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
44
-
45
목차
1부 서문
■ 인식의 위기(Crisis of Perception)
■ 패러다임의 이동(Paradigm shift)
■ 심층 생태학
■ 사회 생태학(Social Ecology)과 생태여성주의(Ecofeminism)
■ 새로운 가치관
■ 윤리
■ 물리학에서 생명과학으로..
2 부 시스템적 사고의 등장
■ 실질(substance)과 형태(form)
■ 데카르트적 기계주의(Cartesian Mechanism)
■ 낭만주의 운동(Romantic Movement)
■ 19세기의 기계주의
■ 생기론(Vitalism)
■ 유기체주의 생물학
■ 시스템적 사고
■ 양자 역학
■ 게스탈트 심리학(Gestalt Psychology)
■ 생태학(Ecology)
3장. 시스템 이론
■ 시스템적 사고의 사상적 기준(criteria)
■ 과정 사고(Processing Thinking)
■ Tektology
2. 로버트 파크의 인간생태학 이론
- 황희연, 충북대학교 도시공학과 교수 -
■ 사상적 배경
■ 인간생태학의 등장
■ 인간사회와 인간생태학의 개념
■ 물리적 이동과 경쟁의 개념
3. 피터 손더스의 도시사회학
- 조명래, 단국대학교 지역개발학과 교수-
■ 근대도시사회학의 패러다임 분석
■ 비공간적 도시사회학 논쟁
■ 소비의 사회학 제창
■ 공간의 자율성에 대한 인식 결여
4. 생태여성론이란 무엇인가?
문순홍 (카톨릭대학교 강사)
■ 개념의 등장
■ 에코페미니즘의 분화
■ 근본생태론과 급진적 여성해방론의 결합 :문화공간
■ 사회생태론과 급진적 여성해방론간 결합:신 구 정치공간
■ 사회주의와 에코페미니즘간 접합:생산공간 및 국가의 활용
■ 인식의 위기(Crisis of Perception)
■ 패러다임의 이동(Paradigm shift)
■ 심층 생태학
■ 사회 생태학(Social Ecology)과 생태여성주의(Ecofeminism)
■ 새로운 가치관
■ 윤리
■ 물리학에서 생명과학으로..
2 부 시스템적 사고의 등장
■ 실질(substance)과 형태(form)
■ 데카르트적 기계주의(Cartesian Mechanism)
■ 낭만주의 운동(Romantic Movement)
■ 19세기의 기계주의
■ 생기론(Vitalism)
■ 유기체주의 생물학
■ 시스템적 사고
■ 양자 역학
■ 게스탈트 심리학(Gestalt Psychology)
■ 생태학(Ecology)
3장. 시스템 이론
■ 시스템적 사고의 사상적 기준(criteria)
■ 과정 사고(Processing Thinking)
■ Tektology
2. 로버트 파크의 인간생태학 이론
- 황희연, 충북대학교 도시공학과 교수 -
■ 사상적 배경
■ 인간생태학의 등장
■ 인간사회와 인간생태학의 개념
■ 물리적 이동과 경쟁의 개념
3. 피터 손더스의 도시사회학
- 조명래, 단국대학교 지역개발학과 교수-
■ 근대도시사회학의 패러다임 분석
■ 비공간적 도시사회학 논쟁
■ 소비의 사회학 제창
■ 공간의 자율성에 대한 인식 결여
4. 생태여성론이란 무엇인가?
문순홍 (카톨릭대학교 강사)
■ 개념의 등장
■ 에코페미니즘의 분화
■ 근본생태론과 급진적 여성해방론의 결합 :문화공간
■ 사회생태론과 급진적 여성해방론간 결합:신 구 정치공간
■ 사회주의와 에코페미니즘간 접합:생산공간 및 국가의 활용
본문내용
장벽을 궁극적으로 깨지 못한다면, 사회주의적 에코페미니즘이라는 혁명적 이론(실천)은 구축될 수없다. 사실 멜러(Mellor,1992)는 에코페미니즘과 사회주의적 페미니즘간 결합이 그리 쉽게 이루어질 수없다고 지적한다. 전자는 페미니즘에 의존하고, 후자는 사회주의에 의존하는데, 에코페미니즘은 뉴에이지 운동가로부터 사회주의사상가로 자신의 영역을 넓히고 있으며, 생태사회주의자들은 마르크스주의자들로부터 무정부주의자들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스펙트럼을 포괄한다. 여하튼 이들간 결합을 위한 시도는 궁극적으로 아무런 결실도 맺을 수없을지도 모른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논쟁은 에코페미니스트들에게 사회주의적 여성운동이 초점을 맞추고 있던 영역 즉, 생산과 국가란 공간을 열어 주었다.
