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고츠키와 비고츠키이론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고등정신기능
1) 교육어의 개념에 비추어본 비고츠키의 `고등정신기능의 점유를 위한 언어`

2. 비고츠키 교육이론
1) 장점
2) 특징

3.언어 학습
1) 언어 학습과 부모의 역할-언어의 본질과 언어 지도의 원리
2) 언어와 사고
3) 언어와 사고의 사회적 유관론(有關論)

4. Piaget와 Vygotsky 이론의 차이점

5. 비고츠키이론이 갖는 교육적 시사점

6. Vygotsky의 연구
(1) 단어의미의 개념(The Notion of Word-meaning)
(2) Piaget의 개인주의와 사회주의에 대한 Vygotsky의 비평

7. 언어와 사고의 관계에 대한 두 견해

8. 사고 발달의 총체적 과정

9. 아동기의 언어적 의사 전달의 역할

10. Vygotsky이론과 언어발달
1)Vygotsky의 단계
① 제1단계: 원시적, 자연적 단계
② 제2단계: 순수 심리적 언어 단계
③ 제3단계: 자기중심적 언어 단계

본문내용

자기중심적 언어를 통해서 자기중심성 자체를 논의한 데 비하여, Vygotsky는 자기중심적 언어의 기능을 탐구함으로써 언어가 사고발달의 근원이 됨을 밝히려고 한 것이다. Vygotsky는 만일 자기중심적 언어가 Piaget의 생각처럼 사고의 자기중심성이나 불충분한 사회화에 기인하는 것이라면, 사회적 요소를 약화시키거나 집단으로부터의 고립을 조장하는 실험 사태에서는 자기중심적 언어가 증가할 것이며, 그렇지 않고 자기중심적 언어가 자기를 위한 말과 남을 위한 말의 기능적 미분화에 기인하는 것이라면 위의 실험 사태에서 자기중심적 언어는 감소할 것이라는 가설을 세워서 실험한 결과 사회적 언어의 필요성이 없게 될 때 자기중심적 언어가 줄어든다는 것은 자기중심적 언어가 자기를 위한 언어일 뿐만 아니라 남을 위한 언어이기도 하다는 점을 나타내 준다고 보았다. 유아가 성장함에 따라 자기중심적 언어가 내면화된다는 사실을 Vygotsky는 다음과 같은 관찰을 통해서 보여준다. 자기중심적 언어를 사용하지 않는 나이가 더 많은 어린이들은 어려운 문제에 부딪혔을 때 침묵을 지키고 있다가 해결책을 찾아 냈다. 이때 그에게 지금 무슨 생각을 하고 있는가 하고 물으면, 취학 전 유아가 소리내어 생각할 때, 즉 자기중심적 언어를 말할 때와 흡사한 대답을 하게 된다. 이와 같은 사실에 대하여 Vygotsky는 취학 전 유아가 자기중심적 언어를 말하면서 하는 지적 조작은 학교에 다닐 무렵의 어린이에게서는 소리없는 내적 언어에 의해 이루어진다고 주장한다. 이는 자기중심적 언어가 구조뿐만 아니라 기능면에서도 내적 언어와 같아서 사고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것이다. Vygotsky는 무엇이 자기중심적 언어를 야기시키는지 또는 어떤 환경에서 자기 중심적 언어가 많이 나타나는지를 관찰한 결과, 좌절 또는 문제 사태에서 자기중심적 언어가 거의 두 배 가까이 늘어났음을 지적하고, 이것은 자기중심적 언어가 단순히 긴장의 완화라든지 혹은 행동을 하는 데 수반되는 표현으로 사용되는 것이 아니라, 문제 사태에 대한 해결 방법을 생각하고 계획하는 데 있어서 중요한 사고의 도구가 된다는 것이다. Vygotsky의 언어와 사고에 대한 견해를 정리해보면 다음과 같다.
*내부 문제의 해결을 목적으로 외부 신호의 사용, 손가락으로 계산; 자기 중심 언어(language)는 점점 더 줄어들고(curtail) "어려워진다(esoteric)".
