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혈압
2.체온
3.호흡
4.맥박
2.체온
3.호흡
4.맥박
본문내용
는다.
②혈압계의 수은주가 '0'에 있는지 확인한다.
③환의를 어깨까지 올리고 대상자의 팔을 심장 높이로 유지한다.
④바람을 뺀 커프를 상박에 감는다.
⑤팔의 안쪽에 커프의 줄이 상박 동맥과 평행 되게 감는다.
⑥팔꿈치에서 2∼3㎝ 위로 손가락이 하나 들어갈 정도의 여유를 주고 감는다.
⑦상완 동맥 위에 청진기를 댄다.
⑧조절 밸브를 잠그고 압력 bulb를 눌러서 커프에 공기를 평소 혈압보다 20∼30mmHg 더 높게 한다.
⑨조절 밸브를 아주 천천히 열어 한번에 2∼3mmHg 속도로 내린다.
⑩조심스럽게 처음 들리는 소리를 듣고 눈금을 읽는다.
⑪커프를 풀고 혈압 측정치를 간호 기록지에 적는다. 잘 듣지 못해 다시 잴 때는 1∼2분 후에 측정한다.
⑫밸브를 완전히 열어 공기를 뺀 후, 혈압계 안에 정리해 넣는다.
(2) 하지 혈압 측정
①손을 씻고, 청진기의 귀꽂이를 알코올 솜으로 닦는다.
②혈압계의 수은주가 '0'에 있는지 확인한다.
③대상자를 복위나 측위로 한다. 대상자가 엎드리지 못하면 앙와위를 취해준다.
④대퇴를 노출시키고 대퇴 중간 부에 혈압계 커프를 감는다.
⑤슬와 동맥 위에 청진기를 놓는다.
⑥조절 밸브를 잠그고 압력 bulb를 눌러서 커프에 공기를 평소 혈압보다 20∼30mmHg 더 높게 한다.
⑦조절 밸브를 아주 천천히 열어 한번에 2∼3mmHg 속도로 내린다.
⑧조심스럽게 처음 들리는 소리를 듣고 눈금을 읽는다.
⑨커프를 풀고 혈압 측정치를 간호 기록지에 적는다. 잘 듣지 못해 다시 잴 때는 1∼2분 후에 측정한다.
⑩밸브를 완전히 열어 공기를 뺀 후, 혈압계 안에 정리해 넣는다.
4) 주의점
·혈압측정 5∼10분전부터 환자를 안정되고 이완된 상태로 만들어 준다.
·팔의 위치가 심장 높이 위치보다 높으면 혈압이 낮아지고, 심장위치보다 낮으면 혈압이 높아지므로 팔의 위치는 심장높이로 한다.
·혈액을 말초로 보내기 위해서는 하지의 수축기압이 상박의 수축기압보다 10∼40mmHg 더 높을 수 있다. 이완기압은 같거나 낮다.
·압력은 2mmHg의 간격으로 기록한다.
·성인용 하지 커프의 평균 폭은 16cm 길이는 36cm 정도이다.
·비만한 대상자용 상박 커프는 폭 16cm 길이는 30cm 정도이다.
·커프의 폭이 크면 혈압이 낮게 측정되고, 폭이 작으면 혈압이 높게 측정되므로, 적당한 폭 의 커프를 선택한다.
·양팔 사이의 압력차가 10mmHg이상 생기지 말아야 하며 차이가 클 때는 재검사 를 해야 한다.
·혈압 측정 시 커프를 너무 높게 팽창시키지 않도록 한다.
·커프의 바람을 너무 서서히 빼면 정맥 울혈을 일으키기 때문에 이완기압을 상승시키고 너 무 빨리 빼면 수축기압의 시작을 알기 어렵기에 적당한 속도로 빼도록 한다.
·혈압을 재는 동안 혈액의 차단은 정맥 울혈의 원인이 되는데, 정맥 울혈은 혈압을 상승시 킨다. 따라서 짧은 시간에 혈압을 측정하도록 한다.
·청진기는 동맥 위에 직접대야 박동 음이 정확하게 들려 정확한 혈압을 측정할 수 있다.
·체위성 저혈압이 예상되는 대상자는 앉은 자세로 혈압을 측정한다.
②혈압계의 수은주가 '0'에 있는지 확인한다.
③환의를 어깨까지 올리고 대상자의 팔을 심장 높이로 유지한다.
④바람을 뺀 커프를 상박에 감는다.
⑤팔의 안쪽에 커프의 줄이 상박 동맥과 평행 되게 감는다.
⑥팔꿈치에서 2∼3㎝ 위로 손가락이 하나 들어갈 정도의 여유를 주고 감는다.
