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I. 목록 발전의 시대구분
1) Dorothy May Norris의 시대별 구분
2) E. R. Hanson과 J. E. Daily의 시대구분
3) 피나케스 구분
II. 재산목록시대(기원전~1500년)
1) 점토판 목록
2) 피나케스(Pinakes)
3) Pergamon 도서관 목록
4) 칠략
5) 수도원도서관의 목록
B. 9세기~11세기
C. 11세기 이후
6) 15세기의 목록
III. 검색목록시대
1) Tritheim의 서지
2) Gesner의 세계서지
3) Treflerus의 목록법 manual
4) Maunsell의 영어판 간본목록
6) Bodleian 도서관 목록
7) Naude와 Dury의 제안
8) 18세기의 목록
1) Dorothy May Norris의 시대별 구분
2) E. R. Hanson과 J. E. Daily의 시대구분
3) 피나케스 구분
II. 재산목록시대(기원전~1500년)
1) 점토판 목록
2) 피나케스(Pinakes)
3) Pergamon 도서관 목록
4) 칠략
5) 수도원도서관의 목록
B. 9세기~11세기
C. 11세기 이후
6) 15세기의 목록
III. 검색목록시대
1) Tritheim의 서지
2) Gesner의 세계서지
3) Treflerus의 목록법 manual
4) Maunsell의 영어판 간본목록
6) Bodleian 도서관 목록
7) Naude와 Dury의 제안
8) 18세기의 목록
본문내용
이렇게 나타난 간략표제가 15세기 말 유럽 전역에 보급됨(이 후에 이 간략표제에 다시 인쇄자명, 간년, 간행지명 등이 가해짐)
-표제지의 출현은 검색목록의 시대의 도서정리와 그 내용에 급속한 변화를 가져오게 하고 기계목록의 시대적 발전에 새로운 기술(記述)의 통일을 가져오게도 함
6) Bodleian 도서관 목록
-Bodleian 도서관은 현재 Oxford 대학 도서관의 전신으로 Bodley에 의해 목록 편찬 및 도서관 봉사에 대한 인식이 높아지게 됨
-이 도서관의 목록은 모두 7개가 발간되었는데 이 중 대표적인 몇 가지만 이야기하면 1605년 발간된 최초 인쇄책자 목록(유럽 최초의 일반적인 인쇄목록), 1620년의 목록, 1674년에 발간된 목록이 있음. 이들 목록에서 가장 주시할 만한 특징은 저자명에 의한 기본기입의 개념을 명확히 했다는 것임
-전체적인 형식을 보면 저자명(자연어순), 표제(간략서명), 출판지, 출판년, 판형, 서가번호를 기술하였다는 것이며, 16세기의 가장 대표적인 목록으로 중세의 재산목록에서 열람을 위한 목록으로 변혁하는 선구적 역할을 한 목록이기도 함.
-이 목록은 후에 Dewey의 십진분류법의 창안에 크게 영향을 미쳤고 오늘날 서양목록학에서 채용하고 있는 저자명기본기입의 근원이 되기도 함
7) Naude와 Dury의 제안
① Gabriel Naude의 제안
-자료의 공개에 대한 그의 사상은 전 인류의 문화재가 보존되어야 한다는 것은 당연히 모든 사람을 위한 시설이 되어야 하기 때문에 개인의 도서소유로 인한 이용의 불편이 없도록 사립 도서관의 설립을 억제해야 한다는 것이었음
-체계적인 자료정리를 위해 분류법을 만들고 검색도구로서 목록의 중요성을 강조하였으며 주제목록의 비치를 권장함. 또한 개가제, 관외대출, 정보봉사의 중요성을 역설하기도 하였음
