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Virus
1. virus란?
2. virus와 다른 생명체의 차이점
3. virus의 역사
4. virus의 입자구조와 그에 따른 분류
Ⅱ. Susceptible Cell
1. susceptible cell이란?
2. susceptible cell의 분류
1. virus란?
2. virus와 다른 생명체의 차이점
3. virus의 역사
4. virus의 입자구조와 그에 따른 분류
Ⅱ. Susceptible Cell
1. susceptible cell이란?
2. susceptible cell의 분류
본문내용
을 허용하는 숙주세포를 그 바이러스에 감수성이 있는 세포 (susceptible cells)라고 부르며, 바이러스의 침투를 허용하지 않는 세포를 감수성이 없는 세포 (non-susceptible cells)라고 부른다.
바이러스는 모든 종류의 세포에 감염되어 증식하는 것이 아니고 자신이 감염하여 증식할 수 있는 세포나 동물의 종류가 제한되어 있다. 즉 종이나 세포에 따라 virus에 대한 감수성(susceptibility)이 다르고, 특정한 virus에 대해 감수성이 있는 cell을 가리켜 susceptible cell이라 한다. 일반적으로 바이러스가 침투하여 증식할 수 있는 숙주의 종류를 숙주 범위(host range)라고 하는 데, 어떤 바이러스의 경우 이 숙주범위가 넓을 수도 있고 어떤 경우는 그 범위가 매우 좁을 수도 있다. 어떤 세포가 특정한 바이러스의 숙주세포가 되지 못하는 이유는 그 세포가 바이러스의 침투를 허용하지 않기 때문일 수도 있으며, 침투를 허용하더라도 증식을 허용하지 않기 때문일 수도 있다.
세포막은 동물세포에서 세포 안쪽과 세포 바깥쪽을 경계짓는 중요한 장벽이다. 동물의 세포막은 인지질 이중막으로서 구성되어 있으며, 중간 중간에 단백질 (세포막단백질)들이 결합되어 있다. 동물의 세포막은 지방성이어서 수용성 물질은 함부로 세포막을 통과하지 못한다. 이러한 세포막은 바이러스의 침투에도 장벽의 역할을 하며, 바이러스는 바로 이 장벽을 넘어서서 숙주세포안으로 들어가야 증식을 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세포막단백질들은 바이러스와 반응하여 바이러스가 세포안으로 들어가게 만드는 일종의 감염의 수용체 역할을 한다
2. susceptible cell의 분류
비록 바이러스의 침투를 허용하는 susceptiible host라 하더라도 침투한 바이러스가 언제나 증식되어 새끼를 생산하는 것은 아니다. 일반적으로 숙주세포에 침투한 바이러스는 그 증식의 형태에 따라 세 가지로 나눈다.
1) productive infection (생산감염)은 숙주세포에 감염되어 증식하여 새끼 바이러스를 생산하는 감염을 말하며, 이러한 숙주 세포를 permissive host cell (허용하는 숙주)이라고 부른다.
2) abortive infection (유산감염)은 감염 결과 virus의 증식이 일어나지 않아서 새끼 바이러스가 만들어지지 않는 감염을 말하며, 이러한 숙주세포를 non-permissive host cell (허용하지 않는 숙주)이라고 부른다.
3) latent infection (잠복감염)은 감염된 숙주동물이나 숙주세포에서 virus 가 증식하지 않으나, 바이러스나 바이러스의 genome이 없어지지도 않고 지속적으로 존재하는(persist) 감염을 말한다. 이러한 형태의 감염에서는 나중에 감염된 숙주세포로부터 바이러스의 증식이 유도되기도 하여 재발성 감염을 일으키는 경우가 종종 있다.
Ⅲ. reference : http://home.inje.ac.kr/~lecture/virology/ch1introd/2001virch1.htm
바이러스는 모든 종류의 세포에 감염되어 증식하는 것이 아니고 자신이 감염하여 증식할 수 있는 세포나 동물의 종류가 제한되어 있다. 즉 종이나 세포에 따라 virus에 대한 감수성(susceptibility)이 다르고, 특정한 virus에 대해 감수성이 있는 cell을 가리켜 susceptible cell이라 한다. 일반적으로 바이러스가 침투하여 증식할 수 있는 숙주의 종류를 숙주 범위(host range)라고 하는 데, 어떤 바이러스의 경우 이 숙주범위가 넓을 수도 있고 어떤 경우는 그 범위가 매우 좁을 수도 있다. 어떤 세포가 특정한 바이러스의 숙주세포가 되지 못하는 이유는 그 세포가 바이러스의 침투를 허용하지 않기 때문일 수도 있으며, 침투를 허용하더라도 증식을 허용하지 않기 때문일 수도 있다.
세포막은 동물세포에서 세포 안쪽과 세포 바깥쪽을 경계짓는 중요한 장벽이다. 동물의 세포막은 인지질 이중막으로서 구성되어 있으며, 중간 중간에 단백질 (세포막단백질)들이 결합되어 있다. 동물의 세포막은 지방성이어서 수용성 물질은 함부로 세포막을 통과하지 못한다. 이러한 세포막은 바이러스의 침투에도 장벽의 역할을 하며, 바이러스는 바로 이 장벽을 넘어서서 숙주세포안으로 들어가야 증식을 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세포막단백질들은 바이러스와 반응하여 바이러스가 세포안으로 들어가게 만드는 일종의 감염의 수용체 역할을 한다
2. susceptible cell의 분류
비록 바이러스의 침투를 허용하는 susceptiible host라 하더라도 침투한 바이러스가 언제나 증식되어 새끼를 생산하는 것은 아니다. 일반적으로 숙주세포에 침투한 바이러스는 그 증식의 형태에 따라 세 가지로 나눈다.
1) productive infection (생산감염)은 숙주세포에 감염되어 증식하여 새끼 바이러스를 생산하는 감염을 말하며, 이러한 숙주 세포를 permissive host cell (허용하는 숙주)이라고 부른다.
2) abortive infection (유산감염)은 감염 결과 virus의 증식이 일어나지 않아서 새끼 바이러스가 만들어지지 않는 감염을 말하며, 이러한 숙주세포를 non-permissive host cell (허용하지 않는 숙주)이라고 부른다.
3) latent infection (잠복감염)은 감염된 숙주동물이나 숙주세포에서 virus 가 증식하지 않으나, 바이러스나 바이러스의 genome이 없어지지도 않고 지속적으로 존재하는(persist) 감염을 말한다. 이러한 형태의 감염에서는 나중에 감염된 숙주세포로부터 바이러스의 증식이 유도되기도 하여 재발성 감염을 일으키는 경우가 종종 있다.
Ⅲ. reference : http://home.inje.ac.kr/~lecture/virology/ch1introd/2001virch1.htm
소개글