⑦상완 동맥 위에 청진기를 댄다.
⑧조절 밸브를 잠그고 압력 bulb를 눌러서 커프에 공기를 평소 혈압보다 20∼30mmHg 더 높게 한다.
⑨조절 밸브를 아주 천천히 열어 한번에 2∼3mmHg 속도로 내린다.
⑩조심스럽게 처음 들리는 소리를 듣고 눈금을 읽는다.
⑪커프를 풀고 혈압 측정치를 간호 기록지에 적는다. 잘 듣지 못해 다시 잴 때는 1∼2분 후에 측정한다.
⑫밸브를 완전히 열어 공기를 뺀 후, 혈압계 안에 정리해 넣는다.
(2) 하지 혈압 측정
①손을 씻고, 청진기의 귀꽂이를 알코올 솜으로 닦는다.
②혈압계의 수은주가 '0'에 있는지 확인한다.
③대상자를 복위나 측위로 한다. 대상자가 엎드리지 못하면 앙와위를 취해준다.
④대퇴를 노출시키고 대퇴 중간 부에 혈압계 커프를 감는다.
⑤슬와 동맥 위에 청진기를 놓는다.
⑥조절 밸브를 잠그고 압력 bulb를 눌러서 커프에 공기를 평소 혈압보다 20∼30mmHg 더 높게 한다.
⑦조절 밸브를 아주 천천히 열어 한번에 2∼3mmHg 속도로 내린다.
⑧조심스럽게 처음 들리는 소리를 듣고 눈금을 읽는다.
⑨커프를 풀고 혈압 측정치를 간호 기록지에 적는다. 잘 듣지 못해 다시 잴 때는 1∼2분 후에 측정한다.
⑩밸브를 완전히 열어 공기를 뺀 후, 혈압계 안에 정리해 넣는다.
4) 주의점
·혈압측정 5∼10분전부터 환자를 안정되고 이완된 상태로 만들어 준다.
·팔의 위치가 심장 높이 위치보다 높으면 혈압이 낮아지고, 심장위치보다 낮으면 혈압이 높아지므로 팔의 위치는 심장높이로 한다.
·혈액을 말초로 보내기 위해서는 하지의 수축기압이 상박의 수축기압보다 10∼40mmHg 더 높을 수 있다. 이완기압은 같거나 낮다.
·압력은 2mmHg의 간격으로 기록한다.
·성인용 하지 커프의 평균 폭은 16cm 길이는 36cm 정도이다.
·비만한 대상자용 상박 커프는 폭 16cm 길이는 30cm 정도이다.
·커프의 폭이 크면 혈압이 낮게 측정되고, 폭이 작으면 혈압이 높게 측정되므로, 적당한 폭 의 커프를 선택한다.
·양팔 사이의 압력차가 10mmHg이상 생기지 말아야 하며 차이가 클 때는 재검사 를 해야 한다.
·혈압 측정 시 커프를 너무 높게 팽창시키지 않도록 한다.
·커프의 바람을 너무 서서히 빼면 정맥 울혈을 일으키기 때문에 이완기압을 상승시키고 너 무 빨리 빼면 수축기압의 시작을 알기 어렵기에 적당한 속도로 빼도록 한다.
·혈압을 재는 동안 혈액의 차단은 정맥 울혈의 원인이 되는데, 정맥 울혈은 혈압을 상승시 킨다. 따라서 짧은 시간에 혈압을 측정하도록 한다.
·청진기는 동맥 위에 직접대야 박동 음이 정확하게 들려 정확한 혈압을 측정할 수 있다.
·체위성 저혈압이 예상되는 대상자는 앉은 자세로 혈압을 측정한다.
추천자료
내과 케이스 게실염
외과실습 충수돌기염 케이스
귀 간호사정
응급실 ER실습보고서 (출혈, 약물중독, 화상, Shock, 골절 환자 간호)
이비인후과/외과병동 케이스 스터디(Case Study) - 갑상선암(Malignant neoplasm of thyroid ...
케이스 스터디(Case Study) - 폐렴(pneumonia, ICP)
성인간호학 케이스 스터디(Case Study) - 경추골절
케이스 스터디(Case Study) - -만성폐쇄성폐질환(COPD)
케이스 스터디(Case Study) - 췌장암(pancreas cancer)
케이스 스터디(Case Study) - 뇌졸중 (Cerebral Vascular Accident ; CVA)
[모성간호학] 자연분만(NSVD) Case study
수술 환자 간호 - 수술 후 간호
성인간호학case study-뇌경색
ER CASE, 응급실 케이스,골격견인, 양극성 고관절 반치환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