를 정하여야 한다. 물론 이 목표는 미래에 달성할 수 있는 구체성을 가져야 할 뿐 아니라 성경적인 기초와 기독교 역사의 맥락에 일치해야 하며, 성도들의 경험에 근거하며, 문화정보의 지혜를 활용하는 것이어야 한다.
③ 교회공동체는 목표를 달성하는 데 적절한 규범을 만들어서 그 규범 속에서 실천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만들어야 한다. 규범은 교인 전체의 가치를 집약할 수 있는 것이어야 하나 획일성보다는 탄력성을 율법적인 강제보다는 복음적인 이해와 수용의 사랑을 더한 것이어야 한다.
④ 교회는 하나의 공동체로서 하나님의 사역을 이 땅 위에 실천할 수 있는 목표달성과정들을 만들어내어야 한다. 여기에는 자료수집, 목표설정, 전략수립, 예산, 평가, 성찰, 축제등의 구체적인 과정등르 포함한다. 영성훈련, 단순히 우리로 하나님의 뜻대로 살아야 한다는 결심을 만들어주는 것으로 끝나선 안된다. 그 뜻을 구체적으로 실천할 수 있는 과정들까지 훈련시켜야 한다.
⑤ 교회는 전교인들이 가지고 있는 자원들을 조직하여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해야 한다. 어느 한 개인이나 엘리트 집단이나 당회나 치리기관등이 가지고 있는 자원들뿐 아니라 전교인 한 사람 한 사람의 자원들을 모두 하나의 목표와 전략과 규범 아래 조직해서 사용할 수 있게 하는 것에까지 이르러야 기독교 영성은 하나님을 체험하는 신비적 영성 뿐 아니라 현장속에서 역사하시는 하나님의 구체적인 역사창조사역에도 동참할 수 있을 것이다.
추천자료
사회기술의 개념과 정신치체의 사회기술 특성
[유아사회교육D형]유아의 사회적기술이 무엇인지 설명하고, 유아의 사회적기술을 유아교육기...
사회복지실천기술에서 종결유형에 따른 종결기술과 클라이언트의 종결 반응에 따른 종결기술...
[사회복지실천기술론 3공통] 잔여적 사회복지실천과 제도적 사회복지실천의 차이를 논의, 하...
지역사회복지 (지역사회복지개념, 재가복지서비스, 지역사회복지실천모델과기술, 지역사회복...
심리사회모델(사회복지실천모델, 사회복지실천기술, 심리사회모델적용, 심리사회모델기법)
[로스만] [사회복지실천기술론]로스만의 세 가지 모델(지역사회개발모델, 사회계획정책모델, ...
[사회복지실천기술론 공통] 잔여적 사회복지실천과 제도적 사회복지실천은 사회복지실천의 두...
사회복지실천기술론 잔여적 사회복지실천과 제도적 사회복지실천
사회복지실천기술론)심리사회모델을 사회복지실천 현장에서 클라이언트에게 적용함에 있어서 ...
사회복지실천기술(의사소통기술, 질문과 경청기술, 공감과 자기노출)
사회복지실천기술의 의사소통(언어적 의사소통과 비언어적 의사소통 의사소통을 방해하는 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