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덕과 서술식 수행평가 문항개발을 위한 이론연구
본 자료는 7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해당 자료는 7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7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도덕과 서술식 수행평가 문항개발을 위한 이론연구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수행평가란 무엇인가?
1. 수행평가의 실태
2. 수행평가 발생 배경

Ⅱ. 도덕과의 참평가로서의 수행평가

Ⅲ. 서술식 평가란 무엇인가

Ⅳ. 고등 사고 기능과 그 환경 구축

Ⅴ. 도덕적으로 사고하기

Ⅵ. 서술식 평가의 실제

Ⅶ. 한계 및 제안

참 고 문 헌

****요약
도덕과의 서술식 수행평가 문항개발을 위한 이론 연구를 위해서는, 먼저 참평가로서의 수행평가 되기 위한 조건들을 살펴보고, 다음으로 도덕과에서 필요한 수행평가와 그것을 바탕으로 서술식평가의 의의를 살펴보게 될 것이다. 이런 이론적 바탕으로 고등사고 기능을 위한 도덕적으로 사고할 수 있는 조건들을 아울러 살펴볼 것이다.
이상의 이론을 바탕으로 도덕과 서술식 평가의 실제운용에 대해서 간략하게 살펴볼 것이다.

**한글97

본문내용

째, 예를 들어 이번 학기에 다루게 될 가치 규범을 \'질서\'라고 한다면 질서에 관련된 일기를 일주일에 한 번 혹은 두 번 기록하게 한다. 교사가 그 일기를 보고 코멘트를 해 주고 학부모가 거기에 다시 코멘트를 해주게 되면 학교와 가정간의 연계가 자연스럽게 이루어진다. 이런 작업을 한 학기 동안 계속하게 되면 학생의 \'질서\'에 대한 인식, 태도 변화 그리고 실천 등을 한 눈에 살펴 볼 수 있게되고 \'질서\'의 가치 규범이 어떻게 발달 성장하고 있는지를 확인 할 수 있다.
넷째, 교사와 학부모의 코멘트를 바탕으로 이 주간에 실천해야 할 사항을 본인의 일기장에 기록해 두면서 실천을 결의할 수 있다. 실천여부에 대해서 자기 자신이 평가를 할 수 있다.
③ 활동의 효과 및 유의점
첫째, 일기라는 것이 자신의 생활을 반성한다는 차원에서 그 본질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자신의 삶의 반성과 더불어 도덕적 행위에 대한 반성을 할 수 있으므로 도덕적 규범을 인식하고 이해하는 것뿐만 아니라 습관화 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해 줄 수 있다. 그러나 한 학기 동안 지속되기 때문에 자칫 타성에 빠져 버릴 가능성이 없지 않다. 그래서 교사나 학부모의 적극적인 관찰이 무엇보다 필요하다.
둘째, 한 가치 가치 규범을 이해할 경우 유사한 도덕적 사태가 발생할 경우, 그 문제 사태를 정확하게 잘 파악할 수 있기 때문에, 이를 토대로 문제 해결에 이르는 사고 과정과 의사결정이 도덕 원리에 적합할 경우에는 높은 수준의 도덕적 사고력과 판단력을 가지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도덕적 이성의 발달과 아울러 다른 사람의 입장에 대해 공감을 잘 하게 되면 도덕적 감정이 성숙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일기가 검사를 맡기 위한 것이 되어 버린다면, 그리고 타의에 의해 강압적으로 쓰여지게 된다면 자신의 본래 심정을 속이는 것이 될 수 있기 때문에 자율적인 분위기를 만들어 주는 역할도 아울러 중요한 요인이 되어야 한다.
셋째, 일기가 포트폴리오의 형식으로 기록이 되어 있기 때문에 학기말에 자신의 지나 온 행동에 대해서 자신을 반성할 수 있는 기회가 되고, 친구나 학부모에 공개할 수 있는 기회를 가진다면 한학기 동안 경험해 온 규범에 대해서 자신있게 공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도덕성의 발달 과정을 한 눈에 볼 수 있는 장점을 가질 수 있어, 평가가 수업 혹은 학습 과정 속에서 자연스럽게 일어나는 것을 볼 수 있다. 그러나 공개를 하게 될 경우 학생 개개인의 개인차를 인정하지 않고 비교 혹은 분류로서의 평가로 흐를 수 있다는 단점도 있다. 이 점만 유의한다면 참평가로서의 수행평가의 본질을 잘 살릴 수 있을 것이다.