■ 에코페미니즘의 적소와 3중 과정론―적소(Niche)란 생태학에서 등장하는 용어이다. 이 곳에서는 특정 이론이 자생적으로 등장할 수 있고 가장 번식력이 강한 사회영역을 지칭한다.―
결론적으로 에코페미니즘은 자연과의 관계에서 자연과 인간을 재발견해내는 운동이며, 인간으로서의 여성과 남성을 재발견해내는 운동이다. 이러한 재발견의 실천영역은 기존제도의 공간과 비제도화된 공간으로 나뉠 수있고, 제도화된 영역 내에는 다시 경제영역과 민주주의제도란 정치공간이 존재한다. 따라서 에코페미니즘의 논의는 三重고리를 동시적으로 풀어야 한다:남성과 인간중심적 영역으로 간주된 제도 공간에의 여성 및 자연, 경제공간에의 여성 및 자연, 친생태적 지역사회 건설의 또 하나의 주체로서의 여성회복. 에코페미니즘은 이 세가지 고리들 중 어느 것도 소홀히 할 수없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에코페미니즘의 적소 확대는 더불어 살아가는 문화의 회복과 스스로 다스릴 수있는 능력의 회복에 달려 있다.
참고문헌
Adams,C.J.(1993),Ecofeminism and the Scared(N.Y.:Contiuum)
Agarwal, Bina(1992), "The Gender and Environment Debate:Lessons from India,"Feminist Studies(18-1)
Biel, Janet(1991),Rethinking Ecofeminist Politik(Boston:South End Press)
Daly, Mary(1978), Gyn and Ecology(Boston:Beacon Pr.)
Diamond, Irene/Gloria Orenstein(1990),Reweaving the World:the Emergence of Ecofeminism(San Francisco:Sierra Book)
Hilde Hein(1993), "En/Gendering Environmental Thinking, CNS(4-2)
Kuletz, Varie(1992), "Eco-Feminist Philosopy:Interview with Barbara Holland-Cunz," CNS(3-2)
Mellor, Mary(1992), "Eco-feminism and Eco-socialism," CNS(3-2)
Merchant, Carolyn(1980),The Death of Nature(San Francisco:Haper and Row)
(1990),"Ecofeminism and Feminist Theory," Diamond(1990)
(1992), Radical Ecology(London:Routledge)
Morris, Brian(1993)," Review :Mary Mellor,Breaking the Boundary", CNS(4-2)
Ortner, Sherry B.(1974), "Is Femeale to male as Nature is to Culture?" M.Rosaldo/L.Lamphere, Women, Culture and Society (CA:Stanford Uni. Pr.)
Plumwood, Val(1993),Feminism and the Mastery of Nature(N.Y.:Routledge)
Rae, Eleanor(1994),Women, the Earth and the Divine(N.Y.:Orbis Book)
Ruether, Rosemary Radford(1993), "Ecofeminism:Symbolic and Social Connections of the Oppression of Women and the Domination of Nation",Adams 1993
Shiva, Vanda(1988),Staying Alive:Women, Ecology and Development(London:Zed Book) /Mies, Maria(1994),Ecofeminism(London:Zed Book)
Soper, Kate(1992), "Eco-Feminism and Eco-Socialism:Dillemmas of Essentialism and Materialism," CNS(3-3)
Warren, Karen(1991), "Ecological Feminism",Special Issue of Hypatia,6-1.
문순홍(1992), {생태위기와 녹색의 대안}(서울:나라사랑)
(1994a), [서구의 새로운 여성운동] ; 최종욱외 공저,{현대의 위기와 새로운 사회운동}(서울:문원)
(1994b), [성과 '환경' 그 결합의 현실과 이론들], 대구 푸른 평화운동본부, {생태와 여성}(비정기 간행물)
(1994c),[에코페미니즘의 현황과 여성정치세력화에 주는 함의],대화 3호.
(1994d), [생태윤리와 한국 종교단체들의 환경운동], {현상과 인식}(63)
한국여성개발원(1993),{환경과 여성의 역할}
⇒ 싸이트 소개
요런것두 도움이 될까해서 몇 개 적었습니다..
완벽히 정리해 드림 좋은데 죄송하네요,, 많은 도움 되시길,,,
1. 생태학의 문화적 배경에 관한 역사적 고찰과 환경문제
http://bric.postech.ac.kr/webzine/content/review/bioethics/2001/Dec/12.html
2. 인간과 자연
http://www.greencosmos.or.kr/27.htm
■ 에코페미니즘의 적소와 3중 과정론―적소(Niche)란 생태학에서 등장하는 용어이다. 이 곳에서는 특정 이론이 자생적으로 등장할 수 있고 가장 번식력이 강한 사회영역을 지칭한다.―
결론적으로 에코페미니즘은 자연과의 관계에서 자연과 인간을 재발견해내는 운동이며, 인간으로서의 여성과 남성을 재발견해내는 운동이다. 이러한 재발견의 실천영역은 기존제도의 공간과 비제도화된 공간으로 나뉠 수있고, 제도화된 영역 내에는 다시 경제영역과 민주주의제도란 정치공간이 존재한다. 따라서 에코페미니즘의 논의는 三重고리를 동시적으로 풀어야 한다:남성과 인간중심적 영역으로 간주된 제도 공간에의 여성 및 자연, 경제공간에의 여성 및 자연, 친생태적 지역사회 건설의 또 하나의 주체로서의 여성회복. 에코페미니즘은 이 세가지 고리들 중 어느 것도 소홀히 할 수없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에코페미니즘의 적소 확대는 더불어 살아가는 문화의 회복과 스스로 다스릴 수있는 능력의 회복에 달려 있다.