-목록에 대한 주장을 소개하면 첫째, 새롭게 도서관을 설립할 때는 우선 다른 도서관의 것을 참조하는 것이 최초에 생각해야 할 방책이며, 둘째, 목록에는 그 도서관에 어떤 잘가 있고 그것은 언제 어디서 출판되었는가, 어떤 형태이며 크기는 얼마인지 등이 확실히 기재되어야 하며, 셋째, 새로운 도서관에는 될 수 있는 한 많은 다른 도서관의 목록을 입수해서 독자가 요구하는 도서가 혹시 그 도서관에 없어도 그것이 다른 도서관에 소장되어 있는가를 조사해서 독자에게 전해야 한다는 세 가지를 이야기하고 있음
-Naude는 목록이 서지통정의 중요한 도구로 도서관에 반드시 비치해야 한다는 것을 기본적인 사항으로 분명히 하고 있음
② John Dury의 제안
-목록에 대한 제안만 소개하자면 첫째, 매년 계속 증가되는 장서에 대한 목록의 유지방법으로 수고목록을 작성하여 그 증가를 맞추어 나가야 하며 적어도 3년마다 보유판으로 인쇄책자 목록을 간행해야 하며(목록정보의 신속한 제공을 위해 중요함), 둘째, 목록의 대상이 되는 자료의 범위를 한정해야 한다는 것이었음
-또한 자료의 양적인 팽창에 대비하여 목록의 유지에 관한 문제를 해소하는 방법으로 선택적 목록작업을 제안함. 이런 생각은 훨씬 후에 미국의 의회도서관이 제정한 제한목록작업에서도 나타나고 있음
8) 18세기의 목록
-18세기 출판물의 특색은 백과 사전적인 저술활동이 많았다는 것으로, 목록의 발전에 기초를 다지는 목록의 정착시대였으며 전후세대에 비해 비교적 특색이 결여된 목록시대임
① French Code
-French Code는 France혁명에 의해 나타난 도서관에 관한 소산물로 장서를 행정당국에 등록하기 위한 목록작성의 지시서를 가리킴. 이 지시서는 서지정보의 목록절차, 목록기술법, 서지편성법에 관한 수속과 그 순서기 기록되어 있음
-French Code에 의한 목록정보는 각 수도원에서 작성된 목록을 각 지역의 행정당국이 모야 Paris로 보내어 수집된 것으로 목록규칙이라기 보다는 France 국내의 종합목록작성을 위한 작업 manual로서 지시였기 때문에 규칙적인 측면에서는 최초라고 할 수 없지만 목록작업의 공동화라고 하는 새로운 측면을 목록법의 요건으로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높이 평가됨
② Harvard 목록
-이 목록은 알파벳순 분류목록의 구성을 특색으로 하고 있으며 주제를 64개 부문으로 나누어 이것을 제 1의 배열기준으로 하고 각각의 주제 아래에 제 2의 배열을 알파벳순으로 배열한 목록
-즉 처음에 큰 주제로 분류하고 다음에 세구분을 음순으로 병행하는 방법으로서 이 방법은 1809년 Baltimore 시의 도서관 목록으로 채택되었으며 후에 계속 보급됨
-표제지의 출현은 검색목록의 시대의 도서정리와 그 내용에 급속한 변화를 가져오게 하고 기계목록의 시대적 발전에 새로운 기술(記述)의 통일을 가져오게도 함
6) Bodleian 도서관 목록
-Bodleian 도서관은 현재 Oxford 대학 도서관의 전신으로 Bodley에 의해 목록 편찬 및 도서관 봉사에 대한 인식이 높아지게 됨
-이 도서관의 목록은 모두 7개가 발간되었는데 이 중 대표적인 몇 가지만 이야기하면 1605년 발간된 최초 인쇄책자 목록(유럽 최초의 일반적인 인쇄목록), 1620년의 목록, 1674년에 발간된 목록이 있음. 이들 목록에서 가장 주시할 만한 특징은 저자명에 의한 기본기입의 개념을 명확히 했다는 것임
-전체적인 형식을 보면 저자명(자연어순), 표제(간략서명), 출판지, 출판년, 판형, 서가번호를 기술하였다는 것이며, 16세기의 가장 대표적인 목록으로 중세의 재산목록에서 열람을 위한 목록으로 변혁하는 선구적 역할을 한 목록이기도 함.