성장(in-growth) 단계에서는 외형적인 작용이 내부로 방향을 돌리고, 머리로 계산하고, 논리적으로 기억하며, 소리를 내지 않고 말하게 된다. 내부 언어(language)는 점점 더 줄여서 쓰게 된다(즉, 문장에서 주어를 생략하여 서술어만 사용한다. 왜냐하면 주어는 "말하는 사람이 알고 있기" 때문에). 그 결과로서 단어-상(word-image)을 어떤 방법으로든 줄일 수 없는 사고(thought)가 있다. 개념(ideas)은 그 때 역 전달과정(passage)을 거쳐, 내부 언어(language)로 전달되어지고, 이어서 섞이게 된다(vocalised). 그렇게 언어(language)를 표현하는 사고(thought)는, 사고(thought)에 앞서 언어적 사고(thought)로 조금씩 계속 변환되는 자발적 언어(language)와는 완전히 다른 특징이 있다. 쓰여진 언어(written language)도 자발적 언어(language)(상황, 담화(interlocutor), 주제의 존재, 동사적 사용)의 모든 조건들이 결여된 상황에서 사고(thought)를 단어로 변환하는 것이 요구될 때만 내부 언어(language)를 숙달할 수 있는 토대가 나타날 수 있다.
1) 울음과 옹알이와 같은 언어형태는 사고발달과는 관계없이 발달한다.
2) 언어는 생각을 나누고 말하는 것으로, 기능에 있어 사회적이고 소통적인 성격을 지닌다. 즉 울음, 옹알이, 한마디 말은 사고에 의해서가 아니라 사회적 기능에 의해 나타나는 언어다.
3) 2세경부터는 언어와 인지발달이 교차되면서 상호작용을 하여 생각한 것을 논리적으로 표현할 수 있다. 즉 언어가 숙달되는 시기로 언어가 인지발달을 도와주고, 인지의 발달특징이 언어로 표현되기 시작한다. 따라서 이 시기부터는 호기심을 가지고 질문을 많이 하고 어휘가 급격히 증가하게 된다.
4) 내적 언어는 자신에게 향한 말로서 사고의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이것은 유아의 자기 중심적인 말이 내면화되기 시작하는 것이다. 유아의 말이 내면화한 결과는 이전 단계에서 성인과 유아의 상호작용에서 사용된 대화전략의 영향 때문이다.
5) 성인의 언어 모델링은 언어의 자극제로서 매우 중요하다. 성인들은 유아의 언어규칙에 대한 학습을 촉진시키는 방법으로 유아들과의 대화에 참여한다.
6) 언어가 있으면 개념을 익힐 수 있게 된다.
http://www.vygotsky.co.kr/vygo/eduvygo.htm
http://nengjung.kit.ac.kr/~kimjh/study/menu4_2.html
http://www.itempool.org/itp2/cal_02_007_0.html
http://learning.snu.ac.kr/edprin/writings/jep5.hwp
http://www.vygotsky.co.kr/vygo/aboutvygo.htm
http://knouedu.com.ne.kr/data2/djsdjdhkrydbr.hwp
http://www.korea.ac.kr/~noh/chdlng.hwp
http://user.chollian.net/%7Ek1784/cyber/04%B1%B9%BE%EE%28%B3%B2%C1%D8%B8%F0%29_2.htm
http://ns.cnue.ac.kr/%7Eshimwo/article/Vygotsky.html
http://www.jeonju.ac.kr/~engedn/faculty/seog_books/acquisition/chapter4.html
교육어의 개념에 비추어본 비고츠키의 '고등정신기능의 점유를 위한 언어'-金 芝 賢
언어 학습과 부모의 역할-언어의 본질과 언어 지도의 원리/노명완 中
Vygotsky의 이론과 교육 - 심 우 엽 (춘천교대 교수)
  • 가격2,000
  • 페이지수15페이지
  • 등록일2003.06.11
  • 저작시기2003.0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2399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