참고문헌
Adams,C.J.(1993),Ecofeminism and the Scared(N.Y.:Contiuum)
Agarwal, Bina(1992), "The Gender and Environment Debate:Lessons from India,"Feminist Studies(18-1)
Biel, Janet(1991),Rethinking Ecofeminist Politik(Boston:South End Press)
Daly, Mary(1978), Gyn and Ecology(Boston:Beacon Pr.)
Diamond, Irene/Gloria Orenstein(1990),Reweaving the World:the Emergence of Ecofeminism(San Francisco:Sierra Book)
Hilde Hein(1993), "En/Gendering Environmental Thinking, CNS(4-2)
Kuletz, Varie(1992), "Eco-Feminist Philosopy:Interview with Barbara Holland-Cunz," CNS(3-2)
Mellor, Mary(1992), "Eco-feminism and Eco-socialism," CNS(3-2)
Merchant, Carolyn(1980),The Death of Nature(San Francisco:Haper and Row)
(1990),"Ecofeminism and Feminist Theory," Diamond(1990)
(1992), Radical Ecology(London:Routledge)
Morris, Brian(1993)," Review :Mary Mellor,Breaking the Boundary", CNS(4-2)
Ortner, Sherry B.(1974), "Is Femeale to male as Nature is to Culture?" M.Rosaldo/L.Lamphere, Women, Culture and Society (CA:Stanford Uni. Pr.)
Plumwood, Val(1993),Feminism and the Mastery of Nature(N.Y.:Routledge)
Rae, Eleanor(1994),Women, the Earth and the Divine(N.Y.:Orbis Book)
Ruether, Rosemary Radford(1993), "Ecofeminism:Symbolic and Social Connections of the Oppression of Women and the Domination of Nation",Adams 1993
Shiva, Vanda(1988),Staying Alive:Women, Ecology and Development(London:Zed Book) /Mies, Maria(1994),Ecofeminism(London:Zed Book)
Soper, Kate(1992), "Eco-Feminism and Eco-Socialism:Dillemmas of Essentialism and Materialism," CNS(3-3)
Warren, Karen(1991), "Ecological Feminism",Special Issue of Hypatia,6-1.
문순홍(1992), {생태위기와 녹색의 대안}(서울:나라사랑)
(1994a), [서구의 새로운 여성운동] ; 최종욱외 공저,{현대의 위기와 새로운 사회운동}(서울:문원)
(1994b), [성과 '환경' 그 결합의 현실과 이론들], 대구 푸른 평화운동본부, {생태와 여성}(비정기 간행물)
(1994c),[에코페미니즘의 현황과 여성정치세력화에 주는 함의],대화 3호.
(1994d), [생태윤리와 한국 종교단체들의 환경운동], {현상과 인식}(63)
한국여성개발원(1993),{환경과 여성의 역할}
⇒ 싸이트 소개
요런것두 도움이 될까해서 몇 개 적었습니다..
완벽히 정리해 드림 좋은데 죄송하네요,, 많은 도움 되시길,,,
1. 생태학의 문화적 배경에 관한 역사적 고찰과 환경문제
http://bric.postech.ac.kr/webzine/content/review/bioethics/2001/Dec/12.html
2. 인간과 자연
http://www.greencosmos.or.kr/27.htm
추천자료
- 인류생태학 이론
- 영유아발달 생태학적 이론 브론펜브레너
- 정신 보건 사회복지 생태학 이론
- 부모-자녀 관계에 대한 이론적 관점 중 Bronfenbrenner의 생태학적 이론과 Erikson의 심리사...
- (A+) 브론펜브레너의 생태학적 체계이론에 대하여 논하세요.
- [아동발달] 생태학적 체계이론 중 미시체계의 중요성에 대한 자신의 생각을 예를 들어 서술하...
- 생태학적 이론의 개념과 구성체계
- [다문화 진로상담이론] 다문화 진로상담이론의 개관 - 다문화 상담의 의미, 다문화 상담의 필...
- 아동발달 이론에서의 인지발달 이론과 생태학적 이론
- 인간발달이론 - 성숙주의이론, 학습이론(스키너의 조작적 조건화, 반두라의 사회학습이론), ...
- 영유아프로그램의 심리학적 배경 중 생태학적 이론과 그 시사점에 대해
- [생태체계이론] 생태학적 체계이론의 주요개념과 평가
- 직장인의 사회적 스트레스를 유발한 요인을 생태학적 이론을 근거하여 분석해 보고 그 스트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