-이 목록은 후에 Dewey의 십진분류법의 창안에 크게 영향을 미쳤고 오늘날 서양목록학에서 채용하고 있는 저자명기본기입의 근원이 되기도 함
7) Naude와 Dury의 제안
① Gabriel Naude의 제안
-자료의 공개에 대한 그의 사상은 전 인류의 문화재가 보존되어야 한다는 것은 당연히 모든 사람을 위한 시설이 되어야 하기 때문에 개인의 도서소유로 인한 이용의 불편이 없도록 사립 도서관의 설립을 억제해야 한다는 것이었음
-체계적인 자료정리를 위해 분류법을 만들고 검색도구로서 목록의 중요성을 강조하였으며 주제목록의 비치를 권장함. 또한 개가제, 관외대출, 정보봉사의 중요성을 역설하기도 하였음
-목록에 대한 주장을 소개하면 첫째, 새롭게 도서관을 설립할 때는 우선 다른 도서관의 것을 참조하는 것이 최초에 생각해야 할 방책이며, 둘째, 목록에는 그 도서관에 어떤 잘가 있고 그것은 언제 어디서 출판되었는가, 어떤 형태이며 크기는 얼마인지 등이 확실히 기재되어야 하며, 셋째, 새로운 도서관에는 될 수 있는 한 많은 다른 도서관의 목록을 입수해서 독자가 요구하는 도서가 혹시 그 도서관에 없어도 그것이 다른 도서관에 소장되어 있는가를 조사해서 독자에게 전해야 한다는 세 가지를 이야기하고 있음
-Naude는 목록이 서지통정의 중요한 도구로 도서관에 반드시 비치해야 한다는 것을 기본적인 사항으로 분명히 하고 있음
② John Dury의 제안
-목록에 대한 제안만 소개하자면 첫째, 매년 계속 증가되는 장서에 대한 목록의 유지방법으로 수고목록을 작성하여 그 증가를 맞추어 나가야 하며 적어도 3년마다 보유판으로 인쇄책자 목록을 간행해야 하며(목록정보의 신속한 제공을 위해 중요함), 둘째, 목록의 대상이 되는 자료의 범위를 한정해야 한다는 것이었음
-또한 자료의 양적인 팽창에 대비하여 목록의 유지에 관한 문제를 해소하는 방법으로 선택적 목록작업을 제안함. 이런 생각은 훨씬 후에 미국의 의회도서관이 제정한 제한목록작업에서도 나타나고 있음
8) 18세기의 목록
-18세기 출판물의 특색은 백과 사전적인 저술활동이 많았다는 것으로, 목록의 발전에 기초를 다지는 목록의 정착시대였으며 전후세대에 비해 비교적 특색이 결여된 목록시대임
① French Code
-French Code는 France혁명에 의해 나타난 도서관에 관한 소산물로 장서를 행정당국에 등록하기 위한 목록작성의 지시서를 가리킴. 이 지시서는 서지정보의 목록절차, 목록기술법, 서지편성법에 관한 수속과 그 순서기 기록되어 있음
-French Code에 의한 목록정보는 각 수도원에서 작성된 목록을 각 지역의 행정당국이 모야 Paris로 보내어 수집된 것으로 목록규칙이라기 보다는 France 국내의 종합목록작성을 위한 작업 manual로서 지시였기 때문에 규칙적인 측면에서는 최초라고 할 수 없지만 목록작업의 공동화라고 하는 새로운 측면을 목록법의 요건으로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높이 평가됨
② Harvard 목록
-이 목록은 알파벳순 분류목록의 구성을 특색으로 하고 있으며 주제를 64개 부문으로 나누어 이것을 제 1의 배열기준으로 하고 각각의 주제 아래에 제 2의 배열을 알파벳순으로 배열한 목록
-즉 처음에 큰 주제로 분류하고 다음에 세구분을 음순으로 병행하는 방법으로서 이 방법은 1809년 Baltimore 시의 도서관 목록으로 채택되었으며 후에 계속 보급됨
추천자료
첨단정보와 정보조사제공학의 이해
최인호 문학의 순수성과 대중성
인사서지(교육학관련분야 2차 3차 자료에 대한 해제)
갈등관리에 관한 연구
융의 분석심리학
온라인게임과 사이버범죄에 관한 총정리
성공하는 기업들의 8가지 습관 독후감
우리나라 도서관 전산화 프로그램의 서비스 및 고객만족도 분석
[인터넷내용등급제][인터넷][내용등급제]인터넷내용등급제의 등장배경, 인터넷내용등급제의 ...
갈등관리에 관한 연구
장애인의 이동권
동의과학대학교평생교육원)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중간고사 강의교안
[물리학 및 실험] (결과보고서) 에너지 트랜스퍼 (ENERGY TRANSFER).ppt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