Ⅶ. 한계 및 제안
수행평가가 이 땅에 정착되기 위해서는 그리고 진정한 평가가 되기 위해서는 단순히 피상적인 방법론적인 문제에서 벗어나야 할 것이다. 이 땅에 수행평가의 필요성이 외부에 의해 주어진다면 그것은 이 땅의 교육의 문제, 평가의 문제점들을 정확하게 진단하지 못한 것이라 할 수 있다. 이런 관점에서 본다면 본 연구 역시 우리 나라의 교육현장과 평가의 현실을 정확하게 꿰뚫고 있지 못하고 있다는 점에서는 전적으로 본 연구자의 무지의 소치라는 점에서는 솔직히 시인하는 바이다.
더구나 서술식 수행평가의 문항을 개발한다는 것 자체가 처음부터 불가능한 작업일는지 모른다. 참평가로서의 수행평가의 본질을 근거로 해 볼 때 문항을 개발하고 평가 기준을 마련하는 것 등이 어쩐지 그 본질에서 벗어나 있다는 생각을 감출 수 없었기 때문이다.
아무리 좋은 이론이라 할지라도 그 이론이 적용될 수 있는 여건이나 토대가 형성되어 있지 못한다면 그것은 공허한 말 잔치에 끝나버릴 가능성이 크다. 본 연구 역시 이론적 천착에 머물고 있다는 점에서는 솔직히 시인하는 바이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교육 현장을 꿰뚫어 볼 수 있는 눈이 필요할 것이다. 그것은 문헌 연구나 간접 연구 혹은 양적 연구 등으로는 불가능한 작업이다. 이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현장의 생생함을 직접 체험하고 관찰하고 연구할 수 있는 질적 연구의 분위기가 함께 형성되어야 한다는 필요성이 더욱 절실하다.
참 고 문 헌
Blum, R.E., Arter, J.A (eds)(1996), A Handbook for Student Performance Assessment in an Era of Reconstructing, Library of Congress Cataloging-in-Publication Data
Glaser, R.(1990), Testing and Assessment, Pittsburgh, PA: Learning Reserach and Development Center, University of Pittsburgh.
Henning-Stout, M.R, (1994), Responsive Asessessment: A New Way of Thingking about Learning. San Frncisco: Jossey-Bass Inc., Publishers.
Mitchell, R. (1992). Testing for Learning: How New Approaches to Evaluation Can Improve American Schools. New York: The Free Press.
Steffe, L.P. & Gale, J. (eds)(1995). Constructivism in Education. Hillsdale, NJ:Lawrence Erlbaum Associates Publishers.
남궁달화(2000) 도덕교육과 수행평가, 서울: 교육과학사
리코나(1997, 박장호, 추병완 옮김), 인격 교육론, 서울: 백의
변홍규(1996) 질문제시의 기법, 서울: 교육과학사
석문주 외,(1997) 학습을 위한 수행평가, 서울: 교육과학사
이영문(1999) 도덕과 교육, 서울: 형설출판사
이종일(1996) 수행평가의 실제: 포트폴리오를 중심으로, 대구교육대학교 초등교육논총 제8집
이초식(1996) 논리교육, 서울: 대한교과서
휨비, 록헤드(1993, 박민규, 남철우, 서규선, 심규장 옮김), 논리적 문제해결과 이해, 서울: 철학과 현실사

키워드

  • 가격3,300
  • 페이지수21페이지
  • 등록일2002.12.11
  • 저작시기2002.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1514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